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요약본 _ 스티그브라더, 프레스턴 피시
1.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요약본으로 읽자.
<현명한 투자자>. 주식투자자의 필독서인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를 읽어보기로 했다. 그런데 이 책이 내용도 방대하고, 이해하기도 빡세다고 해서 고민을 좀 했다. 고민하다가 우연찮게 <현명한 투자자>의 내용을 정리한 요약본이 책으로 나와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스티그 브라더선과 프레스턴 피시의 <현명한 투자자 핵심 요약본>. (저자들은 바쁘디 바쁜 현대인들을 어여삐 여겨 요약본을 만들어 준 게 분명하다..) 그래서 요약본을 먼저 읽어보기로 했다. 읽고 나서도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철학과 방법론에 대한 궁금증이 더 생긴다면, 그때 원문을 읽어봐야겠다 싶었다. 요약본에 담긴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 투자냐, 투기냐 그것이 문제로다.
책에서는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라고 한다. 벤저민 그레이엄이 말하는 투자는 '철저한 분석을 통해 원금을 안전하게 지키면서도 만족스러운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투기다.' <현명한 투자자>는 책의 서두에서 분명히 밝힌다. 이 책은 투기꾼이 아닌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책이다.
3. 공격투자자와 방어투자자
벤저민 그레이엄은 투자자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공격투자자와 방어투자자. 방어투자자란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싫어하거나, 투자에 대해 자주 고민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다. 공격투자자란 유망하고 매력적인 종목을 찾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그 결과 방어투자자보다 더 높은 수익을 거두려는 사람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공격투자자와 방어투자자의 중간은 없으며, 둘 중 반드시 하나를 선택해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4. 그래서 이게 싼 거야, 비싼 거야? 가치투자
가치투자의 대가, 워런버핏의 스승인 벤저민 그레이엄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반드시 잘 따져야 한다고 말한다. 항상 기업의 내재가치를 측정하고 계량화하며 실수의 위험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가치측정을 통해 투자자는 매수하기에 적정한 주가인지 계산해볼 수 있다. 사실 우리는 좋은 기업들, 우량한 기업들은 웬만하면 다 알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차, 카카오, 테슬라, 구글 등등). 그런데 우리는 알아야 한다. 기업가치에 비해 주가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 말이다. 지금 내가 사는 가격이 좋은 가격인가? 고평가 되어 있어 너무 비싼 건 아닌가? 적정한가? 아니면 저평가 되어 있어 싼 건가? 벤저민 그레이엄은 말한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향수가 아니라 식료품을 사듯이 실용적이어야 한다고. 우리가 마트에서 장을 볼 때 꼼꼼하게 가격을 따지는 것처럼 말이다.
5. 그래서 어떻게 가치 평가를 하는데?
요약본이라서 그런가, 자세히 나와있지는 않다. (역시 원문을 읽어봐야 하는 건가..) 기업을 평가하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몇 가지 기준들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a. 안전성.
- 최근 3년 EPS 평균 대비 최근 10년 EPS 최솟값으로 안정성을 평가했다. 10년 동안 EPS가 최근 3년 평균보다 한 번도 내려가지 않은 기업은 확실히 안정적인 회사로 볼 수 있다.
b. 이익의 안정성
- 지난 10년 동안 해마다 이익을 냈어야 한다.
c. 배당 실적
- 지난 20년 동안 빠짐없이 배당을 지급했어야 한다
d. 이익 증가
- 지난 10년 동안 ‘3년 평균 EPS 증가율’이 33% 이상이어야 한다. 즉, 1~3년 전 ‘3년 평균 EPS’가, 8~10년 전 ‘3년 평균 EPS’보다 33% 이상 많아야 한다.
그리고 기업의 주가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들도 제시한다.
a. 성장주를 평가하는 공식
성장주의 가치 = 정상 EPS x (8.5 + ‘연간 예상 성장률의 2배’)
(여기서 예상 성장률은 이후 7~10년 동안 기대되는 성장률을 가리킨다. 예상 성장률은 빗나가기 쉬우므로 예상 성장률에 충분한 안전마진을 포함해야 한다)
b. 적정 PER
- 현재 주가가 ‘최근 3년 평균 이익’의 15배 이하여야 한다.
c. 적정 PBR
- 현재 PBR이 1.5이하여야 하고, PBR x PER은 22.5이하여야 한다. 즉, PER이 9면, PBR 2.5까지는 문제없다.
6. 워런 버핏도 강조한 안전마진의 개념
- 아래는 책에서 언급되는 안전마진에 대한 설명이다.
"주식의 안전마진은 ‘기업의 수익력이 채권수익률을 훨씬 초과할 때’ 확보된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이익수익률(EPS/주가)이 9%이고, 채권수익률이 4%라고 가정하자. 이 주식은 수익률 면에서 채권보다 연 5% 포인트 유리하다. 이 회사는 초과 수익률 일부를 투자자에게 지급하고, 나머지는 재투자해서 기업의 가치를 높일 것이다."
사실 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책 끝부분에 역자의 후기에서 해설을 보고 이해했다.
"이 말을 쉽게 정리하면 기업의 수익력이 채권자의 요구수익률을 초과할 때 안전마진이 확보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채권자에게 이자를 지급하고도 남는 이익이 존재해야 주주에게도 수익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아, 채권자에게 이익을 나눠 주고도 주주에게 돌아올 정도의 이익수익률이 됐을 때 이걸 안전마진으로 부르는구나 싶었다. 그리고 그레이엄은 다음과 같은 경우도 안전마진으로 보았다.
"불량 종목이더라도 매우 낮은 가격에 매수하면 건전한 투자가 될 수 있다. 가격이 매우 낮으면 안전 마진이 충분해지므로 우리 투자 기준을 충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는 이익은 매우 신중하게 투자한 데 대한 보상이다."
보통 안전마진은 우량 기업의 수익성에 비해 주가가 낮아서 형성되는 게 원칙인데, 만약 주식투자자들로 인해서 불량기업의 주가가 너무너무 싸게 시장에 나온다면 이것도 안전마진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7. 정리
요약본은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의 핵심을 접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무겁지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점이 좋았다. 그러면서도 원문에서 그레이엄이 강조했던 부분들이 이 책에서도 잘 전달된 것 같았다. 수십 년이 지난 시장 상황과 한국이라는 다른 시장에 딱 적용시키기에는 어렵겠지만, 그레이엄의 철학과 판단 지표들을 참고한다면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