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디 Aug 02. 2022

격리일기(3)

격리해제가 코앞이지만 여전히 상태는 메롱입니다.

 예전에 재밌게 봤던 영화가 생각났다. 이미테이션 게임. 베네딕트 컴버배치 주연의 영화인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했다. 앨런튜링이라는 수학자의 이야기. 더 길게 이야기하면 영화의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지는 않겠지만. 갑자기 이게 왜 떠올랐느냐 하면, 앨런은 사회성이 약간은 결여되어 있는 벽장 속의 인간이라 팀원들과 합을 맞추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처음 앨런은 이해시키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으니까. 그러다 노력을 시작하게 되었을 때는 곧잘 삐그덕거렸다. 그리고 지금 아무 맛도 느끼지 못하는 내 혀와 코가 그렇다. 몸에서 삐그덕거리고 있다. 


 어제까지만 해도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미각이 점점 심각해지는 것 같다. 어제는 겨우 아무 맛도 안 나는구나, 하는 정도였는데 이제는 음식에서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맛 중에 딱 두 가지만 느껴진다. 쓴맛과 신맛. 그중에도 신맛은 강력하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거의 통각같은 수준으로 짜릿할 뿐이고, 항상 쓴맛과 신맛의 베이스에는 짠맛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느낌이 든다고 하는 것은 쓴맛, 신맛 외에는 맛이 안 느껴지니까. 

 오늘 아침에는 엄마가 직접 재워두고 간 제육볶음을 볶아 먹었는데 그렇게 좋아하는 제육에서 아무 맛도 안 났다. 엄마는 달달하게 간 하는 것을 좋아해서 분명 달짝하고 약간 알싸할텐데. 쓴 냄새를 제외하고는 아무 냄새도 맛도 나지 않았다. 약간 눈물이 날 것 같다가 그냥 신기해서 몇번 더 주워먹었다. 뭘 먹어도 아무 맛도 안 나니까 이것저것 더 먹어보게 된다. 다른 사람들은 미각 후각을 잃으면 입맛이 없다던데. 입맛이 없지는 않았다. 다만 이것도 쓴 맛이 나네? 이것도 쓴 맛이 나네? 싶을 뿐이었다. 


 별다를 것 없는 하루였다. 아침을 먹고 약을 먹었다. 약은 졸릴 거라고 써있었는데, 졸리지는 않았고 오히려 입속이 조금 말랐다. 어제보다는 목 부음이 나아졌다. 베타딘을 더 뿌릴 필요는 없을 것 같아서 따로 뿌리지는 않았다. 한번 끔찍하게 앓고 나니 좀 괜찮아지는 것 같기도 했다. 원래 뭐든 한차례 격하게 지나가고 나면 괜찮아지는 법이라고 배웠는데, 코로나에도 그 법칙이 적용되는 것 같다. 약을 먹은 다음에는 한참 늘어졌다. 침대에 붙어서 일으킬 생각을 안 하고 그대로 가만히 누워서 한참을 있었다. 계속 휴대폰을 보다가 가끔은 창 밖을 쳐다봤다. 나가고싶지는 않았는데 너무 휴대폰만 보면 큰 일이 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아무 맛도 나지 않지만 세 끼를 다 챙겨 먹었다. 밥을 잘 먹고 잠을 잘 자고 나면 다 낫지 않았어도 건강해지는 것 같아서 괜찮았다. 이제 겨우 24시간 남았다. 격리생활. 생각보다 성실하지 못했지만 마무리까지 잘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격리가 끝나고 나면 좋아하는 친구를 만나서 산책을 하기로 했다. 매일매일 일상이던 것이 특별한 이벤트처럼 느껴졌다. 또 매일의 평범한 일상이 주어지면 불평하지 않고 천천히 둘러보는 하루를 보내야겠다. 조급해하거나 싫증내지 말고. 매일의 계절이 지나가듯이. 

매거진의 이전글 격리일기(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