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will과 명사 will
조동사는 한자로 '도울 조'를 붙인 것처럼 동사에 어떤 뉘앙스를 첨가해 동사의 기능을 돕는다.
걸을 것이다(will), 걸을 수 있다(can), 걸어야만 한다(must), 걸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might)...
조동사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 수많은 표현을 일일이 별개의 동사로 외워야했을테니
얼마나 경제적인 조력자인지 가슴을 쓸어내리게 된다.
이 중에서 미래를 나타내는 표지인 조동사 will은 명사뜻도 있다.
바로 '의지'다.
의지가 있어야 미래에 어떠한 일을 하게 되니까, 이 두 용법은 자연스럽게 생겨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if there's a will, there is. a way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는 오래된 구절은
열심히 물을 길어올리듯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한줌의 희망을 준다.
그런데 맘 한켠에 자리잡은 의심이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때가 있다.
우리가 프로메테우스처럼 저녁이면 굴러떨어질 바위를 억지로 억지로 반복해 올리는 것이라면?
의지만으로 가능한 일이 있을까? 복권당첨이나 대통령 당선은 의지로만 될 수 없는게 당연하지 않은가?
이렇게 우리 손을 벗어난 인간사, 자연의 섭리를 톱아보다보면
인간의 자유의지will는 좁다란 서랍에 갇혀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 대목까지 쓰고 길을 잃었을때
내 무릎에 앉아있던 강아지가 내 왼팔 위로 두 앞발을 척 하니 올렸다.
어떤 계시처럼 느껴지는 순간, 의도치 않았겠지만 내게는 격려로 다가오는 어떤 몸짓
인간은 결국 그런 단서를 하나 하나, 해변에 흩어진 조개껍질처럼 주워서 또 앞으로 나가는 존재가 아닌가
가만히 있어도 봄은 오고
붙잡고 싶어도 아쉬운 봄이 갈 것이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것은
모든것은 변한다는 명제 뿐이라는 말이 새삼 와닿는다.
거대한 우주에서 개인의 의지는 모래알 한 알보다 보잘것 없을지 모르지만
그렇다고 당장 모두가 인생을 스스로 끝낼 일은 없을테고 그게 바람직하지도 않음을 우리는 안다.
무용한 생각의 바퀴에서 살짝 벗어나 이제 출근을 해야겠다.
그리고 이 생각 자체도 결국은 나를 만들어가는 벽돌 하나가 되겠지.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