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재 Jun 09. 2022

<Constellation> 이도현

《제9회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제9회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   이도현X모희 Constellation



생동하는 몸을 기억하도록 To Remember the Enlivened Body


전시장 입구에 구비된 슬리퍼를 신으며 나에게 기대되는 몸짓을 예상했다. 공간에 들어선 너와 나는 숨을 죽여야 한다는 것. 하나의 소리가 제거되면 그만큼 다른 기척이 확대된다. 조심히 발을 디디고 공간을 누비는 만큼 내가 만들어내는 작은 움직임 분절 하나하나가 또렷이 느껴졌다. 한편, 공간 위로 규칙적으로 찍히는 음표와 초침 소리가 울려 퍼진다. 때로 그 음의 변화에 따라 시선을 돌리거나, 걸음을 옮겨야 하는지 고민했고, 소리들을 의식했다. 이도현이 제시하는 공간에서 관객의 몸은 예상하고, 반응하기 위해 몸을 곤두세우며, 감각하기를 반복한다. 몸을 일깨우는 힘은 그의 개별 작품 내부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 공간이 몸의 기척을 조정함으로써 감각을 곤두세웠다면, 이도현의 두 영상 작업 <This is not a performance, but what we believe is in our lives>(2021), <This is not a performance, but something that capitalism has not captured>(2021) 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동작하는 몸으로,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되돌려 언어에 침식한 몸을 귀환케 한다.


음표가 규칙적으로 튀어 오르는 가운데 두 명의 무용수가 움직인다. 그들의 움직임은 가늠되지 않는다. 선제한 동작 이후로 이어지리라 예상되는 행위가 무엇일지 알 수 없다. 일상 곳곳에 분포한 움직임을 제시할 뿐이다. 의도적으로 내러티브가 제거된 영상의 시공간에 남아 있는 것은 몸짓 자체로, 무언가를 행하는 두 명의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이를테면 트랙패드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더듬거림, 화면을 응시하는 시선, 잠시 허공에 머무는 팔과 살갗을 매만지는 손길들. 기승전결을 향해 가지 않고 개별의 행위에 몰입한 움직임은 내러티브가 생산하는 의미 작용에 예속되지 않는다. 몸짓 자체를 위한 것, 몸짓을 목적하는 몸짓. 움직임이 행위를 벗어나 몸짓이 된다. 이도현은 내러티브와 여러 욕망의 수행으로부터 몸짓의 활용을 변주하면서 그 응축된 위상을 다시 길어 올린다. 몸은 매혹의 존재가 되기 이전으로 돌아가 동작하는 몸으로의 본 기능을 충실히 그리고 충분하게 수행한다. 움직인다, 동작한다. 대상화되기 이전에 기능하고 감각하는 몸이 있었다는 것. 언어로 과잉 채색된 몸을 실존하는 몸으로 되돌린다. 회귀한 몸의 움직임은 덧대이는 언어 없이 몸짓 그 자신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지만, 영상 내 무용수의 움직임은 여전히 목적에 의해 구성되는 움직임이다. 각 신(scene)마다 몸의 역할을 지정하고 계획하는, 몸짓을 규정하는 언어가 남아있다. 몸짓-하기의 퍼포먼스, 무용수가 행하는 움직임. 무용수의 몸짓은 실재를 표방할 뿐 그로부터의 간극을 여전히 내포한다.


여기에서 다시 공간을 맴도는 소리를 떠올린다. 이도현은 이 소리를 붙잡아 다시 한 번 몸짓이 명명으로부터 탈각 되기를 시도한다. 전시 공간 곳곳을 메우는 (영상 작업이 그 원천인) 소리는 자기 파장 안으로 무용수의 몸과 관객의 몸을 모두 위치시킨다. 두 개의 신체는 동일한 진동에 반응하고, 예상하며, 움직인다. 분명한 개별, 그럼에도 함께. 관객의 초점이 무용수의 몸에서 관객 자신의 것으로 점점 옮겨가고, 그들로 하여금 다시 나의 움직임을 상기한다. 어긋나던 몸짓을 유기적인 궤적으로 이어가는 두 무용수의 몸처럼 영상과 현실의 몸짓이 서로 교차한다. 서로가 서로의 역학 관계 안으로 포섭된다. 비로소 두 몸은 동일하게 견주어진다.


<Constellation>(2022) 은 실연하는 몸으로부터 소외된 몸짓이 다시 해방된 몸으로 회귀하는 여정을 가시화하는 작업이다. 퍼포먼스의 구축 과정을 역추적하는 사후적인 기록을 통해 그 몸짓이 어떤 예측과 계획 안에서 구동된 것인지 보여준다. 가령 무용수의 몸짓 위로 어떤 지시와 편집, 촬영과 안무가 입혀진 것인지 단계별 세부를 기술하는 것. 이를 통해 내러티브의 언어는 탈피했지만, 여전히 퍼포먼스의 어법을 내재한 몸의 발화를, 그것과 해방된 몸 사이의 간극이 지속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측량되고 계획된 만큼의 언어가 간극을 점유한다. 간극의 까닭을 분명한 언어로 정리한 영상 작업의 사후적 설계도는 역설적으로 몸을 감싼 마지막 언어의 외피를 허문다. 매끈한 이미지를 생성해낸 과정이 뚜렷하게 언어로 드러나는 일은 오히려 예측하지 않은, 인식되지 않았을, 몸이 가진 비언어적 발화의 틈새를 파고들 수 있게 한다. 이제야 몸이 모든 명명을 떨쳐낸다.


몸들 간 낙차를 메우고 따라가기 위한 노선. 그 사이의 낙하를 작은 별 무리로 뭉쳐 내보낸다. 몸짓을 선취했던 언어는 다시 언어에 의해 도려내 진다. 무용수의 몸짓은 이를 아우르는 연속체를 지나오며, 자기 위로 축적된 자본을 떨치고 관객의 몸에 스민다. 의미로부터 탈각된 몸이 서로에게 경합한다. 성좌에 흩어져 있는 개개의 별은 <Constellation Book> 안에 찍힌 작은 점 혹은 공기 중으로 흩어지는 음표들. 우리는 전시 공간을 유동하며 직접 성좌의 길을 따라나선다. 별 무리 위로 경계의 초월이 성립된다. 태초의 몸을 위해 모든 몸짓들을 되짚어왔을, 예상했을 이도현의 몸짓을 상상한다. 유실 없이 모두의 몸이 다시 만난다. 우연을 향해 새로운 대화가 이루어진다.



Slipping on the slippers provided at the entrance to the exhibition, I anticipated the gesture expected of me. Upon entering the space, you and I must hold our breath. As one sound is removed, the other gestures are magnified. As I moved through the space with careful footsteps, I could clearly feel each small movement I made. Meanwhile, the regular sound of notes and the ticking of the second hand echoed through the space. Sometimes I wondered if I should turn my gaze or move my step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notes, and I was conscious of the sounds. In the space presented by Lee, the viewer's body braces itself to anticipate, react, and sense. The power to awaken the body works equally well within his individual works. Whereas the space heightens the senses by manipulating the body's expectations, Dohyeon Lee's two video works, <This is not a performance, but what we believe is in our lives> (2021) and <This is not a performance, but something that capitalism has not captured> (2021), return the performer's movements to the body in motion, reducing the body to its most basic functions, reclaiming the body eroded by language.


Two performers move amidst the regular bouncing of notes. Their movements are not measured. We cannot know what to expect after the preceding action. It just presents movements that are distributed throughout everyday life. What remains in the space-time of the video, deliberately stripped of narrative, is the gesture itself, which appears as two people doing something. The fumbling of fingers on a trackpad, gazes fixed on a screen, arms lingering in midair, hands caressing flesh. Movements that are not directed toward a victorious conclusion, but are immersed in the act of the individual, are not subject to the semiotics of a narrative. Gesture for its own sake, gesture for the sake of gesture. Movement escapes the act and becomes a gesture. By transforming the utilization of gesture from narrative and the performance of multiple desires, Dohyeon Lee elongates its condensed phase again. The body returns to its pre-fascination state and fulfills its function as a body in motion, faithfully and fully. It moves, it acts. That there was a functioning, sensing body before it was objectified. The body that has been over-colored by language returns to the body that exists. While the regressed body movements are recognizable as gestures in and of themselves, without overlaying language, the movement of the dancer in the video is still a movement organized by purpose. For each scene, there remains a language that prescribes the gesture, designating and planning the role of the body. The performance of gesture, the movement of the performer. The performer's gestures represent reality, but they still imply a distance from it.


Here we return to the sound hovering in space. By capturing this sound, Dohyeon Lee once again attempts to liberate the gesture from naming. The sound that fills the exhibition space (the source of which is the video work) positions both the performer's body and the audience's body within its own wavelength. The two bodies react, anticipate, and move to the same vibrations. Clearly separate, yet together. The audience's focus gradually shifts from the performer's body to their own, and turns back to their own movements. Like the bodies of two performers whose disjointed gestures become an organic trajectory, the gestures of video and reality intersect. Each is subsumed into the other's dynamics. Only then are the two bodies compared as the same.


<Constellation>(2022) is a work that visualizes the journey of a gesture that is alienated from the body that is lost and returns to the body that is liberated. Through a retrospective record of the performance's construction process, it shows how the gestures were driven by predictions and plans. For example, the step-by-step details of how the performers' gestures were directed, edited, filmed, and choreographed are described. Through this, we can read the utterance of the body that has been freed from the language of narrative, but is still embedded in the language of perform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it and the liberated body persists. Language, as much as it is measured and planned, occupies the gap. The after-the-fact blueprint of the video work, which articulates the reasons for the gap, paradoxically breaks down the last shell of language that envelops the body. The clear verbalization of the process of creating the smooth image allows us to delve into the unexpected, unrecognized, non-verbal utterances of the body. Only then does the body let go of all naming. 


A route to follow, to fill the gaps between bodies. It sends the drops between them out in small clusters of stars. The language that preceded the gesture is again cut off by language. The performer's gesture passes through a continuum that encompasses them, shedding the capital that has accumulated above them and permeating the bodies of the audience. Bodies stripped of meaning compete with each other. The individual stars scattered in the constellation are tiny dots stamped in the <Constellation Book> or musical notes scattered in the air. We move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and follow the path of the constellation ourselves. A transcendence of boundaries is established above the star clusters. I imagine the gestures of Dohyeon Lee, who must have retraced all the gestures for the primal body. Without loss, all the bodies are reunited. A new dialog is established toward coincidence.




《제9회 아마도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   이도현X모희 Constellation

전시기간: 2022.4.22.(금)-6.2.(목)

참여 작가×큐레이터: 김현아×김지영, 박윤주×오정은, 이도현×모희, 최윤희×김재연

운영시간: 오전 11시-오후 6시 (월요일 휴관)

전시장소: 아마도예술공간(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 54길8)

디자인: 일상의실천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산실 공간지원





작가의 이전글 <수국> 박소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