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온더라키 Mar 06. 2022

생각의 단편들 in 3월

그제야 깨닫는 것들

입장이나 상황이 바뀌고 나서야 깨닫는 것들이 종종 있다. 요즘 들어 나도 가끔 그런 순간들을 느낀다. 어찌 보면 나의 업보(?)인가 싶을 때도 있다. 그땐 몰랐던 것들, 아니 모른 척했을지도 모르는 것들을 이제는 외면할 수 없어서 결국 깨닫게 되는 것들이 있다.


내로남불

대선이 얼마 안 남은 요즘, 정치권에서 많이 들리는 말들 중 하나가 있다. 바로 "내로남불"이다. 생각해보면 요즘에만 그런 건 아니겠다마는 그걸 보고 있자니 남일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남의 일에는 종종 깨어있는 척, 지성인인 척 여기저기 어디서 주워듣고 보고 한 그럴듯한 얘기들을 다 가져다 붙이면서 얘기하지만 정작 본인한테는 적용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 흔하디 흔한 내로남불인 것 같다.


착각

우리는 수많은 착각 속에서 살아간다. 나만 아니면 괜찮다는 착각. 나는 괜찮다는 착각. 나는 아니겠지 하는 착각. 나 정도면 하는 착각. 어쩌면 착각을 하면서 살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다.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빨리 깨닫고 착각에서 벗어날수록 삶이 조금은 더 편해질지도 모르는데 말이다.


배려와 기대

상대가 원하지 않는 배려는 오만이고, 객관적이지 않은 기대는 욕심일 수 있다. 사람들은 때때로 자기 기준에서 만의 판단으로 오만을 배려라고 착각하고, 욕심을 기대라고 착각하고는 한다. 하지만 내가 그 상대가 되어보면 또 다르다는 것을 경험을 하기 전까지는 알지 못한다. 혹은 경험을 하고 나서는 또 금세 잊어버린다. 피곤한 삶이 되지 않도록 때로는 무관심하게, 미래에 대한 예측 없이 있는 그대로 지금을 살아갈 필요가 있다.


포기와 오기

포기는 배추 셀 때나 쓴다는 누군가의 말처럼 끝까지 오기를 부려서라도 포기는 해서는 안 되는 부정적인 것일까, 포기하는 것도 용기라고 만능에 대한 집착 없이 선택과 집중을 위해 과감히 내려놓는 게 맞는 것일까. 아직은 잘 모르겠다. 역시나 답은 없겠지 싶다. 진리의 사바사 케바케 일 듯 하니. 뭐가 됐든 치열하게 고민하고 결정을 내리면 그 다음번 선택은 조금 더 나아지겠지.

keyword
작가의 이전글 배 안 나온 아재를 위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