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키 Jul 25. 2022

네, 스톡홀름 증후군입니다.

데이트 폭력 2편

그렇다면 피해자들은 왜 사전에 방어하거나 대처를 하지 못할까? 


연인 관계에서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 중 무려 50%는 관계를 쉽게 정리하지 못한다. 폭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연인의 단 한 번의 애정 표현에서 더 큰 사랑을 느끼고 안도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B가 말했던 "그래도 잘해줄 땐 잘해줘"심리다. 집안 살림을 깨부수고 물건을 집어던지고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하는 등 이 모든 것을 당하고도 피해자들은 ‘그래도 내 몸은 안 건드려.’라고 말하며 때 아닌 긍정마인드를 발산한다. 심지어 사랑의 힘으로 그 사람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이를 심리학에 나오는 스톡홀름 증후군으로 설명할 수 있다.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 은행에서 6일간의 인질극이 일어났다. 다행히 잡혔던 4명의 인질은 모두 무사히 풀려나지만 신기한 일이 벌어졌다. 인질범들이 잡혀서 재판을 받을 때 인질이었던 이들이 법정에 나서서 인질범들에게 불리한 증언을 거부하고 오히려 옹호발언을 했다. 인질들은 목숨이 위태로워진 상태에서 은행 강도들이 끝내 자신들을 해치지 않자 증오심 대신 인질범들에게 생명의 은인이라는 착각을 일으킨 것. 이것이 바로 스톡홀름 증후군이다.


데이트 폭력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피해자의 심리는 이런 현상과 같다. 학교 다닐 때 맨날 혼내기만 하던 선생님의 단 한 번의 칭찬이 짜릿해서 여태 혼나 온 기억은 잊어버린 경험, 잘 안 웃던 아버지가 어쩌다 한번 웃으면 왠지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츤데레적 안도감이랄까.

어쩌다 한 번인 경우라면 괜찮을까? 아니 물론 사랑하는 사람에게 맞는 것쯤 가끔은 괜찮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더 할 말은 없지만, SM 플레이어가 아니고서야 대체 누가 맞고 싶어 한단 말인가. 

   

많은 피해자들이 가해자에게서 벗어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폭력의 원인을 스스로에게서 찾는다는 것이다. 맞아야 할 이유를 가진 사람도 때릴 권리를 가진 사람도 존재할 수 없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맞을 짓 했네."는 잘못을 했다는 의미이지 맞아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상대적으로 힘이 센 사람이 맞을 짓을 했다고 한들 자신보다 힘이 약한 사람에게 아무 불만 없이 맞으려 할까? 달리는 예능프로그램 방송 중 호랑이가 기린을 때리는 장면은 볼 수 있어도 기린이 호랑이를 때리는 장면은 본 적이 없다. 폭력은 이유 불문하고 그저 강자만이 약자에게 기분에 따라 행하는 세상에서 가장 비겁한 짓 중 한 가지일 뿐이다.

  

그렇다면 전문가가 제안하는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거나 대처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누구도 앞날을 예견하는 족집게 도사가 될 수는 없으나 위험을 감지할 지표는 필요하다.


1. 전화를 걸어서 건네는 가장 첫마디 – 지금 뭐해? 어디야? 

2. 인맥 차단, 옷차림 단속, 과거에 집착하는 사람.

3. 스스로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함.   


일단 일반화는 안 된다. 위와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은 아주 많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매 순간 상대에게 의심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조심할 필요가 있다. 의심 가는 행동을 한 적도 없는 데 일단 의심한다. 그리고 밑도 끝도 없이 의문을 품고 캐묻는다. 마치 그 의문이 제발 사실이길 바라는 사람처럼 말이다.                      

그들은 데이트 폭력을 하나의 사랑 방식이라고 착각하는 중이다. 잘못되었음을 알려주어도 깨닫지 못한다. 사랑의 힘으로 바꿔보겠다고? 연인에게 폭력을 쓰는 사람이 사랑의 힘을 알아주기나 할까? 지금 그 사람과 나누고 있는 그것이 사랑이긴 한 것일까? 

 

사람 속을 알기란 앞날을 예측하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피해를 예상하고 서둘러 헤어지려는 과정에서 본색을 드러내게 되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빈번한데, 망설이지 말고 주변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두 번은 안 그럴 거라는 허무한 믿음, 어쩌면 곧 바뀔 수도 있을 거라는 반복적인 기대심리에 피해를 입더라도 내 사람을 숨기고 싶고 보호해주고 싶은 기가 막히는 감정. 누가 누구를 보호해주나? 피해자에게는 치유 불가능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많은 고통을 받게 되며 심한 경우 도피를 위해 이사를 가거나 직장을 그만두기도 한다.

비운의 주인공이 되고 싶은 게 아니라면 반드시 도움을 청해야 한다.


이쯤 해서 우리가 잊어버린 이야기가 하나 있다. 지나가는 나그네의 옷을 누가 벗길 수 있는지 내기를 하는 해와 바람의 이야기다. 알다시피 나그네의 옷은 강력한 바람의 힘에 의해서가 아니라 따사로운 햇빛에 의해 자연스럽게 벗겨진다.

남탕에서는 로션을 바를 때 촵촵 소리가 나게 뺨을 때리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피부에 잘 스며들길 바라는 행동일 텐데 사실 로션은 피부의 결을 따라 부드럽게 발라야 훨씬 더 잘 스며든다. 

상대를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고 싶다면 거친 말과 위협적인 행동이 과연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B는 며칠 뒤 내 도움을 받아 범죄자의 집구석에서 극적으로 탈출했다. 당장 안 들어오면 죽여 버리겠다고 여러 차례 협박한 그놈의 문자와 전화음성 녹음, B의 몸에 남은 폭행 흔적들은 차곡차곡 모아서 경찰서에 제출했다. 어떤 처벌을 받았는지는 모른다. 현재 그녀는 다른 좋은 남자와 결혼해서 천사 같은 아이 둘 낳고 잘 살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잘해줄 땐 잘해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