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몰라주길 바랬던 시절이야기
얼마 전 있었던 면접 자리에서 이력서를 훑어보던 면접관이 몇 가지 질문을 던진 후 건넨 말이다. 이 질문은 면접뿐 아니라 고향을 확인하는 자리에서 종종 내가 받는 질문이기도 하다. 늘 받는 질문이지만 마치 진짜 모습을 숨기기 위해 가면을 썼다 들킨 것처럼 나는 늘 어색하고 당황스럽기만 하다. 애써 태연한 척 그러냐 대답하며 화끈거리는 얼굴은 사무실이 덥다는 말로 무마했다.
그도 그럴 것이 태어나서 20년 이상 경상도에 살면서 부모님, 친구들, 학교 선생님, 옆집 아저씨, 자주 가는 가게 아주머니 등등 나와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이 쓰는 경상도 말투는 늘 있는 익숙한 공기와도 같은 자연스러운 것이었기 때문이다.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 지내면서도 사투리를 여전히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의 경우 계속해서 쓰지는 않았다. 사투리를 쓰는 것이 부끄럽다기보다 사투리를 쓰면 돌아오는 사람들의 호기심이나 관심이 부담스러웠다. 낯선 환경에 적응이 어려웠던 그 시절 나는 삐죽삐죽 튀어나온 사람들 속에 나도 함께 튀어나오기보다 그 속에 숨어 있는 사람이고 싶었다. 그런 내가 조금이라도 편안해지기 위해서는 그들처럼 보이는 거라 생각했고, 서울에 올라와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사투리를 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었다.
우선 서울과 경상도 말은 억양부터 많이 다르다. 끝음을 내리는 경상도 말에 비해 서울말은 살짝 올려야 한다. 또 경상도 말이 음이 낮고 억양이 세다면 서울말은 보통보다 2도 정도 음을 올리며 말해야 화났냐는 말을 안들을 수 있다. 급하거나 흥분하면 말이 빨라지면서 말속에 사투리가 섞여서 나오는 것도 문제였다. 그래서 최대한 말을 천천히 하고, 마음속으로 정리한 후 내뱉는 연습을 했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고향을 말하기 전까지는 고향이 어디인지 예측할 수 없는 사람이 되었고, 지금은 애쓰지 않아도 놀랍게도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사투리를 쓰지 않고 있었다.
주위의 관심이나 소란에 많이 담담해진 지금이지만, 혹여나 내 이름이 불릴때면 뜨거워진 볼을 부여잡고 어찌할지 몰라 허둥대며 도망 다니기 바빴던 어리숙했던 때가 있었다. 그래서 "사투리 안 쓰시네요."라는 말을 들을때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숨어 있고만 싶었던 그때가 생각나 아직도 꼬박 하루는 뒤척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