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누크 Sep 15. 2023

식생활 vs 사회생활

사람들과 어울리며 건강하게 먹기

건강검진 결과가 나왔다. 40은 건강에 있어서 다들 변화가 나타난다고 하는 기점 같은 나이다. 언니 오빠들에게도 지금 친구들에게도 숱하게 듣고 또 깜짝 놀랄 일들도 생각보다 많고 그랬다. 그런 면에서 건강검진을 또 한 번 큰 탈 없이 한 건 다행이지만 몇 가지 해결되지 않은 채 마음에 걸리는 포인트들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당 수치였다. 관리해야 되는 경계선까지 근접해 있었다. 원래 체질적으로 단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어렸을 때부터 단 것과 기름진 것을 먹으면 속이 안 좋고 메슥거려서 자연스럽게 많이 먹지 않았는데 이미 콜레스테롤 수치는 좀 높게 나오길래 이건 내 몸이 약한 부분이라 안 땡기는 거구나, 라고 이해했었다. 학생 때까지만 해도 주로 집에서 밥을 먹었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쓸 일도 없었고 그때까지는 어리니 건강도 나쁘지 않았다. 본격적으로 상충이 생기기 시작한 건 취업 후였다.


직장생활을 하다보니 집에서 밥을 잘 못 먹게 되고 회사에서 간단히 이것저것 사먹거나 탕비실에 있는 걸 먹게 되었다. 그런 메뉴 중에 내가 원래 좋아하는 밥 혹은 밤, 고구마 같은 고소한 간식거리는 당연히 없었고 대부분 빵 아니면 과자였다. 점심을 먹고 나면 자연스럽게 카페로 이동해서 커피나 디저트를 사서 조금 얘기하다가 사무실로 들어왔다. 내가 밥을 사면 커피는 저 사람이 사기도 하고 그냥 생활 루틴이어서 카페인도 당도 안 맞고 심지어 식후에 뭔가 마셔본 적이 없던 나지만 어느새 매일매일 그렇게 먹게 되었다. 


그렇게 십 수년이 쌓였고 그 사이에 서양식 식단, 인공 식재료는 무섭게 범람해서 지금은 주위에 그런 걸 빼고 일반적인 한식단으로 세 끼를 먹기가 쉽지 않게 되었다. 특히 여자들은 주말에도 맛집 멋집 카페 투어로 만나다보니 나도 모르게 입맛에 썩 끌리지 않는 메뉴도 예쁘고 기분 전환 되니까, 사람들 만나 얘기하니까 그냥 먹는 세월이 쌓였다. 원래부터 단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 당뇨 위험 조심해야 한다 생각했지만 실은 애초부터 안 끌리는 사람은 더욱 안 맞는 체질이어서가 아닐까 싶다. 우리 몸은 생각보다 정직하니 몸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잘 관찰하여 그에 맞게 식습관도, 생활습관도 조절해 가는 것이 건강의 비법인 것 같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나와 안 맞게 흘러가면 특히 관계형 인간인 나같은 유형은 참 힘들어진다. 안 그래도 옛날 대비 과일도 더 달아졌고 우리가 먹는 원 식재료들조차 자연 그대로가 아닌 가공, 개량된 것들이 많아지는데 그 와중에 내 주위에 접할 수 있는 인스턴트 먹거리들을 보면 모두가 건강 서적에서 피하라고 하는 것들 뿐이다. 간식거리라도 좀 건강하게 먹으려면 모두 집에서 챙겨오는 수밖에 없다. 


밀가루, 유제품, 당, 카페인, 알콜. 국수 수제비 만두는 좋지만 빵은 그냥 그렇고. 원래부터 저것들이 다 안 땡겼던 난 말 그대로 토종 한국인 아저씨 입맛이다. 내 입맛대로 소식하며 살았으면 몸도 훨씬 건강하지 않았을까 싶긴 한데. 원활한 사회생활에는 필연적으로 식문화가 함께 붙어 있고. 먹지도 못하는 술 때문에 회식 스트레스 받았던 것도 억울했는데 이제와서 보니 속도 안 좋은데 계속 찔끔찔끔 라떼며 과자, 빵, 각종 간단한 요깃거리들을 계속 먹어왔던 걸 생각하니 한숨이 난다.


내 몸에 맞는 식단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람은 역시 사회적 동물이라 안정적인 인간관계과 소속감, 소소한 일상의 웃음을 지키며 사는 것도 건강에 대단히 중요하다. 이 시대 전반적인 생활 문화와의 괴리를 느끼며 오늘은 조용히 추어탕을 먹고 들어오는데 식당에서도 엘리베이터에서도 사람들이 과일 채소값 급등에 대해서 걱정하고 있었다. 돌아가야 할 곳이 점점 희미해지는 느낌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하와이 단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