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역사, 신형철
쉽게 읽히지 않는 책들이 있다. 분야가 낯설거나 깊이가 너무 깊다고 여기질 때, 나는 책을 읽다 주춤한다. 신형철 평론가는 내게 그런 작가였다.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깊숙한 무언가를 이야기하는 사람이라서, 책을 펼쳤다가도 이내 멈추곤 했다. 그래서 늘 읽고 싶지만 선뜻 다가갈 수 없는, 기울어진 관계 같았다. 동기부여가 필요해 책모임을 신청했고, 다 읽지 못한 채 참석했다. 그리고 기어이, 다 읽어냈다.
'살아간다'는 말이 좋다. 과정이 포함되는 말이라 그 안에는 부족함으로 인한 아쉬움이 발생한다. 그럼에도 후회되지 않는 건 앞으로 나아간다는 것이 주는 희망 때문이다. 그러니까 '인생의 역사'는 제목부터 너무 매력적이었고, 목차는 더 아름다웠다. '고통의 각', '사랑의 면', '죽음의 점', '역사의 선', '인생의 원', '반복의 묘'. 고통은 여기저기 날카로운 흔적을 남기지만 사랑의 한 장면만으로도 살아갈 힘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언젠가 죽음이라는 마침표가 찍힌다. 그 수많은 점들이 이어져 역사가 되고 마침내 모두가 이어져 인생이 된다. 그런 반복들이 삶의 아름다움이 아닐까.
그런 인생을 생각하며 책에 담긴 시와 작가의 평론을 읽었다. 어떤 시는 해설 덕분에 전혀 알지 못했던 한 시대의 역사를 배웠고, 또 다른 시는 인생 선배의 경험이 주는 조언 같기도 했다. 가끔은 오롯이 혼자 느끼고 싶은 시를 만나기도 했고, 시보다 작가의 글이 더 좋아 덕지덕지 인덱스 플래그를 붙이기도 했다.
작가가 아빠가 되어 쓴 첫 번째 책, 그래서 책의 시작과 마지막이 지금의 내게 더 와닿았다. 부모가 된 순간은 삶을 다르게 보는 새로운 지점이 된다. 이전에 나를 이룬 많은 생각들과 가치관이 동전의 앞뒤처럼 한 순간에 바뀐다. 이해되지 않았던 어떤 모습들이 단번에 받아들여지니까.
책을 다 읽기까지 한 달이 걸렸지만 그럼에도 참 좋았다. 오래 쥐고 있을 수 있어서. 혼자 읽지 않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