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ch and Biz Jul 23. 2019

정보처리기사 실기

[2018년 3회 정기시험]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을 보고 취득한지 벌써 8개월이 지났다. 

당시에 후기를 작성해 두었는데, 발행을 하지 않았었다.

그래도 앞으로 준비하실 분들을 위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제 경험을 공유합니다.



자격증을 하나 따보자! 해서 준비하게 된 첫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최.종.합.격.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지난 필기후기에 이어 다행히도(?) 실기도 합격하게 되어 후기를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우선 2018년 11월 16일 오전 9시에 기다리던 시험 결과를 확인 !!! 


Figure 1. 2018년 정기 기사 3회 결과


합격!!



시험을 보고 온 지난 10.07일에 가채점을 통해 80점 전후의 점수를 확보한 것을 알았지만....

시험지를 받자마자 1번 문제에 그은 5cm가량의 밑줄이 너무 신경쓰였다....

(참고로, 시험지 아랫부분인 연습장 외에는 건들면 안된다... 실격요인이다!!)

(알고리즘 부분을 풀기에는 살짝 좁은 감이 있다... )

그래서 시험지에 밑줄을 치고는 시험감독관에게 "이거... 조금 밑줄을 잘못쳤는데...(펜이었다..) 시험지를 바꿔야 할까요?" 라고 물어봤고, 감독관이 이정도는 괜찮을거라 해서 남은 시험을 끝까지 쳤고 기다렸다.


지금 내 앞자리에(연구실에서) 앉아서 공부하고 있는 똑똑이 왈
"시험시간 3시간 중 1시간 반 지나면 나갈 수 있는데, 그때 다들 나가요~" 라고 해서 큰 걱정이 없었고, 

필기시험 때도 "퇴실가능" 되자마자 퇴실했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럴 줄 알았는데!!!!!


한번에 풀리지 않은 문제들이 많다... 우선 이번 실기시험도 벼락치기를 했기 때문에... 용어가 많이 부족했다. 
확실히 알고 쓴 것들을 전부 합쳐보니 40점대..(불합격 점수대다...)

나머지 20점이 더 필요하다... 그리고 무슨 Struct가 나오다니 !!!!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전 기출과 비교하며 난이도 상승을 느꼈다... 하필 이게 내 시험이라니.


2018년 정기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률: 34%,   

2018년 정기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률: 65%   

차이가 너무 심한것 아닌가 !!!!


우선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 풀어보고, 못푼 문제들 다시한번 천천히 보고, 코딩문제들을 다시 한번 천천히 머릿속으로 돌려보고..!! 

퇴실가능시간 되니.. 사람들은 우르르 나가고, 나 포함 3명만이 교실을 지켰다...(다들.... 잘 푸신거죠....?)



시험때 용어는 왜 이렇게 생각이 나질 않는지..... 업무프로세스 반타작 한것 같고, 전산영어 1개 맞추고 ㅋㅋㅋ

다행히도 신기술 용어 대부분을 맞춘듯..!!  

이전날 밤새면서 용어 공부만 하다가, 시나공(?)인가에서 제공해주는 모의고사 한회를 풀었는데, 똑같은 문제가 하나 나왔네요!! (Companion Screen 문제) 진짜 감사감사 ㅎㅎ

(시나공이랑 Q-Net이랑 뭐 있는거 아닙니까!!!! ㅋㅋㅋ)


이렇게 점수 조금씩 확보하고, 끝까지 앉아서 잘 안풀리던 알고리즘 문제 해결하고, 데이터베이스 문제들 다시한번 확인하고 했더니 
이제서야 최소 60점 확보 !!  결국... 교실 꼴찌로 나옴 ㅠㅠ  (결과는 80점대로 붙었던 것 같다)

(민망.... 아직 그래도 30분 남아있었는데...다들 어디가신건가요....)


시험 마치고, 시험장(반포중학교) 바로 앞에서 순두부찌개 혼자 먹고, 집에 와서 가채점 후 쉬었습니다.


이번 실기 공부방법은, 코딩을 해보신 분들은 알고리즘 부분은 건너뛰셔도 될 것 같습니다! 

(C랑 JAVA 기초를 아신다면요! 저는 JAVA를 이번 기회에 처음 접해봤습니다)

(저도 알고리즘은 내용이 워낙 많다보니 건너뛰고, DB쪽 SQL이랑 용어만 외웠습니다

코딩을 접해보지 않으신 분들은 시간을 내어서 알고리즘 파트에 익숙해 지셔야 합니다.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 부분에서 점수를 최대한 확보하셔야 합니다!! 

용어는 진짜 모르면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최대한 확보!!



그리고 용어는 양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각자 자기만의 스타일대로 최대한 많이 외우시거나 친숙해 지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단어들을 영어 축약어로 외웠습니다. (단어 중에 너무 긴 것들이 많아서요!) 
Full-name으로 쓰라는 문제는 그때그때 생각해서 풀어주시면 됩니다!



너무 글을 의식의 흐름대로 쓰다보니.... 그래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공부했던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듣고 싶으신 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그래도 동차합격을 하게 되어 좋네요 ㅎㅎ.

Figure 2. 정보처리 기사 동차 합격



이 후기를 보신 많은 수험생 분들도 열심히 준비하셔서 꼭 한번에!!  합격하기를 바랍니다 :)

2018년 시험은 이제 끝났으니, 2019년도 시험 화이팅입니다!!

(2020년도 시험은 개편이 된다는 소문이 있네요...)



구독 라이킷댓글과 공유는 작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