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ugene L Jul 28. 2023

체계적인 프론트엔드 기획을 위한 것

Specifications

지인을 통해 알고있던 주니어 기획자가 하루는 찾아와 이직을 준비중이라고 이야기를 시작했다. 문제가 있는데  채용 JD를 보면 기획자에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획을 하실 수 있는 분”이라는 요구가 있다 합니다. 우리는 보통 와이어프레임이나 화면을 정의하고 그 화면에 있는 기능들을 설명하는 것이 기획의 주요 업무라고  생각하는데요.

깊이 있는 기획자라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구분하여 기획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프론트엔드는 사용자와 서비스가 만나는 접점이며, 백엔드는 그런 서비스의 흐름과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기획을 할 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구분해서 기획을 하신적이 있으신가요?


그럼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기획하는 방법을 한번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기획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때 보다는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입장에서 기획할 때를 조건으로 하겠습니다. 그런 조건을 만든 이유는 런칭하지 않은 서비스를 기획 할 때는 시간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것들을 무시하고 서비스를 만들어 냅니다. (명확한 BM이 있을경우에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서비스 기획이라는 과정이나 기획자라는 포지션 보다는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fit, 고객가치 확인이 더 중요해서 그렇습니다.


오늘은 먼저 프론트엔드에 필요한 기획을 얘기해 보고 다음에는 백엔드에 필요한 기획을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건   

서비스가 런칭되어 있고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함


기획 목표   

프론트엔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보의 흐름을 이해하고 언제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즈니스 목표가 녹여져 있어야 합니다.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먼저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PO라면 가장 중요한 내용이겠지만 어쨌든 서비스 기획자도 비즈니스의 목표나 원칙, 비즈니스 모델 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PRD나 상세 기능리스트를 접해야 합니다. PRD에 비즈니스적인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앞에서 비즈니스 목표나 방향을 인지했기 때문에 PRD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inciple

기획 업무 중 결정이 어려울 때 기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원칙과 법규적인 사항 등은 꼭 기획에 녹여져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특허 등도 법적 문제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꼭 반영이 되어야 합니다.

프론트엔드 기획자는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인문학적 소양이나 인지공학적인 소양들도 쌓아두고 계셔야 합니다. 사용자 친화적인 기획을 위해 모델링을 꼭 확인하고 반영해야 합니다. 하지만 퍼소나 모델링이 정답은 아니므로 나중에 테스트나 VOC 등으로 사용자 그룹의 속성들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꼭 인지해주셔야 해요.


스펙에 따라 기획이 바뀝니다.

프론트엔드 기획자는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지만, 개발적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스펙을 꼭 정의해야 합니다. 개발자는 디바이스나 해상도 관련된 것들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획서에 관련된 내용을 반영하여 설계를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프론트엔드 기획을 요청하는 BD나 PM, PO는 반드시 스펙들을 정의해주고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합니다. 지원할 디바이스 종류나 디바이스 버전, OS 버전 등의 범위를 지정합니다.



꼭 디자인 진행 전에 사용성을 체크 해주세요.

디자이너에게 요청하기 전에 디자이너나 다른 개발자 분들, 매니저 역할을 하시는 분들과 페이퍼프로토타입 으로 사용성을 체크해주세요. 꼭 페이퍼 프로토타입으로 할 필요는 없지만 PPT를 주로 이용하는 기획자는 사용해 보면 좋습니다. 피그마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프레임이나 화면설계를 하는 기회자들은 피그마를 이용해서 사용성을 꼭 체크 해주세요.



체계적인 프론트엔드 기획을 위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할것들!!

- 비즈니스 기획 : 비즈니스 목표와 BM, 사업 원칙, 시장 포지션 체크, 차별화 전략  
- 요구사항 : PRD (요구사항) - 법률 체크, 상세 기능리스트, 서비스 정책  
- Principle : 서비스설계원칙, 서비스약관 및 정책(법률 체크), 도메인 관련 법규 체크, 내/외부 특허  
- 사용자 타겟 : 사용자 그룹의 속성, 인구통계학적 정보,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고용 이유), 그룹별(모델링) 고객 친화도, 그룹별 고객 여정 지도, 사용성  
- 정보 구조 : IA, Key Feature  
- 요구사항 스펙 : 디바이스 타입 (iOS, AOS, Windows, Mac…)
- 디바이스 지원 버전 : iPhone13, iPhone13 mini.., 디바이스 OS : iOS v1.0.1 …
- 앱/웹 타입
- 브라우저 지원 버전
- 해상도 지원 범위
- 퍼블리싱 지원 방식(개발 방식)  

- Flow : 전체 서비스 플로우, 상황별 워크 플로우, 기능별 display-flow  
- UI 설계 : UX원칙 정의, 와이어프레임, 화면설계  
- 테스트 : 페이퍼프로토타입(프로토타입 만들기 전 UX 체크)
- 프로토타입 : 사용성/비즈니스 가치 등을 확인
  - 보통은 매니저와 디자이너가 함께 진행 -> 내부UT(블라인드 테스트), 외부 UT


작가의 이전글 잠자는 사이 나의 데이터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