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dy Saucy Jan 04. 2017

패션과 페미니즘 #2

Flapper, 어떻게 유행이 되었나?

Flappers


1916년, 공원을 걷는 커플: 드레스는 느슨하게 허리를 감쌌고(코르셋으로 꽉 졸라맨 것과 거리가 있는) 발목을 살짝 보이는 길이로 올라갔음을 확인 할 수있다.


플래퍼는 어떻게 유행이 되었을까? 갑자기 혜성처럼 등장한 새로운 스타일의 패션일까?

변화에는 그에 맞는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기성세대를 깜짝 놀라게 한 플래퍼의 출현은 갑자기 혜성처럼 짠 하고 등장한 패션이 아니다. 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에 변화가 생긴다. 집에만 있었던 순종적인 그녀들은 전쟁터에 있는 남성들을 대신해 생업에 뛰어들었고, 가정을 위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사회의 구성원이 되었다. 그녀들은 남자들의 역할을 대신하기 시작했다. 그녀들은 집 밖으로 나가서 트럭을 몰았고, 아픈 병자들을 간호했다. 그렇기에, 여성들은 실용적인 옷을 입어야 했다. 거추장스러운 치맛단으로 자동차를 몰수 없었고, 부상자를 치료하러 뛰어갈 수 없었다. 이렇게 치맛단은 서서히 짧아지기 시작했고, 거추장스러운 장식들은 사라져 갔다. 이러한 과정이 있었기에 전쟁 직후의 새로운 스타일이 유행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1차 세계대전 중 찍힌 사진, 여성 우편배달부의 모습. 여성의 남성역할 대체를 확인 할 수 있다.





How had it become a vogue?


1. 전쟁 직후의 변화

1차 세계대전의 폐막과 함께 그동안 즐기지 못했던 많은 것을 즐기려는 행동 반사가 나타난다.

사람들은 여가와 유흥의 즐거움을 누리기 시작했다


- 재즈 뮤직에 맞추어 춤을 추는 것이 젊은 사람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져갔다.

- 칵테일 제조는 그 시대의 심벌이 되었다.

- 다양한 영화와 많은 TV 프로그램들이 제작되었다.

- 신문, 잡지와 같은 인쇄물들 접할 기회가 확대되었다.


2. Hollywood의 영향

할리우드의 영화는 젊은 여성들에게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

영화 속 배우들은 잡지 속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영향으로

상위 계층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에게 새로운 유행의 전파될 수 있었다.

영화 속에서 등장한 패셔너블한 스타일들을 플래퍼들은 따라 했고, 자신들의 삶 속에 적용시켰다.


3. 출판 업계의 변화

인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쇄비용이 하락했다. 비용의 절감으로 인해 낮은 임금을 받는 하위 계층의 여성들도 패션지와 신문 등을 구독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더욱 많은 여성들이 패션을 즐길 수 있는 구조로 변해 간 것이다. 전쟁 이전에 패션지는 소수의 엘리트와 중. 상위 계층만을 타깃으로 출판되었으나, 이러한 변화와 함께 패션지의 타깃은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까지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로 범위가 확대되었다.

1920년대 다양한 출판물들
'... the fashion sections to be extended more such as the 1920s mail-order, catalogues of companies such as Sears, Roebuk&Co. and Mc Call’s in the USA,  and in the catalogues of London-based department stores in the UK.'(Fiell, C. and Dirix, E.,2011, Fashion Sourcebook 1920s, p.14)  

패션의 접근 영역은 더욱 확대되어졌는데, 예를 들자면 1920년대의 우편주문, 미국의 Sears, Roebuk&Co., Mc Call's와 런던 기반의 백화점들의 카탈로그 등을 통해서 주문이 용이해졌다.

4. 여성의 역할 변화

다양한 계층의 여성이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 내기 시작했다. 전쟁이 후, 여성들은 그녀들의 어머니 세대의 집 안에서만 있는 순종적인 모습을 거부했다. 집 밖으로 나가 독립적으로 경제활동을 시작했으며, 가정 경제를 책임지는 중요한 일원으로 여겨졌다. 또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보다 다양한 일자리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노동자 계층(Working-class)의 여성은 가정에서 중요한 경제 구성원이 되었다.

-중산층과 상위계층(Elite and Middle-class)의 여성들 또한 일하기 시작하였으나,

하위계층의 여성들과는 사회적 차원이 다른 직업이었다.

-활발한 여성 근로는 사회적 전반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였다.

 

5. 패션의 단순화가 이루어짐

1926년 패셔너블한 여성의 모습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전쟁의 영향으로 의복은 실용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놓여 있었다.

1918년에 세계 1차 대전이 막을 내리며 패션의 단순화에 큰 영향을 끼친 요인을 아래에 나열하였다.


-전쟁으로 인한 물자공급의 부족함으로 인해 패션이 단순해지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 변화: 여성들이 노동전선에 사회 구성원으로 뛰어듦에 따라

실용적인 옷이 더욱 필요해졌고, 이는 패션의 단순화로 이어졌다.

-홈 드레스 메이킹이 용이해짐: 패션의 단순화는 옷을 만드는 과정이 쉬워지게 했고,

이는 많은 여성들이 집에서 옷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6. 패션의 민주화가 이루어짐



역사 속 최초로 패션의 민주화가 진행되었다. 의복은 계층을 나타내는 도구와 다름이 없었다.

상위 계층의 있는 자는 좋은 옷과 그에 걸맞은 화려한 스타일을 뽐내었으나, 없는 자 즉 하층민들은 감히 패션을 가까이할 수 없었다. 1920년대의 개막은 경제적으로 그리고 사회적 지위 등의 현실적 이유로 패션을 가까이할 수 없었던 많은 여성들이 패션을 접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다.


따라서, 역사상 처음으로 젊은 여성의 ‘평균'패션을  꽤나 상세히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패션이라는 문화는 소수의 엘리트에게나 해당되는 사항이었으므로, 그들의 스타일로 기록되었다면, 1920년대의 여성의 패션은 젊은 평균 여성의 스펙트럼을 더욱 확대하여 관찰한 유행을 기록한 것을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7. 산업의 발전

실용적인 디자인의 레디 투 웨어(Ready-to-wear) 마켓의 확대과 산업발전의 영향으로 의류 제조가 용이해지게 되었으며 가격도 내려갔다. 이는 부자들에게는 오튀쿠트르(Haute couture)를 데일리 웨어(Daily wear)로 입을 수 있게 하였고, 저 임금의 노동 여성들에게는 패션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기여했다.  

1920년대 샤넬의 쿠튀르 컬렉션


 8. 여성의 인식 변화

새로운 여성(The New Woman)

여성들은 전쟁 이전의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그녀들이 아니었다. 그녀들은 자주적이었고 당당했으며 그들에게 주어진 새로운 자유를 즐길 줄 아는 멋진 여성들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여성'들은 그에 걸맞은 실용적이고 이전 세대에게는 가히 충격적인 새로운 옷장이 필요했으며 이 옷장은 그녀들의 자유로운 인생과 더불어 편안하고 품위 있는 그녀들의 정체성을 표현해주는 도구와 다름없었다.


'She was ‘New’ because she was able to take on new roles and responsibilities because she was no longer stuck at home and beause she was not simply going to shut up and return to her former life. This ‘New’liberated woman needed and got a wardrobe to match one of simpler , more comfortable elegance to correspond with her freer life.’(Fiell, C. and Dirix, E. ,2011, Fashion Sourcebook 1920s)

그녀는 새로웠다. 왜냐하면 그녀는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맡았고, 또한 그녀는 더 이상 집에 처박혀서 있지 않았고, 그리고 그녀는 단순히 입 닥치고 전쟁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자유로운 여성은 그녀의 자유로운 삶과 상응하는 더욱 심플하고 편안하고 우아한 옷장이 필요했다.


패션은 단순히 보이는 현상이 아니다. 패션은 사회를 반영하고,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1차 세계대전 직후 변화한 사회의 모습과 여성들의 인식 변화는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다양한 여성들이 패션을 즐길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변화한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스타일은 위와 같은 사회적인 요소들로 인하여 점차 주류(Main stream) 패션으로 스며들었고 역사상 처음으로 젊은 평균 여성들이 열광했던 유행 패션을 플래퍼들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남성의 행동이라 여겨졌던 흡연과 음주 가무를 즐겨하고, 짧은 단발머리와 진한 화장 등의 새로운 미의 기준을 자신들의 삶 속에 적용했던 그녀들. 기성세대를 충격 속에 휩싸이게 만든 보이쉬한 플래퍼들은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인식하고 자신들의 자주적인 정체성을 표현할 줄 알았던 1920년대의 당돌했던 신 여성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글: Emma park

A list of Illustrations and a list of references

are available upon request.


매거진의 이전글 패션과 페미니즘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