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어떤 아침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야 Jan 10. 2024

창피하지만 어쩌겠어, 그래도 살아야지

23년 10월의 일기

“유치원 시절의 나는 다른 아이들이 다 하는 것을 하지 못했다. 이를테면 달력에 스티커를 붙일 때, 나만 스티커를 어디까지 붙여야 하는지 몰랐다. “31까지 쭉 붙이면 돼”라고 다들 가르쳐주어도 나는 31번 칸까지 셀 줄을 몰랐다. 실수하는 것이 두려워서 스티커 한 장 붙일 때마다 “또 붙여?” 하고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했다. 처음에는 “또 붙여도 돼”하고 친절하게 가르쳐주던 친구도 결국에는 화를 내서 내가 울면 선생님이 와서 더 야단쳤다. “못하면 처음부터 한다고 말을 하지 마.” 고작 여섯 살이었다. 무엇을 못하는지조차 모른다.” - 마스다 미리, <성장 속도>, <<전진하는 날도 하지 않는 날도>>


가끔 어린 시절의 나를 떠올려본다. 모두가 그렇듯, 어떤 면은 뛰어났는가 하면, 또 어떤 면은 어떻게 이렇게까지 부족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부족했다.


국민학교 2학년 때의 일이다. 학년 단위의 작은 운동회에서 반 대표로 이어달리기를 나갔었는데, 문제는 이어달리기가 어떤 경기인지도 모르고 그저 나오라 하니 나갔던 것이다. 너무 긴장한 나머지 앞선 상황이 아무것도 보이질 않았다. 내 차례가 되어 바통을 받고는 운동장을 반대 방향으로 냅다 뛰었다. 그것도 아주 열심히. 지금 생각해 보면 웃음이 나는 일이지만, 그때 선생님이 나를 바라보던 허탈한 눈빛과 타박(“넌 어디가 좀 모자라니?”), 나 자신에 대한 실망감으로 울 것 같던 기분을 잊을 수가 없다.


일본의 에세이스트 마스다 미리의 짧은 에세이 <성장 속도>에 나오는 이 에피소드를 보며, 나는 아주 잠깐이지만 그 에피소드 안에 내가 있는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 다른 아이들이 어려움 없이 잘하는 것들을 나만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있을 때의 창피함과 불안감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일까.


회사에 갓 들어간 초년생 시절에도 그랬다. 기다려주고 가르쳐주는 사람보다는 윽박지르는 사람들로 둘러싸인 것 같았다. 누군가는 농담 반 진담 반 ‘넌 안 될 거야’라고까지 했다. 하나를 알려주면 둘을 까먹는 것 같고, 뒷자리에서 선배가 한숨만 쉬어도 나 때문인 것 같던 날들. 열심히는 하는데 운동장을 반대 방향으로 뛰고 있는 것 같던 날들. 


지금 생각해보면, 당시의 나를 가로막았던 가장 큰 걸림돌은 ‘창피함’이었다. 내가 이런 간단한 것도 못한다는 창피함과 불안함에 빠져 허우적댔다. 좀 모를 수도 있고, 좀 못할 수도 있고, 좀 물어볼 수도 있는 것인데, 그때는 그게 세상 큰 슬픔으로 다가왔다. 그래서 바보 같게도(!) 할 수 있는 것조차 펼쳐보지 못하고 엉엉 울기만 했다.


서른여덟의 나에게 이제 ‘창피함’이란 어쨌거나 딛고 일어나야 할 무엇이 되어 버린 것 같다. 창피하지만 어쩌겠어, 그래도 살아야지. 창피하지만 어쩌겠어, 다음 달 카드값은 내야지(???!!!!). 창피함을 느끼지 않을 순 없지만, 최대한 빨리 잊는 게 최선이다. 지금 15년 전의 나를 만난다면, 빨리 잊고 맛있는 것이나 먹자며 데리고 나가고 싶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누구나 성장 속도가 다르다는 걸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속도 속에서 살아가고 싶다. 하루하루 내 나름 열심히 살아야 하는 건 맞지만, 뭐 하나라도 약점 잡히지 않기 위해 아둥바둥 살고 싶진 않다.


다음 주에도 창피할 일은 도처에 널려 있겠지? 창피하지만 어쩌겠어, 그래도 살아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아침 루틴은 나를 어디로 데려다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