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부동산센터 이호영 Oct 22. 2018

전국 최초 도시형소공인집적지구 공동인프라, 양주 개소

전국 최초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공동 인프라, 양주에 개소


양주 섬유마을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및 특화지원센터 개소(22.8억/국비 12.7, 도비 2.66, 시비 7.45)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 설치 시험분석 인프라 구축(11.4억원 / 국비 7.8, 도비 3.6)


▲ 경기도는 17일 양주 한국섬유소재연구원에서 ‘양주 섬유마을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공동 인프라 및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17일 양주 한국섬유소재연구원에서 ‘양주 섬유마을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공동 인프라 및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국에서 최초로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 공동인프라’가 양주에 들어선 것이다. 


이 자리에는 박덕순 도 노동일자리정책관, 이상훈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비롯한 섬유 소공인, 기업인 관련 단체·유관기관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양주시 남면 일원에 위치한 양주 섬유마을은 섬유편직, 염색, 가공업체 144개사가 모여 있다. 지난해 9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되면서 총 22억8000만원(국비 12억7000만원, 도비 2억6600만원, 시비 7억4500만원)을 지원받아 구축하게 됐다.


공동인프라에는 섬유·피혁의 미세구조를 분석하는 ‘주사 전자현미경(FE-SEM)’, 섬유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섬유 기능성 가공기’, 다양한 패턴과 모양의 환편물을 개발하는 ‘고효율 스마트 환편기’, 원단표면의 품질을 높이는 ‘원단표면 가공기’ 등 고가의 공동활용장비와 교육실 등이 들어섰다.


집적지구 내 섬유소공인을 위해 교육, 컨설팅, 마케팅 등 센터를 활용한 다양한 지원활동을 벌이게 된다. 아울러 소공인특화자금(최대 5억 원 한도 융자) 이용 시 금리우대 혜택, 마케팅(최대 3천만 원)·기술개발(최대 5천만 원) 등 소공인 지원사업 공모 시 가점 우대를 받을 수 있다.


도는 한국섬유소재연구원 내 ‘섬유제품 유해물질 시험분석소’가 함께 들어서 기업들의 경영개선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시험분석소는 지난해부터 시행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맞춰, 의류·장신구 분야의 소상공인·영세상인을 대상으로 제품 안전인증 비용 부담완화를 지원하고자 설립된 시설이다.


이곳에는 국비 7억8천만원, 도비 3억6천만원 등 총 11억4천만원을 지원받아 ICP-OES, GC-MS, 등의 유해물질 시험분석 인프라를 구축, 소상공인 대상 섬유·장신구제품 기본시험 무상지원, 도 소재 제조기업 대상 최대 시험비용 75% 지원 등 연간 1천2백건의 KC인증 시험지원을 펼치게 된다.


▲ 박덕순 노동일자리정책관은 17일 양주 한국섬유소재연구원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향후 집적지구 지정·확대 및 활성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사진제공=경기도)


한편,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는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같은 업종의 소공인 수가 일정 기준(시 내 읍면동 40개사 이상)이면 시·도의 신청에 따라 검증·평가를 거쳐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하는 지역을 뜻한다.


현재 경기도에는 양주 남면(섬유제품, 2017년), 시흥 대야·신천동(기계금속, 2017년), 용인 영덕동(전자부품, 2017년), 군포 군포1동(금속가공, 2018년), 포천 가산면(가구제조, 2018년) 등 5개소가 지정되어 도시형소공인을 위한 공동인프라를 구축 중에 있다.


박덕순 노동일자리정책관은 “경기도는 소공인 집적지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254개소가 분포돼 제조업 비중도 전국에서 가장 높다”며, “향후 집적지구 지정·확대 및 활성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작가의 이전글 ‘제기1 경동미주아파트 정비구역 지정안’ 심의 통과 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