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인현 Dec 10. 2020

우리가 살 수도 있었던 집의 모양들

안녕하세요.

지난 2020.10월부터 12월까지 <우리가 살 수도 있었던 집의 모양들> 이란 기록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무중력지대 성북에서 지원했던 프로그램이에요.


제가 속한 팀의 이름은 69번지 102호입니다. 필름으로 성북구 내의 집들을 찍어서 엽서를 만들고, 집에 관한 3가지 인터뷰, 6가지 이야기, 9개의 기사를 엮은 소책자를 만들었습니다.

◆ 팀 소개

<69번지 102호>

우리는 지난 6년간 성북구에서 주거를 위해 분투한 경험이 있다. 성북구에서만 네 군데의 집을 거쳐왔고, 3평 원룸, 6평 오피스텔, 반지하 빌라에서 1층 투룸 다가구주택에까지. 보일러가 터지고, 변기가 역류하고, 집주인과 머리채를 잡고, 게다가 고양이 한 마리도 함께, 집을 구하기 위한 조건들을 따져가며 살아왔다. 여러 집을 전전했던 우리의 경험은 자연스럽게 성북의 집을 기록해보자는 결심으로 이어졌다. 팀명 69번지 102호는 팀의 구성원이 동거하는 공간의 현주소이다.


프로젝트 소개

<우리가 살 수도 있었던 집의 모양들>

‘살 수도 있었다’는 말에는 집을 ‘삶을 영위하는 장소’와 ‘매매 가능한 자산’으로 보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우리의 관심은 성북구 안에서 거주할 수 있는 집들을 아카이빙 하는 것이었고, 주택들의 외형을 필름 사진으로 촬영하기 시작했다. 우리가 삼선동을 갔을 때, 삼선동은 제5구역과 제6구역으로 나뉘어 완전히 다른 풍경이 되었다. 제5구역의 집들은 모두 이주를 완료하여 공가가 되어 있었고, 쇠파이프와 천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다. 집의 창문은 모두 깨져 있거나 열려 있었고, 부서진 문 사이로 집에서 쏟아져 나온 쓰레기들이 내장처럼 흘러나와 있었다.


"신기해. 우리가 저기 살 수도 있었는데."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새에 사람들이 모두 떠나고, 집은 부서질 일을 앞두고 있다. 그 집에 살던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들을 가졌는지 우리는 알지 못했고, 모든 집과 이야기가 사라진다 라는 문장이 머리에 남았다.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1. 사진 30매가 담긴 엽서북 (148mm X 100mm)

2. 116p 분량의 소책자 (148mm X 100mm)

입니다. 두 권을 하나의 봉투에 담아 드릴 예정이고요.

대략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엽서북 표지



1-1. 사진 일부 공개

저희가 촬영한 사진들의 일부를 공개합니다.


2. 이야기책 표지


2-1 이야기책 목차


    모든 집과 이야기가 사라진다

시작

    즐거운 나의 집 - 연어

3개의 인터뷰

    4인가족 - 제이

    신혼부부 - 박재영

    1인가구 - 송은별

6개의 이야기

    기억을 걷는 집 - 김충현

    부뚜막의 신 - 봉주연

    너와 잠드는 일 - 이지윤

    중고 아이폰 구매기 - 알디

    서울에서 다시 살아보겠습니다 - 제이미 킴

    바닥가 풍경 - 안곰곰

9개의 기사

    고사리 손의 돈벌이 - 1967.10.26

    노인 빈집보기 부업 인기 - 1990.02.11

    장위3동 황 할머니 - 1987.01.01

    일관성 없는 주택정책이 빚어낸 소동 - 1967.07.02

    서민들 집 한칸 마련 꼭 실현하는 한해되기를 - 1993.01.01

    보상금 안준채 무허건물 철거 불만, 주민들 동사무소서 소동 - 1979.10.14

    난 웬일인지 가슴이 저려오고... - 1967.04.29

    서울 음지양지 (4) 미아리 '점마을' - 1988.09.28

    미아리고개 판자촌 주민들, 시골로 집단이주, "더부살이" 서울생활 청산 - 1977.04.20

    때로는 이게 다 무슨 소용인가 싶다 - 문어

    작업노트

    

◆ 최종 결과물 공개

코로나19 방역지침으로 인해 원래 예정되어있던 오프라인 전시는 취소되었고, 결과물은 12월 18일 온라인으로 공개됩니다. 다른 팀 또한 각자 다른 영역의 프로젝트 결과물을 보여줄 예정이에요. 결과물 공개 페이지는 추후에 다시 공유하겠습니다.

다만 저희 팀의 결과물은 인쇄물이라 한정된 분에 한해서 실물을 보내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결과물은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니 배포에 관해서도 이후에 좋은 방법을 찾아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시 기록 프로젝트 지원내용 알아보기 (2020.10.6 - 10.18)

https://youth.seoul.go.kr/site/main/youth/politics/user/detail/1775


★ 프로젝트 홍보 게시물

https://www.instagram.com/p/CImuLvVlIQM/?utm_source=ig_web_copy_link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