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수박 Mar 05. 2020

깊게 파인 마음속에 이야기가 고인다

영화 <작은 아씨들>



 고난은 마음을 깊게 파낸다. 파였기에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다. 파인 마음속에 이야기가 고였다.

 첫째는 꿈보다 가난한 사랑을 택했고, 둘째는 끝까지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 셋째는 가장 부드러운 것이 가장 강한 것이라는 걸 알려줬고, 넷째는 스스로 선택하는 삶이 얼마나 당연하면서 어려운 건지 보여줬다. 네 자매의 모습이 우리 모두에게 있음을 인지하니 눈물이 저절로 나왔다.

 언젠간 죽을 걸 알면서도 왜 우리는 영원히 살 것처럼 서로를 미워하고 사랑할까. 미워하기에 인생은 너무 짧고, 사랑하기엔 언젠간 죽는데도 말이다. 루이자 메이 올컷은 어쩌면 이 사실을 알았기에, 제 옆의 사람들을 영원히 사랑하는 방식으로 이 소설을 남겼을지도 모른다. 그녀가 쓴 자전적인 소설이 몇 번의 리메이크를 거쳐 2020년의 영화관에도 걸리고 누군가는 그걸 보고 여전히 눈물을 흘리는 걸 보면, 그녀의 사랑 방식은 정말로 영원할지도 모른다.



 인간은 함께 있어도 개개인의 고독을 스스로 감당할 수밖에 없다. 한 집에 모여 사는 게 당연하게만 느껴졌던 네 자매는 어느샌가 각자의 둥지를 틀고 살아간다. 셋째가 아프다는 소식에 하나둘씩 그 집에 모이면, 함께 웃고 떠들던 어린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것 같다. 거기에는 부드럽고 다정한 우리 엄마와 지지고 볶았던 자매들이 있기 때문이다. 썰물이 당연하듯 밀물도 당연하다. 어른이 되어 떠나는 게 당연했다면, 사랑하는 이들을 보기 위해 다시 모이는 것도 당연하다. 다시 모여서 모두의 살아있음을 느끼지 않고서는 개인의 고독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랑이라는 말 지긋지긋하지만, 우리는 외롭기 때문에. 외롭기 이전에 서로를 어쩔 수 없이 사랑하기 때문에 모이게 된다.




 내 삶의 색깔이 흐릿하여 보이지 않고, 내 삶의 향기가 다 날아가버려 맡아지지 않을 때가 있다. 우리의 인생은 모두가 한 편의 소설이기에 각자가 주인공이지만 사랑, 자유, 평등에 목숨 걸지 않는 덜 정의로운 주인공이 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오래전부터 나 대신 외쳐주었던 네 자매를 만나고 싶다. 올컷이 남긴 사랑의 방식이 영원할 거라는 사실에 희망을 걸어본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어른들이 자신의 이익에 눈이 멀어 당연한 것을 외면할 때, <작은 아씨들> 같은 고전들이 자라나는 세대에게 올바른 것을 말해줄 거라 믿는다. 각자의 고난으로 움푹 파인 곳에 이야기들이 들어차기를 바란다. 고난을 즐거운 이야기로 바꾸기까지 괴로울지라도 모두 포기하지 않기를. 올컷이 그랬듯이 우리도 그러기를 바라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재로 남더라도 불꽃이 되리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