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MOVED MOVER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며 그리스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역시 그 경계를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제품이나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이전 세대 철학자들이 세운 이론들을 출발점으로 삼았지만, 그들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본질을 탐구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 탐구 과정에서 그가 주목한 것은 바로 사물을 구성하는 기본 재료와 사물의 변화 및 원인에 대한 깊은 이해였다. 그는 사물의 초창기 상태를 결정짓는 재료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이러한 재료가 만약 신적인 힘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면, 그것은 과학적인 탐구의 대상이 아니라 단지 신화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재료의 근원을 신에 있다고 보는 관점은 논리적인 사고의 범위를 넘어선 것이라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였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나 세계가 어느 특정 시점에 생성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원시부터 존재해 왔다고 보는 관점을 채택했다. 이러한 관점은 무에서 무언가가 생겨날 수 없다는 고대 그리스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사상은 탈레스로부터 시작하여 헤라클레이토스, 아낙사고라스, 데모크리토스 등을 거치며 더욱 세밀하고 정교해졌다. 플라톤 시대에는 우주를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로 이해했고, 데미우르고스라는 존재가 초기 질료에 형태를 부여하여 세계를 창조했다는 관념을 도입했다. 이러한 시각은 우주의 시작이 목적론적 관점에서 비롯됐다는 생각에 기인한다. 이와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를 유기체로 보면서도 플라톤과는 다르게 그것을 영원히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 신은 창조자가 아니라 모든 운동의 최초의 원인으로서 기능하는 존재였다. 이 최초 원인을 움직이게 하는 외부의 힘은 없기 때문에, 그는 우주가 영원하다는 주장을 '부동의 원동자'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어 플라톤의 유기체론과 목적론을 받아들이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재료를 포함시켜 우주가 궁극적으로는 원초적 상태에서 존재해왔다고 보았다.
원인론적 접근 방식은 존재하는 모든 실체의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어떤 실체의 원인을 탐구하려는 물음은 종국에는 어떤 근본적인 진리 혹은 원리에 도달하려는 시도이다. 이 근본 원리가 바로 모든 움직임의 최종적인 이유이며 제1 원인으로 간주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운동이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았으며, 어떤 사물을 움직이게 하는 원인 뒤에는 또 다른 원인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연쇄적으로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결국에는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들은 끝없는 원인 속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어떤 실체가 존재한다면, 그 실체를 움직이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궁극적인 운동의 원리로서 실체는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원칙은 사물이 현실에서 실제로 움직이고 있지 않더라도, 그것의 움직일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항상 활동적인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첫 번째 운동 원리는 완전한 상태, 즉 어떠한 외부 원인의 영향도 받지 않는 모든 것의 근원으로서 작동하는 공허한 존재, 즉 부동의 원동자로 정의된다. 이 원동자는 오로지 이성만이 존재하며, 움직임을 유발하는 동기는 선함과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에 있다. 따라서, 자연의 모든 과정은 최초의 원동자에 의해 조절되고 있으며, 이 원동자는 실질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가진 신과도 같다.
이러한 부동의 원동자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인 결론은 플라톤의 신화적 창조자, 데미우르고스와는 확실히 구별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의 창시자로 기억되며, 최초에는 학문 자체의 존재의의를 탐구하는 것이 형이상학의 주된 목적이었으나, 점차로 신이나 초월적인 현상들을 탐구하는 영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성을 중시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인간 내면의 형이상학적 영역이 있기 때문에, 결국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해 논하게 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현대의 물리학에서는 우주의 시작을 '빅뱅'으로 설명하지만, '빅뱅 이전에 무엇이 있었나'라는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질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부동의 원동자 개념과 궤를 같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