휴직을 마치고 학교로 돌아와 한 주를 보냈다. 독일 유명 철학자 <리하르트 프레히트>는 인간이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주변의 다른 모두가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 했다. 일하지 않는 자는 사회에서 소외된다고 했는데 휴직기간 동안 간접적으로 그런 느낌을 경험할 수 있었다. 모두가 일하는 낮에 집에 홀로 있는 것은 때로는 근사한 기분이지만 때로는 홀로 있는 적막감으로 인해 쓸쓸함을 느끼게 했다.
지인들을 간혹 만나긴 했으나 홀로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많았던 휴직기간을 지나 학교로 돌아오니 갑자기 수많은 관계와 정보들이 한꺼번에 쏟아지기 시작했다.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고 안부를 묻고 그간 있었던 일들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다. 그렇게 얼떨떨한 기분으로 일주일을 보내며 서서히 사람들 속 나라는 존재를 자연스럽게 연착륙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홀로 낮을 보내는 삶에서 큰 무리에서의 나로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은 사람들 간 일어나는 갈등을 마주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담교사는 늘 갈등을 목격한다. 주변의 모든 사람들은 이상적인데, 나만의 문제로 상담을 찾아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가장 흔하게는 친구관계로 상담실을 찾는데, 크게는 학교폭력부터 작게는 친구와 작은 오해가 생긴 일로 상담실을 찾아온다. 뿐만 아니라 가정 내 불화도 가족구성원과 갈등을 겪는 것이며 자해, 학업중단, 우울 등 무거운 주제도 주변과의 갈등을 빼놓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또 동료교사들 간의 입장차이와 갈등도 목격할 수 있다.
홀로 남게 된 인간은 갈등을 겪을 대상이 없으니 누군가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할 이유도 없다. 큰 무리에 속한 사람은 여러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다. 그렇다고 갈등이 없는 홀로인 인간이 더 편한 삶을 산다고 할 수는 없다.
우리는 갈등에 대해 무조건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나와 갈등을 겪는 대상은 나를 성장시킬 수 있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서로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 합의를 위해서는 나의 부족한 부분을 돌아보며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후 반성을 통해 행동을 개선하고 상대방에게도 잘못한 부분을 사과받으며 성숙하게 해결해 보는 과정은 나를 더 괜찮은 사람으로 만들어준다.
갈등이 생기면 가장 쉬운 방법은 상대방과 거리를 두고 멀리하는 것이다. 회피하는 방법은 편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 갈등 속으로 들어가 나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최선으로 이해해보고자 하는 태도는 나를 더 성장시킬 수 있다. 갈등을 경험하고 부딪힐수록 나의 문제해결과정도 세련되어질 것이다. 갈등도 해결해 본 경험이 없으면 처음에는 누구나 뚝딱거리고 자연스럽지 못하다. 만일 상대가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이 안하무인으로 나오더라도 적어도 자신은 건강한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하고자 했으니 스스로를 더 인정해 주고 칭찬해 줄 수 있다.
극장에서 본 영화 트윈스터스(토네이도 이야기)에는 "두려움은 맞서는 것이 아니라 즐기는 거야."라는 대사가 있다. 심리상담과 조직 내 대인관계를 통해 만나게 될 수많은 갈등과 맞서 싸우기보다는 부드럽고 유연한 대처를 통해 해결하는 지혜로운 상담교사가 되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