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iem Mar 24. 2023

[나는기레기다] 밥은 펜보다 강하다

밥벌이

"펜은 칼보다 강하고, 밥은 펜보다 강하다."     


JTBC에서 방영한 월급쟁이 기자들의 밥벌이 라이프를 그린 드라마 허쉬에서 나오는 대사다. 이 말은 현 언론산업 전체를 관통한다 해도 무방하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권위와 영향력을 점점 잃어가는 언론사들에게 미래가 있을까? 언론산업에 종사하는 젊은 기자 중 이 고민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고민의 본질은 언론사가 기업의 광고 없이는 자생이 거의 불가능 하다는 데 있다.  

   

언론으로써 전문성 부족했던 언론     


언론사는 기업과 '공생관계'일까 '기생관계'일까. 과거에는 분명히 공생관계 였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는 점점 기생관계로 변하는 듯하다. 기생은 한 생물체는 손해를 보고 다른 생물체는 이득을 보는 두 생물체간의 관계를 뜻한다. 대부분 기생생물(parasite)이 숙주(host)에 붙어살며 영양분 공급, 포식자로부터의 회피 등의 이득을 보며 그 생활주기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언론사와 기업이 더 이상 공생관계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그간 언론사들이 언론이라는 이유로 당연히 누려오던 것들을 점점 빼앗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상당히 복합적이지만, 가장 큰 두 가지 요인 ▲인터넷 보급과 ▲신뢰의 하락이다. 인터넷이 보급되며 언론은 검색포털에 영향력이라는 '권력'을, 인플루언서들에게 '신뢰'마저 빼앗기고 있기 때문이다.     


전효성 한국경제TV 기자는 ‘언론계를 떠나는 젊은 기자들’이라는 유튜브 영상에서 언론산업이 사양산업이 된 이유로 “근본적인 문제는 사람들이 더 이상 언론사를 통해 정보를 얻으려 하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현실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 한국’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사람들은 언론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 기구이고(3.84점), 한국에서는 언론 자유가 보장돼 있으며(3.67점), 언론이 어느 정도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만(3.55점), 정확성도(3.25점), 신뢰성도(3.24점), 공정성도(3.12점)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언론사의 신뢰도가 하락한 배경에는 허위/조작정보, 즉 가짜뉴스(23.8%)와 편파적 기사(22.9%), 속칭 “찌라시” 정보(14.9%)가 문제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 결과가 더욱 씁쓸하게 다가오는 것은, 언론이 미디어로 전문성이 부족했기에 나타났다는 것이다. 언론학에는 ‘문지기론’이 있다. 미디어가 정보를 선택하되, 그 선택의 기준은 기자 개인, 미디어라는 조직, 더 나아가 사회 자체가 정한다는 이론이다. 그렇기에 기자를 정보의 문지기, 게이트키퍼라 부른다. 보고서의 조사결과에서는 언론이 문지기로써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당연히 가장 우선시 되는건 팩트지요. 그 다음엔 이해관계 속에서의 공정, 이데올로기에 있어서는 균형... 그리고 품위입니다. 무엇을 보도할 것인가와 어떻게 보도할 것인가에서 품의가 빠지면 안됩니다.”

     

손석희가 JTBC 부장들과의 첫 상견례자리에서 한 말이다. 손석희가 보도 담당 사장으로 재임 당시 ‘팩트, 공정, 균형, 품위’는 보도의 핵심 키워드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 네가지 키워드는 JTBC의 위상을 완전히 바꿔놓는다. 손석희 사장 부임 전 JTBC는 7개 뉴스 채널 중 가장 존재감 없는 종편채널로 불렸다. 그러나 손석희 사장이 뉴스 진행을 맡은 이후 영향력, 매체 신뢰도 등에서 JTBC 뉴스가 압도적 1위를 기록한다. 

    

이는 언론사에게 언론으로의 전문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여실히 보여준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기레기다] 기자와 기레기, 그 사이 어딘가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