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쪙약사 Nov 23. 2020

주말 당직

주말 있는 삶을 살고 싶다. 

12월 주말당직표가 나왔다. 그 달력에 내 이름이 없다는 것이 퇴사를 실감나게 했고, 무언가 엄청 홀가분했다. 12월 25일 크리스마스나 1월 1일 새해 첫 날 당직을 하게 된 선생님들은 특히 분노했다. 역시 퇴사하기로 한 건 잘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지난 3월 입사 이후로 한달에 거의 꼬박 3번씩 주말 당직근무를 했다. 그렇다. 보통 한달에 주말은 4주가 있는데, 그 중 3번은 온전히 쉬지 못했다는 얘기이다. 그러는동안 실로 엄청난 피로감이 쌓였다. 


최근에 어디선가 '부자가 되고 싶다면 워라밸을 따지지 말고, 일해라. 무조건 오랜 시간 일하라'는 말을 보았다. 시급에 근무시간을 곱해서 월급을 받는다고 할 때, 오래 일할 수록 돈도 많이 받을 수 있으니까. 하지만 병원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공식이었다. 병원에서 당직비를 줄이기 위해 시프트오프 라는 제도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주말근무는 짧은 당직(7시~1시)과 긴 당직(9시~6시)이 있는데, 긴 당직을 하고 나면 평일에 하루를 쉬라고 했다. 물론 그 날짜는 개인이 정할 수 없고, 대게 1주일 전쯤 통보받았다. (누군가는 상대적으로 더 바쁜 월요일이나, 금요일에 시프트오프를 받으면 보너스 휴가라도 받은 것처럼 기뻐했다. 그 모습이 내겐 기이하게 보였다.) 법적으로 명백하게 문제가 있었다. 주말 근무를 하게 될 경우, 시급의 1.5배를 계산해주거나 혹은 평일에 대체 휴일을 주게 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1.5배의 시간만큼 쉬게 해주어야 한다고 법에 명시되어 있다. (회사에 애정을 가지고 있는) 동료 선생님이 파트장님께 이 문제에 대해 말씀을 드렸다고 한다. 그저 논점을 흐리는 답변만 돌아왔다는 후문을 들었다. 그렇다. 역시 퇴사하길 잘했다.


병원에서 주말 당직에 시달리고 나니, 이직할 때 1순위 기준은 주말근무 여부가 되었다. 격주토요일 근무이거나 주말 근무가 없는 약국에만 이력서를 넣었다. 당장 12월부터 주말이 있는 삶이 기다려진다. 

작가의 이전글 퇴사 결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