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숲 Apr 03. 2022

[ 펀딩 수난사 ] 1-1. 상품 기획

어떤 것으로 시작해볼까?

  펀딩 상품의 기획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뭘 만들지, 어떻게 만들지, 상품의 수요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만들고 싶은 품목을 선정하고 생산 방법을 찾아봐도 되고, 혹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등에서 흥하는 제품이 무엇인지 조사한 후 내가 만들 것을 정해도 됩니다. 저는 '어떻게 만들지'부터 정하는 편입니다. 일단 알고 있는 제작 업체들을 쭉 돌면서 상품군과 견적을 조사합니다. 수십 가지 상품군 중 몇 가지 제품들이 정해지면, 그 제품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 겁니다.


  처음은 간단한 문구류가 접근하기 좋습니다. 스티커, 아크릴 제품, 키링, 컵, 배지 등은 많은 제작 업체들이 존재하고, 샘플링에 드는 비용이 없기 때문에 소량 제작이 용이합니다. 혹여 패브릭 제품(가방류, 인형, 의류 등)과 금형이 필요한 제품(피규어 등)으로 접근한다면 샘플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작을 위한 도안 제작비와 수정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본인의 예산사항에 따라 품목 선정에 대한 적절한 타협이 필요하겠지요.




"시제품 생산이 필수인가요?"

  : 아닙니다. 시제품이 없더라도 펀딩 계획서만 잘 작성한다면 그 프로젝트는 승인됩니다. 단, 아이디어만 있을 때의 신뢰도와 시제품이 있을 때의 신뢰도에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저는 시제품 생산을 한 뒤 펀딩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시제품이 없다면, 아이디어가 실현되었을 때의 모습을 이미지로 구현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프로토타이핑과 목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내가 가진 자본과 능력을 어필해 '나는 이것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자료들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x. 저는 이런이런 것들을 해봤고, 이런 업체들과 일해 본 이력이 있습니다. 현재 도안은 이러이러하고 업체와 논의하여 도안 수정 중에 있습니다)




 "제품의 내러티브가 필요할까요?"

  : 제가 말하는 '제품의 내러티브'는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 "유기견을 위한", "성소수자들을 지지하는", "(모종의 사건, 인물을) 기념하는"과 같이, 제품에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것.

  물론 기획부터 해당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다면 이러한 내러티브는 유의미합니다. 그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후원자가 될 테니까요. (다만 텀블벅의 2020년 변경된 정책에 따르면, 펀딩 완료 후 일정 금액을 기부를 하는 것은 창작자의 자유이지만 펀딩 세부내용에 기부를 공약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참조) )

  그렇다고 해서 내러티브가 없는 제품이 무의미하다는 말은 아닙니다. 내러티브 없이도 좋은 디자인의 좋은 제품은 후원자를 끌어당길 수 있습니다. 제가 하고 있는 '슈파두파럭키캣'이 그런 사례가 되겠지요.

  펀딩 플랫폼을 돌아다니다 보면 이따금 수요가 있는 사회적 가치에 편승하여 무작위로 제품을 만들어내는 창작자도 보입니다. 펀딩의 성공을 위해 진실성 없는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것은 내러티브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창작자의 금전적 이득을 위한 가짜 내러티브에 후원을 하고 싶은 후원자는 없을 테니까요.




  작은 자본으로 시작하는 저는 약 3일에 걸쳐 여러 업체들을 검색하며 품목을 결정했습니다. 조각 스티커 3종, 판 스티커 1종, 아크릴 톡 3종, 핸드폰 케이스, 그리고 아크릴 키링 2종. 아크릴 키링은 단가가 올라가더라도 특수한 후가공이 가능한 업체로 선정했고, 조각 스티커와 판 스티커는 제작과정 편의 상 같은 업체에 맡기기로 했습니다.


  시제품 생산 기간은 업체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영업일 기준 일주일 정도였습니다. 그 생산 기간 동안 저는 텀블벅과 와디즈를 돌아다니며 제가 유입될 카테고리 안에서 성공한 프로젝트, 그리고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사례를 수집했습니다. 성공을 거두는 사례에는 이유가 쉽게 보였습니다 .(그냥 엄청 귀여움/인기 웹툰 캐릭터 IP를 이용/유명인이 만든 캐릭터/기발한 아이디어/계절적, 시기적 특수성 겨냥)

충분히 수요가 있을 법 한 이런 프로젝트들도 펀딩이 무산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패한 사례에서는 이유를 한눈에 알아채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찬찬히 시간을 들여 모두 살펴봤어요. 이건 약간 주류의 취향을 비껴나간 것 같고, 이건 그냥 그래픽 디자인만 올려놔서 완성품을 알기가 힘들고, 이건 제품은 정말 괜찮은데 달성 금액이 너무 높아서 불발이구나.


  성공을 위해서는 결국 매력적인 메인 이미지와 상품 상세 이미지, 그리고 적절한 달성 금액 설정이 관건이라고 판단했습니다.



* 인스타툰 계정 : @soupsoupforest

* 슈파두파럭키캣 계정 : @super_duper_lucky_



작가의 이전글 [ 펀딩 수난사 ] 0. 프롤로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