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yohyun Hwang May 13. 2022

JFK 나들이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했던 초연결 사회가 사실은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2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우리 모두에게 그 2년은 정지된 시간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초연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깨어있는 시간과 살고 있는 장소에 상관없이 우리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고, 화면을 통해 대화를 나눌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공항에 나와보니 그 디지탈 초연결은 격화소양에 불과한 것이었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JFK 공항에 다녀왔습니다. 인천 공황과 같은 넓직하고 깨끗한 공항이 아닙니다. 도착하는 곳도, 출발하는 곳도 사람을 머무르게 하기보다는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앉아서 쉴 곳도, 쉬면서 커피를 마시거나 출출할 때 식사를 할 수 있는 편의 시설도 거의 없습니다. 거의 라고 하는 이유는 그나마 판매하는 스탠드가 몇군데 있기 때문입니다. 아 출발층에 Food Court가 있군요.


만남의 광장, 1층 로비에는 이미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었습니다. 뉴욕 시내와는 달리 상당수의 마중객들은 마스크를 하고 있었는데, 저도 그 중 한명이었습니다. 대합실로 들어가면 정면 상단에 도착편명과 도착시간 정보를 보여주는 전광판이 바로 보입니다. 거기에는 출발지 정보도 함께 있는데, 서울, 파리, 로마, 토쿄, 스트홀롬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이 순서를 바꿔가며 계속 나옵니다. 그 전광판을 보는 순간 이제야 우리는 제대로 연결되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과 사람은 만나야 합니다. 싸우더라고 만나서 싸워야 합니다. 그래야 또 금방 화해하고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헤어질 때 눈물을 흘릴지언정 만나는 것이 만날 수 없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남녀노소 피부색과 종교와 출신국가를 불문하고 만남의 현장은 왁자합니다. 이름을 소리쳐 부르고, 손을 높이 흔들고, 짐을 팽개친 채 껴안고, 이쪽 저쪽 볼을 부비고, 번쩍 들어 올리고... 아무리 초연결이라도 그것이 디지탈 초연결이라면 앙코없는 찐빵입니다. 그래서 만나야 하는 것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Columbus, Ohio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