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함승민 Aug 27. 2020

치맥을 포기해야 갑질이 사라진다?

생산자의 권리 vs 소비자의 편익

예전에 한 지인의 소개로 독일인 친구와 만나 저녁을 먹은적이 있습니다. 대화 중 이런 얘기가 오고 갔죠. 


나: 요새 한국에선 여러모로 독일을 배워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

독일친구: 글쎄다. 배울게 뭐가 있나 싶다

나: 치밀하게 짜여진 시스템. 가령 노동이나 교육 체계 같은

독일친구: 시스템은 '재미 없음'의 대가다. 왜 등록금이 싸고 마이스터고가 활성화 됐을 것 같나? 청년들이 별로 야망이 없어서다. 그냥 적당히 기술 배워서 적당한 회사 다녀도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은 없게 해주니까 큰 노력 필요 없는 마이스터고를 많이 가는 거고, 그러지 말고 좀 더 공부좀 하라는 의미에서 등록금을 낮춘 거다. 그게 밖에서 보기에 합리적이고 단단해 보일 수 있겠지만, 역동적이고 활기찬 사회는 아니다. 주위를 봐라. 한국은 정말 즐길 게 많다. 한밤중에도 먹고 마실 수 있다. 사람들이 한강 공원에서 밤 11시에 치킨을 시켜먹는다. 따뜻한 음식을 시간에 상관없이 어느 곳으로든 배달해준다. 피씨방, 노래방, 찜질방 등 레저 거리도 많다. 활력이 넘쳐 보인다. 독일은 재미가 없다. 6시만 되면 대부분의 상점은 문을 닫는다. 식당이나 펍도 늦게까지는 안 한다. 친구를 만나도 펍 말고는 딱히 갈 데도 없고 더 놀고 싶어도 그냥 집에 가야 해서 아쉬울 때가 많다. 근무 시간에 따른 고비용을 엄격하게 규정한, 노동자에 초점을 맞춘, 네가 말하는 그 시스템의 영향이다. 독일의 노동 시스템은 노동자가 소비자로서의 편익을 포기한 대신 얻은 거나 마찬가지다.


이 친구는 생산자 중심 사고의 반대급부를 강조했습니다. 반대로 이 관점을 연장해보면 한국은 소비자-생산자 간 균형점이 어느샌가 소비자쪽으로 너무 쏠린게 문제라고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 우리사회는 '손님이 왕'입니다. 돈을 지불하는 사람이 '갑'이고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이 '을'이죠. 돈을 내는 사람이 어딜 가든 당당하고, 그들의 편익이 최우선이 됩니다. 만들고 제공한 쪽보다는 사고 돈 내는 쪽의 가치와 지위가 높은 셈이죠. 보통의 '갑질 논란'이 대부분 이런 구조에서 일어납니다. 


여기서 우리의 '노동'에 대한 문제도 생깁니다. 기업은 노동자의 노동 서비스를 돈 주고 사는 주체입니다. 즉 근로자는 노동 서비스의 생산자고 기업은 그것의 소비자죠. 그런데 지금 같은 소비자 중심 사고방식의 세상에서 권력자는 돈을 지불하는 소비자입니다. 그래서 회사는 근로자에게 갑으로 떵떵거릴 수 있게 됩니다. 


친구의 말을 들어보면 독일의 경우 소비자의 편익과 지위에 한계를 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게 어떤 배경에서 나온 건지는 그곳에 대한 이해가 짧아서 모르겠습니다만, 생산의 가치를 인정하는 환경 때문에 자연히 소비의 일정부분을 희생한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어쨌든 결과만 봤을 때 우리 사회가 추구할 수 있는 답 중 하나는 간단할 것일 수도 있습니다. 생산자의 가치와 권익을 인정하는 대신 소비자로서의 편익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말이 쉽지 실제로 그럴 수 있을까요? 이 친구는 끝에 이런 말을 덧붙였습니다. 


"한국이 독일의 시스템을 따라하고 싶다면 사람들이 24시간 편의점과 야밤의 치맥을 포기할 정도의 마음가짐이 필요할 거다"... 쉽지 않겠네요. 



작가의 이전글 '조만간'의 길이는 얼마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