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X 컨설턴트 전민수 Jun 21. 2024

System Usability Scale 측정 방법

UX 리서치 강연 #14

Q1. "SUS(System Usability Scale)는 사용성 테스트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사진: Unsplash의UX Indonesia




요약문 
(System Usability Scale 측정 방법)


SUS(System Usability Scale)는 사용성 테스트의 핵심 도구입니다.


SUS는 1986년 John Brooke가 개발한 대표적인 사용성 측정 방법론으로, 사용성 테스트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야 합니다. SUS를 통해 자사 제품과 경쟁사 제품의 사용성 수준을 비교하고, 이전 버전과 개편된 버전의 사용성 향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과업과 새로운 과업의 사용성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애자일 환경에서 SUS는 필수불가결한 도구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사용성 개선을 위해서는 SUS를 통한 정기적인 측정과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더 나아가 SUS는 프로토타입 간 선호도 비교에도 활용될 수 있어, 사용자 중심적인 솔루션 개발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많은 기업들이 SUS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SUS 활용이 필수적입니다.


사진: Unsplash의Mohamed Boumaiza




상세 내용
(System Usability Scale 측정 방법)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때, 사용성 측정 방법 중 하나인 1986년 John Brooke가 개발한 SUS(System Usability Scale)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SUS는 사용성 테스트에서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저는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할 때 주로 만족도 측면에서 SUS 측정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SUS(System Usability Scale)는 대표적인 사용성 측정 방법론으로, 그 활용도와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SUS는 사용성 테스트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사 제품과 경쟁사 제품의 사용성 수준을 비교할 수 있고, 이전 버전과 개편된 버전의 사용성 향상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과업과 새로운 과업의 사용성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사진: Unsplash의Mohamed Boumaiza


특히 애자일 환경에서는 SUS가 필수불가결한 도구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사용성 개선을 위해서는 SUS를 통한 정기적인 측정과 피드백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SUS는 프로토타입 간 선호도 비교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니즈와 선호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사용자 중심적인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SUS는 사용성 테스트의 핵심 도구로서, 제품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 반드시 활용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많은 기업들이 SUS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오늘 이 자리에서 SUS의 가치와 활용 방안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모두가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사용성 테스트와 SUS는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닙니다. 이는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니즈를 깊이 있게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과정 그 자체입니다.


우리가 SUS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이루어낼 때, 비로소 제품과 서비스는 진정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진: Unsplash




SUS 문항은 크게 두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첫째. SUS는 개별 과제가 끝날때마다 측정하는 Case


둘째. 각각의 과제별 과업 테스트가 종료되고 나서 전반적인 사용성 평가 측정하는 Case




SUS 설문 문항 구성과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Step1. SUS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구성합니다


ISO 9241–11에 기반한 사용성 측정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 세 가지입니다


- 효과성 (사용자가 목표를 완수할 수 있는가?)

- 효율성 (이를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과 자원이 필요한가?)

- 만족도 (경험은 만족스러웠습니까?)


SUS(System Usability Scale) 10개 문항에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10개 문항은 다시, 긍정 질의 5개, 부정 질의 5개입니다.  


물론, SSU 문항은 UX 프로젝트에 따라 10개 문항의 템플릿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사용성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SUS 문항은 개별 과제 수행한 다음에 질문하기도 하고, 혹은 모든 과제가 다 끝나고 나서 전반적인 수준 측정으로 질문합니다.


오늘은 전반적인 수준 측정의 SUS가 아닌, 개별 과제에 초점을 맞춘 SUS 문항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사례는 제가 사용성테스트 할 때 주로 사용하는 10개 문항에 대한 템플릿입니다.


효과성 (사용자가 목표를 완수할 수 있는가?)

1. (긍정) 나는 이 과업 수행을 위해 오늘도, 내일도, 모레도 자주 방문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2. (부정) 나는 이 과업 수행해보니, 나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이 듭니다.  

3, (긍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내가 기대했던 것 보다 다양한 기능이 잘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4. (부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너무 불 필요한 기능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효율성 (이를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과 자원이 필요한가?)

5. (긍정나는  과업을 수행해보니사용하기 편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6. (부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할때마다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고민이 들어, 고객 상담 센터에 바로 전화할 것 같습니다.

7. (긍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다른 사람들도 이 괴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빨리 사용하는 법을 배울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8. (부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불 친절하다는 인상을 갖게 합니다.


만족도 (경험은 만족스러웠습니까?)

9. (긍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10. (부정) 나는 이 과업을 수행해보니,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했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Step2. 10개 질문 문항별 리커트 척도를 부여합니다.


각 설문 문항에 점수는 매우 동의하지 않음에서 매우 동의함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를 기반으로 합니다.



- 전혀 동의하지 않음: 1점

- 동의하지 않음: 2점

- 중립: 3점

- 동의: 4점

- 매우 동의함: 5점


Step3, 이제 SUS 계산할 차례입니다.


X = 모든 홀수(긍정) 질문에 대한 점수의 합 – 5

Y = 25 – 모든 짝수(부정) 질문에 대한 점수의 합


그렇다면, SSU 점수는 = (X + Y) x 2.5


이렇게 하면 SSU 점수는 100점 만점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위 강연은 2024년 온라인 Zoom UX 수업 중 일부 내용입니다. 




전민수 UX 컨설턴트 소개
(UX 실무 경력: 27년차 UX 전문가: LG전자, 서울시청 등 약 300회 이상 UX 컨설팅 수행)
(UX 강사 경력: 23년차: 삼성, SK, KT 등 약 1,000회 이상 UX 강의 진행)

https://brunch.co.kr/@ebprux/1332


[실시간 Live 강좌] (PM/PO/UI/UX/리서치) 수강생 모집 중 

(이비피알유엑스 라이브클래스에서 매월 최소 1개에서 최대 4개 강좌 (온라인) 줌 Live 강좌 진행) (PM/PO/UI/UX/리서치/UX 방법론&프로세스 프레임웍)

https://ebprux.liveklass.com/


[VOD 강좌] (PM/PO/UI/UX/리서치) 수강생 모집 중  

(인프런에서 총 20개 VOD UX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PM/PO/UI/UX/리서치/UX 방법론&프로세스 프레임웍)

https://www.inflearn.com/users/196290


매거진의 이전글 서베이의 진정한 가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