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x Apr 04. 2016

데이터 시각화의 아름다움

데이터 구조가 사고방식의 구조를 바꾸게 하라.

아래 글은 David McCandless의 The Beauty of Data Visualization 강연을 요약한 것입니다. 전체 동영상을 감상하시려면 하단 링크를 눌러주세요.

http://www.ted.com/talks/david_mccandless_the_beauty_of_data_visualization?language=en




우리는 모두 시각적인 인간입니다. 우리가 인지 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우리는 시각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정보의 바다에서 시각화는 눈의 언어와 단어와 숫자 그리고 개념에 관한 정신의 언어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 것입니다. 정보 디자인을 통해 우리는 패턴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를 알아내고 원한다면 우리의 견해나 시각까지도 바꿀 수도 있습니다. 


1. 빌리언 달러 도표

맥락을 모르면 무의미한, 수십억 단위의 지출 규모를 시각화하여 비교할 수 있게 만든 도표입니다. 크기는 지출 규모를, 색상은 지출 동기를 나타냅니다. 보라색은 분쟁, 빨간색은 기부, 녹색은 소득을 나타냅니다. 


- 석유수출국 기구(OPEC)는 매년 7,900억 달러를 법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를 위한 기금은 30억 달러입니다.

- 미국인들은 매년 3,000억 달러 이상을 자선활동에 기부했습니다. 반면에 상위 17개의 선진 공업국이 기부한 국외 원조 총액은 약 1,200억 달러에 불과합니다. 

- 이라크 전쟁 비용은 2003년 이전까지 600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현재 3조 달러까지 늘어났습니다. 

- 아프리카는 서구세계에 2,270억 달러의 빚을 지고 있습니다. 세계 금융 위기로 전 세계가 지고 있는 빚은 11조 9천억 달러입니다. 


2. 시간의 흐름에 다른 전 세계적 미디어 공황 

언론을 통해 나타난 우리들의 공포를 시각화 한 표입니다.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언론에 의해 알려진 일종의 공포를 의미합니다.


이 중 빨간색은 폭력적 비디오 게임에 대한 것입니다. 이 데이터에는 일정한 이상한 패턴이 있습니다. 매년 2번의 최고점이 보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시면 이 최고점들이 매년 같은 달 11월, 4월에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11월에는 크리스마스용 새 게임들이 출시됩니다. 그리고 그 게임들이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곤 하죠. 하지만 4월은 비디오 게임에 있어서 특별한 일이 없는데요. 4월엔 왜 그럴까요? 바로 1999년 4월에 있었던 컬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 때문입니다. 그때부터 미디어는 매년 이맘때, 그때의 공포를 상기시켰고 그 여파가 서서히 사람들 마음에 들어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회고하고, 기념하고 판례로 들고, 심지어 모방 범죄까지 일으킵니다. 모두 재생산된 공포가 스며들었기 때문입니다.


3. 사람들은 언제 가장 많이 헤어질까

이별시기 최고점 (페이스북 상태에서 추출)

일 년에 두 번, 부활절과 크리스마스 두 주전에 상승하고, 작은 상승이 매주 월요일에 있고 여름에는 대체로 빈도가 낮아집니다. "깨짐, " "헤어졌음"에 관한 구절이 있는 만개의 페이스북 상태 업데이트를 모은 결과 찾은 패턴입니다. 


- 사람들은 봄 방학 때 차이고 고통스러운 주말을 보냈다고 월요일에 드러내고 여름 내내 솔로로 지냅니다. 

- 물론 가장 적게 헤어지는 때는 크리스마스 때입니다. 


4. 정말 미국이 최대의 국방 예산 국가일까? 

- 미국은 6,070억 달러를 국방 예산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다른 모든 나라의 국방 예산을 합친 것만큼 이나 큽니다. (2008년 기준)

- 그러나 미국은 다른 최상위 산업국 4개국의 경제규모를 다 합친 것과 맞먹을 정도로 부유한 나라입니다. 이런 이유로 국방 예산 역시 커지게 됩니다.

- 따라서, GDP 대비 국방 예산으로 계산할 경우 1위는 미얀마입니다. 미국은 8위입니다. (2위 요르단 / 3위 조지아 / 4위 사우디 아라비아) 


5. 정말 중국은 거대한 동원 병력을 가진 군사 체제 국가일까? 

- 중국은 210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위 미국 / 3위 인도 / 4위 북한 / 5위 러시아) 

- 그러나 중국은 거대한 인구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 따라서, 십만 명당 군인 수로 본다면 1위는 북한입니다. 중국은 124위로 떨어지죠. (2위 에리트리아 / 3위 지부티 / 4위 이라크)  


이렇게 다른 자료를 고려하여 판단해보면 정말 작은 규모의 군대를 가진 겁니다. 연결된 세상이라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국방 예산 같은 절대적인 수치가 전체를 그려주질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그건 그만큼 진실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우리에겐 다른 자료들과 연결된 상관관계의 수치가 필요합니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큰 그림을 보게 되고 우리의 관점을 바꿀 수 있게 됩니다. "데이터 구조가 사고방식의 구조를 바꾸게 하라." 그리고 만약 그렇게 된다면 그건 아마 당신의 행동마저 바꾸게 될 것입니다.


6. 영양 보충제의 효과

그림의 위쪽으로 갈수록 그 보충제에 대한 효과가 입증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풍선의 크기는 구글 검색어에 의한 인기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즉각적으로 효과와 인기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먹을만한 가치가 있는 영양제의 선을 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 아래에 있는 보충제들은 아마도 알아볼 필요조차 없을 겁니다.


우리는 이 시각화를 위해 천 건에 이르는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지만 결과물은 단 두 페이지였습니다. 이것은 정보 시각화라는 것이 일종의 지식 압축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방대한 분량의 지식 및 이해를 작은 공간에 집어넣는 것입니다.


Information is beautiful


정보는 비옥하고 창조적인 토양입니다. 그리고 시각화, 정보 그래픽, 그리고 데이터 시각화는 이 토양에서 피어난 꽃과 같습니다. 


디자인이란 문제를 해결하고 우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보 디자인은 정보에 대한 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과부하 또는 포화 상태라는 수많은 정보의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정보 시각화는 우리에게 이런 문제들에 대한 빠른 해결책을 줄 수 있습니다. 끔찍해 보이는 정보가 있을 때에도 시각화는 우리에게 명쾌한 이해와 답변을 줄 수 있는 매우 아름다운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세상엔 아주 엄청난 분량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만약 적절한 질문을 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하면 재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당신이 잘못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UX 패턴 5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