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뚜백 Feb 22. 2022

아프리카 어느 마을의 잠수부

그의 나이는?

작은 시골 마을 한적한 바닷가에 앉아 있다 보면 자루 같은 것을 메고 다니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나는 그냥 동네 주민인 줄 알았는데, 어느 날 남편이 그 사람에게 돈을 주고 뭔가를 사는 걸 봤다. 저 멀리 앉아있던 나를 부르는 남편. 궁금해서 다가갔더니 갑자기 ‘굴’을 샀단다. 열한 개인가 열두 개에 한국 돈 사천 원 정도. 환율, 수수료 다 쳐서 높게 잡아도 오천 원이니 커피 한 잔 가격이었다. 그래, 오션뷰 보면서 라테 대신 굴을 먹는 건가? 싶었다.


아무 자리에나 철퍼덕 앉더니 굴을 까기 시작한 그, 그리고 그의 옆에 놓인 아주 오래된 것 같은 수경. 그의 직업은 잠수부였다.


바닷속 돌들을 헤집고 다니느라 짧게 자른 손톱 아래로 까만 때가 끼어있었다. 다른 사람들은 흰색 손톱이 자라는데 그만 특별하게 검은색 손톱이 자라는 것 같았다. 피부는 소금물 때문인지 조금은 건조하고 아주 질겨보였다. 군데군데 삐져나온 흰머리 몇 가닥과 빼짝 말랐지만 근육이 드러나는 팔다리. 굴 까는 모습을 구경하던 내가 현지어로 안녕하시냐고 묻자 그는 고개를 들어 웃으며 대답했다. 쭈굴쭈굴한 눈가 주름 사이에 모래인지 소금이 묻어있었다. 이도 많이 빠져서는 발음이 좀 새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나는 당연히 나이 많은 할아버지라고 생각했는데, 남편은 자기가 아는 사람인데 많아봤자 50대라고 그 정도로 늙진 않았단다. 고된 일을 해서 나이 들어 보이는 것일 뿐이라 했다.


고된 일… 매일 바다에 들어가 굴이나 전복을 따고, 바닷가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까서 파는 일. 나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일이라 그 삶이 어떨지 상상이 안 되었다. 하지만 내 기준만으로 함부로 힘들겠다, 괴롭겠다, 어렵겠다, 지치겠다, 지겹겠다고 말할 수 없었다. 그러기에는 잠수부 아저씨가 너무 웃는 얼굴이라서.


원래 개수보다 굴도 하나 더 까주고 우리가 라임이 없다고 하자 라임도 몇 개 그냥 나눠주는 따듯한 마음을 지닌 아저씨를 보고 있으니, ‘저 사람이 하루에 굴을 몇 개나 따서 얼마나 팔 수 있을까?’, 사천 원, 팔천 원, 만 이천 원… 계산하던 내가 너무 우스워졌다.


이날 먹은 진짜 자연산 굴은 대서양을 통째로 마시는 듯한, 입안 전체가 바다로 가득 차는 맛이었는데- 나는 언제쯤 바다 같이 넓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세네갈 사람들의 운동에 대한 열쩡, 열쩡, 열쩡!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