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안나 Mar 02. 2018

일부 메뉴 가격 인상 안내

식당 메뉴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주변 식당과 비슷하게? 재료 원가 등을 따져 순이익이 어느 정도 떨어지게? 손님의 주머니에서 한 끼 값으로 허용할 수 있는 만큼? 하루 목표 매출에 손님 수를 나눠서?  


메뉴에 가격을 매기는 일은 쉽지 않다. 주 재료 값의 세 배 정도가 적당하다고들은 하는데, 식당 위치나 주 손님 층 등을 고려하다 보면 단순하게 결정하기가 어렵다. 우리는 1인 기준으로 시래기 고등어찜, 동태탕, 김치찌개, 만둣국을 7천 원에 열무비빔밥을 6천 원에 제공하고 있다.


"엄마, 우리 음식 값이 너무 싼 것 같애."

"손님이 그래?"

"어. 친구들도 그러고. 다른 동네에서는 훨씬 비싼가 봐."

"그렇긴 하지."

"직장인 점심 식사 위주로 하다 보니까 이렇게 된 건데... 싸긴 하지."


메뉴의 가격을 정할 때, 처음에는 재료 원가의 세 배 정도로 다른 식당을 참고하여 가격을 정했다. 그런데 재료 원가라는 것이 변동 폭이 크더라니. 작년 같은 경우는 무더위 덕에 열무 값이 두 배나 오르기도 했고, 재작년 같은 경우는 달걀 파동으로 닭 값까지 오르기도 했다. 원 재료 값이 올랐다고 음식 값까지 올릴 수는 없는 법. (그땐 그렇게 생각했다.)


"이 가격으로는 도저히 안 될 것 같애. 남는 게 있어야 보람도 있지. 자선 사업도 아니고. 없는 손님들이 오는 것도 아니고."

"그럼 올려."

"전부 다 올려?"

"아니. 된장찌개랑 김치찌개, 동태탕은 빼고 올려."

"천 원씩 올려서 메뉴 포스터 다시 만들게."


이 년 넘게 장사를 해오면서 가격 인상을 몇 번 고민하긴 했다. 바쁘긴 한데 남는 것 같지도 않고, 재료 값이 들쑥날쑥이니 고민이 많이 되었다. 그래도 칼을 뽑지 못하고 있었으니. 직장인이었던 때를 생각해보면 단골 식당의 메뉴 가격 천 원 인상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도 저도 좀 살아야겠습니다, 하는 마음으로 2018년부터 가격 인상을 할 것이라는 공지를 먼저 했다.


"메뉴 가격 올리시게요?"

"네. 이런저런 계산을 해보니 단가가 안 맞아서요."

"그냥 오늘부터 올려요. 뭘 고민하세요?"

"그래도 손님 마음은 그게 아니죠. 천 원이 큰 돈일 수도 있는데..."

"그런가? 여튼 잘 결정하셨네요."


다들 우리 식당 음식 값이 싸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눈 밝은 손님들이 공지를 보고 알은척을 해주었지만, 왜 올리느냐고 따져 묻는 사람은 없었다. 고맙네, 허허.


"근데, 엄마. 동태탕도 올려야 하는 거 아니야? 동태가 고등어보다 비쌀 때가 있는데 왜 고등어찜만 올려?"

"그럼 동태탕도 올려."

"엄마!"

"왜?"


뭐가 그렇게 희미하냐고 묻고 싶었지만 참았다. 그런 건 내가 알아서 처리해주길 바라는 엄마의 마음도 이해가 갔다. 음식 만드는 일만으로도 충분히 벅찬 사람일 테니. 그렇게 해서 2018년 우리는 무사히 메뉴 가격 인상에 성공한다.


"천 원이 별 건가 했는데 막상 손에 쥐어 보니 다르네."

"그치? 돈 좀 버는 것 같지?"

"응."


아직도 메뉴 가격이 좀 싸기는 하다. 그래도 이 동네에서 이 만하면 됐지, 뭘. (아무래도 장사엔 젬병이다. ;;;)




매거진의 이전글 만두는 언제 먹을 수 있는 건데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