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년실격 Feb 06. 2024

국민연금과 기울어진 의자

무관한만큼 쿨한 정의감

그날은 유난히도 힘든 날이었다. 아침 9시부터 중요한 회의를 마쳤다. 출장까지 마치니 저녁이었다. 집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서울역에 도착했다. 배차 간격이 길었고, 출발지였던 만큼 승객은 적었다. 버스가 와서 적당한 자리를 골랐다. 의자는 뒤로 눕혀져 있었다. 전 탑승객이 원복 하지 않고 내린 듯하다. 자리에 앉았다. 꼿꼿하던 옆 의자보다 편했다.

 

서울역에서 신촌으로, 신촌에서 홍대로 갈수록 승객이 많아졌다. 사람 많은 금요일 저녁이다. 송도와 서울을 오가는 버스는 몇 없다. 승객이 우르르 탑승했다. 금방 자리가 채워졌다. 뒷좌석에도 사람이 앉았다.

 

눈을 감은 채로, 의자를 올려야 할지 고민했다. 젖혀있는 의자를 세우는 게 뒷사람을 배려하는 일이다. 그런데 내 앞 의자도 마찬가지로 나를 향해 누워있다. 사실 의자가 뒤로 좀 누워있다고 유난히 폐 끼칠 일도 아니다. 무엇보다 의자를 올려도 되지 않아도 되는 가장 큰 당위는 “내가 눕힌 의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의자는 내 손에 피 안 묻힌 편한 의자다.


바빴다던 그날은, 점심을 먹으며 동료와 국민연금 제도로 열불 나게 토론했던 날이다. “고령화 속도를 보면 젊은 세대들의 국민연금 부담률은 더욱 높아지고, 낸 만큼 못 받을 수도 있는데, 이거 너무 불공평한 거 아니냐 “는 불만이었다. 학문이 짧은 우리가 할 수 있는 말들은 거기서 거기였으며, 결국엔 “연금 받는 사람들이 스스로 가진 것을 내려놓아야지”라는 낭만적인 해결책으로 합의했다. 대의를 위해선 개인의 이익은 희생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꼭 그런 기회가 생겼을 때 먼저 연금 수혜액을 낮추자고 말하는 사람이 되자고 다짐했다.  

 

하필 그 의자에서 그 대화가 떠올랐던 건 왜일까.

 

국민연금을 지키는 사람들과 의자를 바로 세워야 고민하는 내 모습이 오버랩 된다. 누구나 자신의 것을 내려놓기 어렵다. 연금이라면 더 그럴만하지. 누구라도 적게 내고, 많이 받고 싶다. 만약 친구와 내가 65살 어느 날에 점심을 먹으며 국민연금을 얘기했다면 오늘 대화는 정반대로 흘렀을 거다. 연금 부담률이 더 높아야 한다고.

 

나는 국민연금 수혜자가 뒷세대를 배려할 줄 모른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그건 아직 연금과 거리가 멀어서 내뿜는 쿨한 정의감일 거다. 누군가를 비난하기 위해선, 그 사람 입장이 돼 봐야 한다. 나는 고작 기울어져 있던 의자에서도 마땅한 일을 바로 세우고 싶지 않았다. 의자가 편하더라.

이 글이 국민연금에 대한 논의를 위함은 아니다. 실질적인 필요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다. 그 보단 내 이중성에 대한 고백이다.

 돌이켜 보면 나는 내가 불편하지 않는 선에서만 정의로웠다. 내 이상은 “환경을 지켜야 한다 “고 생각하지만 여름엔 에어컨 없는 곳엔 가지 않았다. 법은 모두에게 공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어쩔 땐 내 쪽으로 조금 더 유리하길 바랐다. 장애인은 배려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꽉 찬 주차장에서 비워져 있는 장애인 주차 구역을 볼 때 “어쩌면 저건 낭비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국민연금에 대한 생각도 그 연장선 중 하나다. 점심에 내가 열불을 냈던 이유는, 내가 내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받을 나이가 되면, 뜨거웠던 나를 어색해할지 모른다. 그러니까, 내 이상은 실제 내 모습과 너무 달라서 그 괴리감에 나는 자주 부끄러워했다.

 

조금씩 노력하다 보면 내가 되고 싶은 내 모습과, 실제 내 모습이 일치할 수 있을까. 같아지진 못하더라도 비슷해질 수 있길 바란다. 감았던 눈을 떠서 의자를 일으켜 세웠다.


이거 하나 안 올리고 싶어 글쎄 별 생각을 다 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의사결정 안 내려주는 상사 밑에서 성장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