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론 Jun 25. 2024

시니컬한 척해봤자 손해야

여행자의 시선이 필요해

 멜버른에는 유명한 골목이 하나 있다. 바로 호저 레인(Hosier lane)이라는 곳으로, 힙한 그라피티가 골목 전체에 그려져 있는 관광지다.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촬영지이기도 해 한국인들은 '미사거리'라고도 부른다. (무려 20년 된 작품인데!) 수차례 그 앞을 지나면서도 제대로 들여다본 적은 없었다. 그라피티에 흥미도 없고 서울에 있는 압구정 토끼굴이랑 별 차이 없는 거 같기도 하고, 그런 조금은 냉소적인 마음으로.


 며칠 전 함께 투어를 다녀온 J 씨가 아니었다면 아마 이대로 귀국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멜버른에 여행을 온 J 씨와는 근교 투어에서 만나 함께 시티를 돌아다녔다. 그래도 난 여기 사는 사람이니만큼 뭔가 '끝내주는' 걸 보여주고 싶어 고민하던 찰나 J 씨가 먼저 호저 레인 얘기를 꺼냈다. 멜버른의 유명한 장소니까 사진이나 몇 장 찍어주려는 가벼운 마음으로 갔는데, 여기가 '끝내주는' 장소였을 줄이야!

 처음에는 그저 한 덩어리의 거대한 낙서 벽이던 것이, J 씨가 한 마디씩 할 때마다 각각의 그림으로 분리되어 살아났다. '하트가 너무 귀여워요! 이 앞에서 사진 찍어 주세요.' 라니! 호저 레인 곳곳에는 색색의, 모양도 다양한 하트가 있었다. 전에는 몰랐던 일이었다. 휘갈긴 듯 개성 있는 글자들과 누군지 모를 인물화, 가지각색의 도형들까지 하나하나 떼어놓고 보니 모든 게 새롭고 예뻤다.

 중간쯤 갔을 때, 운 좋게도 그라피티를 그리고 있는 예술가들을 마주쳤다. 검은 배경 위에 스프레이를 거침없이 뿌리는 모습이 신기하기도 했고 그들의 작업을 보며 왜 호저 레인이 이렇게 유명한 관광지가 됐는지 짐작할 수 있었다.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벽이라니, 얼마나 낭만이야.

 머쓱하지만 여행자처럼 사진도 찍었다. 이러고 나니 호저레인을 들여다볼 생각도 않은 그간의 시간이 굉장한 손해처럼 느껴졌다. 관심 없는 척 지나가는 바람에 보지 못하고 덮여버린 그라피티가 얼마나 많을까! 이제라도 이곳의 매력을 알아서 얼마나 다행인지.

 그러니 앞으로 괜히 냉소적인 척, 시니컬한 척은 그만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디에 또 끝내주는 것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니 앞으로는 모든 것이 궁금하고 새로운 여행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겠다.

작가의 이전글 어느 의대 교수님의 축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