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음악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지현 Jan 24. 2020

Boyhood

창모

Boyhood

피아노를 치며 자신을 '마에스트로'라 칭하던 창모를 기억한다면, 그의 음악이 우리에게 꽤 친근하게 다가왔음을 알 수 있다. 건반 사운드를 기반으로 비교적 확실한 멜로디를 선보이는 그는 '대중적인 래퍼'로 자리 잡았다. 그의 어린 시절을 품고 있는 첫 정규앨범 < Boyhood >는 '빌었어'라는 고백으로 시작해 '발견했지 우연히 5년 전의 노트 / 정말 스타 되고 싶어'라며 노트 속에 적힌 자전적 이야기를 풀어낸다. 그 강렬하면서도 진솔한 고백이 이 앨범의 핵심이다.

'돈 벌 시간'을 외치던 그는 '돈 번 순간'을 지나 'Boyhood(어린 시절)'를 회상하기에 이른다. '아빤 말했지 / 보여 저기 산 위로 / 이 서울시 속 최고라 불리는 곳'이라는 'Hotel Walkerhill'을 갈 수 있게 된 창모는 더이상 돈이 아닌 지금의 자신이 있기까지의 시간을 이야기한다. 이 곡을 비롯한 대부분의 수록곡들이 정제된 사운드를 선보이며 '플렉스'에만 머물지 않는 성숙한 노랫말로 전체적인 균형을 이룬다.

Meteor

< Boyhood >는 늘 그랬듯 대중성도 놓치지 않는다. 그 뼈대에는 다채로운 코드 워크와 싱잉랩이 존재한다. 특히 엄마의 이야기를 담은 '세레나데'는 힙합 특유의 단조로운 코드 진행을 벗어나 선명한 코드 진행을 선보이며 기존 힙합의 작법을 벗어나고, 멜로디컬한 싱잉랩과 반복되는 현악 루프로 듣는 재미와 중독성을 지닌 'Meteor'는 대중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간파했다. 평소 그가 존경하던 카니예 웨스트가 프로듀싱한 푸샤 티(Pusha T)의 'Santeria'와 닮은 '위업'을 보자. 트랩 비트 위에 음산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오케이션의 담백한 래핑과 언에듀케이티드 키드의 악에 받친듯한 래핑까지, 그들의 장점을 극대화한다. 결론적으로 이 앨범은 대중성과 음악성, 둘 다 잡았다.


앨범은 그의 어린 시절을 두 가지로 압축해낸다. 꿈 많던 어린 시절의 소년 창모는 원하던 꿈을 이뤘고, 다소 거칠고 파괴적이던 뮤지션으로서의 창모는 자신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진정성을 품어냈다. 다수의 히트곡을 발매하며 '진짜' 대중 래퍼로 거듭나고 있다. 랩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신의 장기인 피아노를 무기로 삼으며 그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창모가 더이상 꿈꾸기만 하는 어린 소년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낸 앨범이다.


- 수록곡 -
1. 빌었어
2. Meteor (추천)
3. 위업 (Feat. Okasian, UNEDUCATED KID) (추천)

4. 2 minutes of hell (Feat. Paul Blanco)
5. 나의고향서울
6.  위로
7. Dearlove (skit)
8. 세레나데 (추천)
9. 031576 (Feat. KIRIN)
10. REMEDY (Feat. 청하 (CHUNG HA))
11. meet me in Toronto (Feat. Paul Blanco)
12. Hotel Walkerhill (Feat. Hash Swan) (추천)
13. S T A R T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김현철 10집 “돛”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