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sh ahn Jul 21. 2024

질문들 2화 - 한국언론을 보고

앵커 손석희, 패널 유시민 작가, 김희원 기자

네이버가 한상차림이라면 유튜브는 뷔페 아닐까요

미디어인 언론과 플랫폼인 유튜브를

동일선상에 놓는건 적절치 않아요.

이 당연한 걸 굳이 지적하시진 않더라고요.


기성 언론사와

(방송 형식을 띈) 유튜브 콘텐츠 생산자

이렇게 비교 평가를 해야 적절한게 아닐까요.


사실은 사실대로, 평론은 평론대로 전달하고 있는지


기성 언론은 기사는 사실은 그대로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해석은 사설이나 시사평론가를 통해 제시하려고 하죠


반면, 유튜브 콘텐츠는 스피커 역할이 커지다보니

사실 전달과 평론을 섞어서 하기가 쉬운 환경인 것 같아요. 즉각적인 해석을 달 수 있고, 시청자는 신뢰하니까.


유시민씨가 지적해주시는 기성 언론이 받아쓰기를 하거나 권력자 취재를 하지 않고 야당대표만 물어뜯는다는 건


정치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자본에 속한 기존 언론의 한계인데, 이게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 정치 구조의 문제란 겁니다.


언론사의 정보 취사선택, 작은 걸 크게 만들고 큰 걸 작게 만들 수 있다는 건 이제 지면이 큰 의미를 가진 시대도 아닌데 더 이상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한 두번 화제는 될 수 있겠죠.


돈이 되니까 기사를 쓴다는 기자님의 말씀도

참 현실적이지만 아쉽습니다. 돈 되는 기사만

쓰는 게 현실이라는 걸 고백하는 거죠.

맞습니다. 당장 밥이 없으면 뭘 쓰겠습니까?


그런데 유튜브로 인해 독자들이 편향돼 있고

그로 인해 언론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건

좀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그러니까 뉴스를 여러개 비교하며 읽으라고요?

야구 팬한테 롯데랑 기아를 동시에 좋아해주세요랑

비슷한 얘기입니다. 업계 종사자가 아니고서야 신문 여러개를 비교하며 읽을 그럴 일은 없습니다. 자기가 좋은 거 읽으면 돼요.


소비자 탓을 하면 발전이 더뎌집니다. 나는 좀 부족한 점이 있지만 대체로 멀쩡한거 같은데 하다보면 어느새 뒤쳐져 있을 거 같은데요.


개인적으로 언론 신뢰도는 정파성과 큰 관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성 언론도 사실은 사실대로 전달하고  평론 부분에서는 스피커를 키워서 정파성을 더 강화하는 것도 살아남는 방법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https://youtu.be/nFu0GqWABXA?si=XcECwbvugEN9rGOe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