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x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대영 Sep 28. 2023

[단독] “중국, 신장 위구르 수용자 칭하이성으로 옮겨

...강제노동” feat. 국무부, OHCHR 성명

25일(한국시간) 중국 정부의 신장 위구르 인권탄압이 시진핑 3기 들어 심화하고 있다는 독점 보도를 했습니다. 당국이 수용자들을 칭하이성으로 옮겨 면화 재배를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도 새로 폭로했고요. 기사 내용은 크게 1. 미국 제재에도 여전히 판을 치는 면화 재배 2. 위구르족 아동들의 강제이주와 사상주입으로 나뉩니다. 저는 보도 후 국무부와 유엔 인권사무소(OHCHR)에 각각 두 차례에 걸쳐 기사를 보내고 성명을 요청했습니다.


26일(미국시간, 한국은 27일) 국무부와 유엔 인권사무소는 각각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국무부는 기존 신장 위구르 강제노동 규탄 보고서에 첨언하는 방식으로 성명을 냈고, 유엔 인권사무소는 아동 강제이주와 사상 교육을 지적하는 성명을 냈습니다. 아래 보도된 기사와 성명을 함께 게재합니다.

유엔, 신장 위구르 아동 강제분리 규탄 성명 (요약)

유엔 특별보고관들은 신장의 국영 기숙학교 시스템이 크게 확장하면서 아이들의 모국어 교육을 제공하지 않고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 무슬림 아이들을 그들의 가족과 지역사회로부터 강제 분리시켜 강제 동화를 초래한다는 주장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신장 기숙학교들이 위구르어를 수업 매체로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은 채 독점적으로 공용어(중국어)로 수업하고 있으며,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 자녀들이 가족과 분리되면 이들이 중국어로 강제 동화되고 하나의 문화적 관행만 채택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우려했다. 또 차별적 정책으로 인한 소수민족의 교육받을 권리, 가정생활, 문화권 침해 등을 강조했다.


이 아이들은 당국에 의해 ‘고아’로 취급돼 중국어를 사용하는 기숙학교, 유치원, 고아원에 배치된다. 이는 필연적으로 그들의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문화, 종교, 언어적 정체성을 약화할 것이다.

미국 국무부, 신장 위구르 강제노동을 통한 공급 규탄 성명 (전문)

국무부는 재무부, 상무부, 국토안보부, 무역대표부(USTR), 노동부와 함께 2021년 개정했던 신장 공급망 비즈니스 권고에 대한 부록을 발행했다. 신장 자치구에서 진행 중인 중국의 집단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그곳에서 널리 퍼진 강제노동의 증거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


부록은 다음 사항을 강조한다

1. 신장 지역에서 국가가 후원하는 강제노동과 기타 인권 침해로 인해 발생하는 공급망의 지속적이고 광범위하며 만연한 위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정부 및 비정부 출처의 보고서이다.


2. 기업은 중국에서 강제노동을 통해 채굴, 생산 또는 제조된 상품의 수입 방지전략에 따라 적절한 인권 실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 지침은 위구르 강제 노동 방지법에 따라 발행됐다.


미국은 정부 전체의 노력과 민간 부문, 동맹국 및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중국의 잔혹 행위와 기타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 규명을 계속해서 촉진할 것이다.

국토안보부, 위구르족 강제노동 연관된 중국 기업 3곳 제재 (기사)

미국이 신장 위구르 강제노동에 연루된 중국 기업 3곳을 추가로 제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공급망에서 위구르족의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제품을 배제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제재 기업 수는 총 27개로 늘었다.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성명에서 “우린 이익을 얻기 위해 개인의 인권을 탄압하고 강제 노동하는 기업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제재 기업은 Xinjiang Tianmian Foundation Textile Co., Xinjiang Zhongtai Group Co, Xinjiang Tianshan Wool Textile Co 등으로, 각각 섬유제품 생산과 PVC/건축자재 생산, 캐시미어/울 의류 판매를 영위하고 있다.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발의했던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성명에서 “강제노동에 잠재적으로 연루된 중국 기업과 단체 수천 곳이 있다”며 “(제재의) 느린 속도는 강제노동으로 이익을 얻는 자들을 대담하게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제부 #기자

매거진의 이전글 그동안 읽어주어 감사했다[완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