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단미 Jun 06. 2024

친구야 김밥 잘 먹었..다?

지병이 있는 어머니는 내가 십 대였을 때 유난히 자주 아프셨다. 고2 봄소풍때였나.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조차 힘든 어머니는 당연히 김밥을 싸줄 수 없었고 나는 김밥 대신 먹을 과자 몇 봉지를 사고 소풍을 떠났다. 지금처럼 이른 아침에 김밥을 쉽게 살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기에 애써 사려 하지도 않았고 살 수도 없었다. 그렇다고 그 상황을 슬퍼하거나 불평하지 않았다. 그저 과자로 부족하면 집에 와서 밥 먹으면 되지 하는 가벼운 마음 뿐.


소풍날 막상 점심 때가 되니 과자로는 영 성에 차지 않았다. 소풍의 상징과 같은 김밥을 먹지 못한 타격이 생각보다 컸다. 그러나 가방에 없는 김밥을 어쩌랴. 아쉽고 아쉬운 마음만 달랠 뿐.


그 때 운명처럼 동아리 친구를 만났다. 우리는 같은 반이 아니었는데 어쩌다 마주친걸까. 친구는 소풍인데다 점심시간에 만났으니 으레 할법한 질문을 던졌다.


"밥 먹었어?"


"엄마가 아프셔서 도시락을 못 싸왔어."


나는 조금 풀이 죽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불쌍한 척 하려한건 아니었는데 우리 사이에  굳이 아무렇지 않은 척 해야하는 건 아니었으니까. 그런데 친구가 무심히 한 마디를 던졌다.


"나 도시락 두 개 싸왔는데 하나 줄게."


과자 나부랭이로 때울 뻔한 점심은 친구엄마표 김밥으로 마무리됐고 처량할 뻔 했던 소풍은 친구 덕에 잠시나마 화창한 날씨와 초록 가득한 풀밭과 함께 기분 좋은 기억으로 남았다. 신기한 건 친구가 가방에서 도시락을 꺼내던 그 장면이 고2 소풍에서 남은 유일한 기억이라는 점이다.


이 기억을 글로 남기려니 고작 김밥 건네받은 장면 하나로는 부족한 듯 하여 친구의 기억을 빌려보려했다. 친구가 가진 기억은 나와 또 다를 수 있으니 우리 둘의 기억을 조합하면 사진 한 장같은 밋밋한 이야기보다는 그럴싸해지지 않을까.


"너 우리 고2때 소풍날 기억해?"


나는 은근히 기대를 갖고 물었으나 친구가 한 대답은 내 시나리오 저 멀리 있었다.


"고2때? 우리가 그때 소풍도 갔었니?"


이럴 수가. 글렀네 글렀어. 소풍 간 기억조차 없을 줄이야. 그냥 전화를 끊으려다 실마리를 던져주면 뭐라도 떠오르지 않을까싶어 상황을 설명해주었다.


"그 날 내가 이러저러해서 김밥 못 싸갔는데 마침 너가 남는 도시락 있다며 주더라고."


"이야...내가 그랬다고? 나 꽤 괜찮은 사람이었네!"


자화자찬하는 친구에게선 아무 것도 건질 것이 없었다. 소풍 자체가 기억 속에 없는데, 남는 도시락 하나 준 게 별거랴. 그 작은 행동으로 내게서도 잊힐 뻔한 고2 소풍은 기억에 남았으니 내겐 더없이 특별하지만 말이다.


독자의 눈물을 쏙 뺄만한 이야기는 물건너갔지만 우리는 희미한 소풍날을 떠올리며 잠시나마 고등학생으로 되돌아갔다. 그래, 이렇게 이야기할 추억이 있고 친구가 있다는 것이 소중한거지.

작가의 이전글 노약자석에 앉아야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