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세규 Nov 09. 2024

대중음악과 경제 현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경제는 결국 돈이다. 돈을 떼어 놓고는 경제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래서 인류의 역사에서 돈은 수많은 이야깃거리를 낳았다. 록 음악도 마찬가지다. 뮤지션들은 단지 노래하고 연주하는 게 좋아 음악을 시작했지만, 돈을 벌기 시작하면 상황이 달라지곤 한다. 돈 때문에 뭉치고, 등을 돌리고, 심지어 법정 싸움까지 벌이는 일도 많다. 록 음악사에 있었던 흥미로운 에피소드들을 통해 돌고 도는 돈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록코노믹스-

"경제는 결국 돈이다."라는 말은 록 음악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는군요. 록 음악은 음악 장르를 넘어, 한 시대의 문화와 정신을 담아내는 거울과 같아요.

뮤지션들은 자신의 열정을 음악에 담아 세상에 내놓지만, 동시에 생계를 유지하고 음악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해요. 이런 현실은 록 음악사에 수많은 드라마틱한 이야기들을 낳았어요. 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뮤지션들은 뭉치기도 하고, 갈라서기도 하며, 때로는 치열한 법정 싸움을 벌이기도 했지요.


록 음악의 역사는 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어요. 초기 록 음악은 반문화의 상징으로, 상업적인 성공보다는 자유로운 표현과 실험적인 음악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록 음악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음반 산업은 급성장했고, 록 스타들은 엄청난 부를 축적하며 사회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지요. 비틀즈, 롤링 스톤즈와 같은 밴드들은 돈을 통해 음악 산업의 판도를 바꾸었고, 록 음악은 더 이상 마니아들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돈이 가져다주는 명예와 부는 동시에 뮤지션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기도 했어요. 엄청난 부를 가진 록 스타들은 마약, 알코올 중독, 정신적인 방황에 시달리기도 했고, 돈을 둘러싼 갈등으로 밴드가 해체되는 경우도 허다했죠. 지미 헨드릭스, 커트 코베인과 같은 천재 뮤지션들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록 음악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록 음악과 돈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층적이에요. 돈은 록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록 음악의 순수성을 훼손하고 뮤지션들에게 고통을 안겨주기도 했습니다. 록 음악사에 남겨진 수많은 에피소드들은 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인간의 욕망, 질투, 배신과 같은 다양한 감정을 보여주고 있네요.


록 음악과 돈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이 흥미롭습니다. 돈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순수한 열정으로 음악을 만들고 싶어 하는 뮤지션들의 노력과, 상업적인 성공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음악 산업의 모습은 록 음악이라는 거울을 통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록 음악을 통해 돈의 가치가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영광과 상처를 동시에 볼 수 있었고, 돈과 예술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록 음악과 경제학이라니, 의외의 조합처럼 느껴지네요. 그러나 '록코노믹스'는 이 두 분야를 연결시키며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보여줍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 록 음악, 시대를 반영하다 ]



작가는 1950년대 로큰롤의 탄생부터 1990년대 그런지 록의 부흥까지, 각 시대를 풍미했던 록 음악이 어떤 경제적 상황 속에서 탄생하고 변화했는지를 보여주고 있어요.


예를 들어, 1950년대 경제 호황기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로운 표현을 갈망하며 로큰롤이 인기를 얻었고, 1970년대 불경기에는 사회적 불만을 표출하는 펑크 록이 등장했던 이야기들을 말합니다.


[ 음악과 소비 ]


록 음악은 음악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으며 패션,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소비 문화를 형성했어요. 작가는 이런 음악 소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음악 산업의 경제적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 록스타, 스타 경제의 아이콘 ]


록 스타들은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자리 잡으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어요. 작가는 록스타들의 경제 활동과 그들이 만들어낸 스타 경제 시스템을 분석했습니다.

록 음악과 경제학, 언뜻 보기에 전혀 다른 두 분야를 흥미롭게 연결시킨 '록코노믹스'는  뜻밖의 즐거움을 주었네요. 음악을 좋아하는 제게 평소 즐겨 듣던 록 음악에 경제학이라는 렌즈를 통해 새롭게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신선하게 다가왔어요.

특히 인상 깊었던 부분은 록 음악이 개인의 취향을 넘어 시대의 사회,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거울과 같다는 점이에요. 1950년대 경제 호황기의 로큰롤부터 1970년대 불황기의 펑크 록까지, 각 시대의 록 음악은 사회적 변화와 불안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었어요. 음악을 들으며 단순히 감정적인 공감만을 느꼈던 저에게, 음악 속에 담긴 사회적 메시지와 경제적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에 관심이 많이 갔습니다.


또한, 록스타들이 음악가를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과정을 보면서 스타 경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어요. 록스타들의 경제 활동과 그들이 만들어낸 스타 경제 시스템을 분석하는 부분은 마치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 했지요.


이 책을 통해 저는 록 음악을 오락거리가 아닌, 시대를 반영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네요.


'록코노믹스'는 음악과 경제라는 두 가지 관심사를 모두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이 책을 통해 여러분도 저처럼 록 음악을 들으며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들어가는 글 - Cum On Feel the Noize

Ⅰ. Nothin’ But A Good Time
1. 경제적 풍요로움을 즐긴 로큰롤
2. 공장에서 태어난 노동자들의 음악
3. 오일쇼크와 펑크 록의 탄생
4. 경제 성장기를 수놓은 글램 메탈
5. 우울한 경제를 대변한 그런지 록
6. 인터넷이 록 스타를 죽였다
7. 팬데믹 이후 록의 미래는?

Ⅱ. Practice What You Preach
1. 밥 딜런 성공으로 본 ‘부의 편중’
2. 본 조비 히트곡의 배경이 된 ‘낙수효과’
3. 척 베리와 ‘창시자의 저주’
4. 브루스 스프링스틴이 분노한 ‘매몰비용’
5. 고어 부인이 불러온 ‘메기 효과’
6. 테일러 스위프트의 ‘프레너미’
7. 빅밴드 사라진 이유는 ‘보몰의 비용질병’
8. 스타디움이 만들어낸 ‘규모의 경제’
9. 음악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의 역설’

Ⅲ. Runnin’ with the Devil
1.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다섯 가지 원칙
2. 소비자는 최초보다 최고를 기억한다
3. 다르게 생각해야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
4. 모방으로 안 된다면 역발상을 하라
5. 틈새시장을 파고들면 성공이 보인다
6.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키워라
7. 연관 산업과의 시너지를 꾀하라
8. 새로운 판매 루트를 찾아보라
9. 분야 확장으로 주력 사업을 뒷받침하라
10. M&A는 성공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
11. 경쟁자와도 협업해 시너지를 내라
12. 브랜드 파워를 높일 기회를 놓치지 말라
13. 위기에서 구해줄 새 소비자를 주목하라

Ⅳ. Moneytalk
1. 탐욕이 불러온 반 헤일런의 침몰
2. 세금이 무서워 도망친 뮤지션들
3. 로큰롤 DJ가 돈을 버는 방법
4. 재주는 엘비스가 부리고 돈은 파커가 챙겼다
5. 프레디 머큐리의 재산을 증여받은 그녀
6. 단돈 1달러가 바꿔놓은 MTV의 운명
7. ‘악마의 뿔’ 제스처 상표권자는 누구?
8. 돈 때문에 법정에 선 로커들
9. 빼앗겼다 되찾은 ‘달콤씁쓸한’ 저작권
10. 디스코 열풍에 던져버린 ‘록부심’
11. 록 스타가 ‘투잡’을 뛰는 이유
12. 가짜 록스타가 벌인 SNS 사기극

Ⅴ. Into the Arena
1. 앨범 발표 없이 공연만 하는 까닭
2. 공연 티켓 ‘순삭’ 이유 알고 보니
3. 가수 만나는데 얼마까지 낼 수 있나요?
4. 암표 거래의 경제학
5. 록 페스티벌도 고령화 시대
6. 오지 할아버지의 마지막 콘서트
7. 레드 제플린 재결합 가치는 8500억원?
8. 라이브 에이드가 만들어낸 기적
9. 우드스탁 페스티벌의 저주

Ⅵ. Same ol’ Situation
1. 저작권료 안 주려고 재녹음한 명반
2. 커트 코베인 사망 후 급증한 앨범 판매
3. 소포모어 징크스 극복한 명반
4. 일본 음반에는 왜 보너스트랙이 있을까
5. 일본인들이 여전히 CD를 구입하는 까닭
6. 퇴물 취급받던 바이닐의 역주행
7. 음반을 거꾸로 돌리면 악마의 메시지가?
8. 메탈리카는 무엇을 위해 싸웠는가
9. P2P 이전에 테이프 트레이딩이 있었다

Ⅶ. Rock in Korea
1. 한국은 어쩌다 록의 불모지가 되었나
2. BTS의 코리안 인베이전 경제 효과
출처 교보문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