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튜버 여우눈 FOXSNOW Mar 31. 2017

그림으로 하는 기도

기도로 그린 그림 이야기

김현지, 파도 포말(The bubble of waves), watercolor on paper, 78.7 × 54cm, 2007

제14장 파도 포말


  처음이었다. 파도를 그리려고 맘먹고 그린 첫 작품. 점을 찍어 확장된 점의 덩어리를 모아 파도의 결을 만들었다. 물감을 흥건히 붓털에 묻혀 농축된 색을 찍어낼 때의 쾌감을 화폭에 담아봤다. 바다를 이루는 물 알갱이를 점으로 찍어 표현했다. 물방울이 모여 거대한 바다가 되길 바랐다.


  바다가 될 수 있느냐는 의심은 좀처럼 생기지 않았다. 점을 찍을 때마다 크게 생겨나는 물결이 내 이 믿음을 더욱 견고하게 했다. 점의 움직임. 점들의 춤. 서로서로 뒤엉켜가며 이뤄내는 패턴이 곧 바다의 형상이 됐다. 천진한 아이처럼 그림을 그려낼 때, 내가 원하는 색상이 드러날 때, 색이 곧 맛으로, 식감으로 다가올 때, 기뻤다. 


  마음은 덩실덩실 춤을 추고, 물감 똥을 여백에 묻히며, 찰진 물방울의 엮임을 만들어냈다. 창조주가 작품을 만들 때의 기쁨이란 이런 것일까. 나 역시도 그 손에 의해 이렇게 만들어졌을까. 순수한 창작의 기쁨을 맛보면서 흰 종이를 채워갔다. 녹색을 띤 짙은 파란색 ‘코발트블루(Cobalt Blue)’, 검은빛을 많이 띤 파랑 ‘검남색(Navy Blue)’, 검푸른 물감 ‘인디고(Indigo)’, 맑은 파란색 ‘시안(Cyan)’ 등. 내 그림을 다채로운 색으로 채웠다. 


  파란 점 뒤의 부분은 흰 종이로 남겨뒀다. 마치 포말처럼 보이도록 말이다. 조금이라도 여백을 남기고 싶었다. 대학 다닐 때, 어떤 교수께 들은 말이 기억나서인지 여백을 남기게 된다. 여백이 좋다. 그는 흰 여백이 내 그림이 지닌 힘이라고 했다. 마치 동양화 같기도 하다고 말했던 그 교수의 말. 하얀 종이 배경이 만들어내는 바다의 물거품 포말. 물방울과 물방울 사이. 그 신비로운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깨알 같은 파도 입자로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그림으로 하는 기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