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선비 Jan 26. 2020

오선비의 철학 용어 사전 38.

규범(規範)


규범(規範)
영 norm 독 Norm



 규범은 '규칙', '직각'을 뜻하는 라틴어인 norma에 그 어원이 있습니다. 이 개념은 우리에게 친숙한 일상어 이기도 한데요. 어떤 것의 평균적인 상태를 뜻할 때 사용하죠? 철학적인 맥락에서도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어떤 가치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하는 기준이나 원리를 말합니다.


 어떤 것이 규범적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는, 어떤 집단에 속해 있는가? 혹은 어떤 제도 속에 있는가? 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규범은 '특정한 가치' 하에서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규정하기 때문입니다. 이 가치들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달라짐은 당연하겠죠? 그래서 여기서 말하는 가치란, 보편적인 가치라기보다는 '특정한 가치'입니다.


 규범적이다 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르기 때문에, '정상성'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물론 어떤 것이 정상이냐 비정상이냐 하는 문제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고, 이는 개념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특정 철학에 대한 이야기로 발전될 수 있으니, 우선 넘어가겠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규범이란, 어떤 가치 판단을 내릴 때 사용되는 기준이나 원리인데, 여기서의 기준이나 원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를 수 있을만한 일종의 평균(정상적)적인 상태입니다. 




* 철학자들은 하나의 개념을 가지고 평생을 철학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떤 개념이든,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하는 것이 사실은 불가능합니다. 이 철학 용어 사전에서는, 철학이나 인문학 서적을 읽을 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뜻을 설명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책을 읽으실 때, 문맥이나 철학자, 특정 사조에 따라서 그 의미가 약간은 다를 수 있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어떤 상황이든 그 문맥이 가장 중요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선비의 철학 용어 사전 3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