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eeza Mar 12. 2024

UX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방법론

디자인씽킹 방법론이 UXUI에 필수적인 이유

 UX/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방법론은 각각 독특한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지만,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 원칙은 디자이너가 사용자와 공감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UX/UI 디자인 프로세스의 구조화된 접근은 사용자 피드백과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설계 결정의 실행 및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두 가지 방법이 결합되면 사용자 중심 및 효과적인 디지털 제품과 경험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Q: UX  / UI 디자인 프로세스는 어떻게 진행이 될까요?


 UX/UI(사용자 경험/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에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이며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디지털 제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러 단계가 포함됩니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조직 및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따르는 접근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가 포함됩니다.  


UX UI Design Process


조사: 이 단계에는 대상 사용자, 이들의 요구 사항, 행동 및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사용자 인터뷰, 설문 조사, 경쟁사 분석과 같은 기술은 일반적으로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석: 디자이너는 연구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패턴, 문제점 및 기회를 식별합니다. 이 분석은 프로젝트의 설계 목표와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와이어프레임: 와이어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모양과 자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충실도가 낮은 표현입니다. 이는 디자이너가 상세한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다루지 않고도 인터페이스의 구조와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입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고 해당 기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의 대화형 표현입니다. 프로토타이핑은 디자인 결정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수집하며 디자인 프로세스 초기에 사용성 문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각적 디자인: 시각적 디자인은 색상, 타이포그래피, 아이콘, 이미지 등 인터페이스의 미학적 측면에 중점을 둡니다. 시각 디자이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일치하고 대상 고객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응집력 있는 모양과 느낌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테스트 및 반복: 유용성 테스트에는 실제 사용자가 프로토타입 또는 최종 제품과 상호 작용할 때 관찰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테스트는 유용성 문제를 식별하고, 디자인 결정을 검증하고, 반복을 위한 피드백을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이너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과 개선 작업을 수행합니다.


구현: 설계가 마무리되고 승인되면 구현을 위해 개발팀에 전달됩니다. 디자이너는 개발자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디자인 비전이 최종 제품에 정확하게 반영되도록 합니다.


평가: 제품이 출시된 후에도 디자이너는 제품 성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평가에는 메트릭 분석, 사용자 수행데이터 등 이 포함됩니다.


 UX/UI 디자인 과정 전반에 걸쳐 소통과 협업, 사용자 중심의 사고방식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프로세스에는 종종 새로운 통찰력과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반복과 개선이 포함되므로 유연성과 적응성이 핵심입니다. 실험과 반복에 열린 자세를 유지하면서 구조화된 방법론을 따르면 디자이너는 영향력 있고 사용자 중심적인 디지털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UX/UI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협업, 커뮤니케이션, 반복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사용자 만족을 보장하는 핵심 원칙입니다.



Q: UX  / 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방법론은 어떻게 활용하나요?


 UX/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방법론은 사용자의 필요를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반복하며 해당 필요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밀접한 관련 프레임워크입니다. 비슷한 점이 있지만 각각의 독특한 특성도 있습니다. 각각을 살펴보겠습니다:  


     [UX/UI 디자인 프로세스]


위에서 설명한 대로 UX/UI 디자인 프로세스는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중점을 둔 디지털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연구, 분석,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이핑, 시각 디자인, 테스트, 반복, 실행 및 평가와 같은 단계를 포함합니다.


 UX/UI 디자인 프로세스의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행동을 이해

2. 프로토타이핑 및 테스트를 통한 반복적인 디자인으로 디자인 결정을 검증

3. 디자이너, 개발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

4. 최종 제품에서의 사용성, 접근성 및 미학에 대한 강조


     [디자인 씽킹 방법론]


 디자인씽킹은 독창적인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해 공감, 창의성 및 실험을 우선시하는 문제 해결 방법론입니다.  디자인씽킹은 1990년대 세계적인 디자인 기업 아이디오(IDEO)가 대중화하였으며, 디자이너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여러 분야의 팀들이 협업해서 사용자의 니즈와 기술적 가능성, 경제적 실현성을 조합하여 혁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이다. 주로 디자인적인 도전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교육 및 사회 문제와 같은 다양한 영역의 문제에도 적용됩니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로 구성됩니다.


Design Thinking Process

공감: 관찰, 인터뷰 및 공감력 구축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관점을 이해합니다.

정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문제 명세를 정의하고 사용자 요구 사항과 통찰력을 확인합니다.

아이디어 도출: 아이디어 발상 및 창의적 사고 기법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생성합니다.

프로토타이핑: 빠르고 저비용의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여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테스트합니다.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실험과 반복이 가능합니다.

테스트: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여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고,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그들의 입력에 따라 해결책을 개선합니다.

실행: 테스트 및 반복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기반으로 최종 설루션을 개발하고 실행합니다.


디자인씽킹의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 인간 중심 접근 방식

2. 반복적이고 협력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        창의성, 실험 및 실패로부터의 학습을 강조

3. 전통적인 디자인 분야를 넘어 다양한 영역에 적용


 UX/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씽킹 방법론은 각각 독특한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지만,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씽킹 원칙은 디자이너가 사용자와 공감하고, 문제 명세를 정의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초기 단계에 영향(UX 사용자 경험 조사 단계)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UX/UI 디자인 프로세스의 구조화된 접근은 사용자 피드백과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설계 결정의 실행 및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두 가지 방법이 결합되면 사용자 중심 및 효과적인 디지털 제품과 경험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반적인 UXUI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같이 살펴보면서 어떤 식으로 활용하면 좋을지 큰 그림을 갖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디자인씽킹과 여러 가지 사례들을 보면서 실제 활용을 어떻게 하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Design Thinking: Integrating Innovation, Customer Experience, and Brand Value" by Thomas Lockwood and Edgar Papke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by Tim Brown

"The Art of Innovation: Lessons in Creativity from IDEO, America's Leading Design Firm" by Tom Kelley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싱킹 / 어도비

스탠퍼드 D스쿨과 디자인 카운슬러 / 요즘 IT



[글쓴이설명]

현재 기획자이자 문제해결 디자이너입니다. 문제를 읽고 방향을 잡고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눈으로 보이는 것들을 구현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좋은 기회로 UXUI 인터렉션 디자인 포지션으로 독일에서 일한 경력과 대학 및 기업을 대상으로 UX/ UI을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알고 있는 것들을 저만의 관점으로 풀어 기록하고 공유하려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디자인씽킹 브랜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