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쏭쏭 Aug 20. 2021

결혼도 비즈니스다

결혼적령기가 제일 많이 듣는 말

흔히 말하는 결혼 적령기 나이가 되면서, 주변에서 결혼에 대한 얘기를 많이들 해준다. 성별을 가리지 않고 백이면 백. 모두들 '사랑'보다는 '물질'에 포커스를 두고 조언해주거나 고민을 털어놓았다.


첫째, 부동산 구매 측면에서 결혼은 합리적 선택이라는 말을 듣고 있다. 핵심은 결혼을 통해 자산은 합치지만, 혼인신고는 하지 않는 것이다. 혼인신고를 하지 않으면 청약의 기회는 2개인데, 혼인신고를 하면 신혼부부 특공 1개뿐이기 때문이다. 대출도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 기억은 안 나는데 금리가 낮은 주택자금대출 상품을 받을 수 있는 소득기준이 1인 기준으로는 6천만원 이하인데, 부부 기준으로는 9천만원 이하랬나. 무튼 1인 기준의 두 배보다 소득기준이 낮다고 한다.


둘째, 집안 재력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만나야 한다는 조언이다. 어느 한쪽의 재력이 뒤떨어지면 열등감을 느끼거나 또는 상대 집안에서 무시를 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결혼 상대의 직업과 연봉은 어떻게 되는지, 부모님이 신혼집을 구매할 때 얼마만큼의 자금을 보태줄 수 있는지 등이 고려대상으로 언급됐다. 나만 열심히 차곡차곡 돈 모으면 된다는 생각을 가졌던 내가 제일 놀랐던 건, 부모님의 노후준비가 되어있는지 여부도 결혼'시장'에서 중요하게 보고 있다는 점이었다.


결혼은 현실이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따라서 돈이란 요소는 매우 중요하긴 하다. 알면서도 아직까지 낭만이란 물이 완전히 빠질 나이는 덜 됐는지 한켠에 씁쓸한 마음이 든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계산적으로 결혼이란 단계를 밟아야만 내 집 마련의 꿈에 그나마 가까이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마주한 거 같아서 막막할 따름이다. 두 명이 번 돈과 운을 합쳐도 혼인신고를 뒤로 미뤄야 할 만큼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세상에서, 1인 가구가 살아남기란 얼마나 어려울까. 현실에 가까워지는 나이가 될수록 걱정만 늘어난다.

작가의 이전글 전세난민 경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