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운 Mar 01. 2021

시작은 3월 2일

교사를 하는 동안엔 변하지 않는 진리

꼬박 3년이 지났다.


짧지 않은 시간이었다는 건 분명하지만

10년, 15년, 25년을 교직에 몸담고 계신 분들 사이에 있으면 절로 겸손해진다.


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다.

교사라는 직함을 갖게 된 나에게도, 20대 중반을 살아가는 나에게도

크고 작은 경험이 모여 내 삶의 틈을 채워줬다.

하지만 나는 아직도 배울 게 많은 쪼렙이다.



2018년의 3월
낯설고, 설레기도 하면서 두렵고 긴장되었던 그때

2021년의 3월은 그 시절과 많이 닮아있다.

내일은 내가 학교를 옮겨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작하는 첫날이다.

그렇다. 소속이 달라졌다!



3년 차가 되고 누구나 한 번씩 하게 되는 '학교를 옮기는 문제'에 대해 고민했다.

내가 남아도 좋은 이유는 단 두 가지였다.


첫째, 따뜻한 기억이 많다.

난 서툴렀다. 특별한 교사도 아니었고 특출난 교사도 아니었다. 그래도 아이들은 날 반겨줬고, 서로의 마음을 다치게 하는 큰 일은 많지 않았다. 물론 어른인 나만의 생각일 수 있어 확신은 하지 못하지만.. 나는 아이들에게 고마운 게 많다. 처음이라 더 애틋하고 감동이었던 사소한 일들이 가득하다. 이 학교가 소중한 기억을 남겨준 아이들을 만났던 곳이라는 것. 그게 첫 번째 이유였다.


둘째, 집과 학군이 멀다.

자취를 하고 있는 집이나 아파트 문 앞으로 가끔 학생들이 찾아온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인 친구들이 학교 주변에서 밥을 먹거나 퇴근을 할 때 길이 같은 방향인 이성인 동료와 걷는 것조차 불편하다고 한 적이 있다. 소문이나 가십거리에 교사가 종종 등장하게 되는 일이 생긴다나. 생활 반경과 학군이 같아지면 불편한 일이 많아진다고 들었다. 


그럼에도 나는 이 학교를 떠나기로 마음먹었다.

남아야 하는 이유보다 나가야 하는 이유가 더 많았다.  

내가 있는 지역에서는 한 학교에 5년 이상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지역 제한도 있어서 10년 만기가 되면 다른 지역으로 나가야 한다. 다른 지역으로 전보를 갈 때도 점수를 쌓아야 원하는 지역으로 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고생을 많이 해야 한다. 계산을 해보니 이 학교에 1년 더 있게 되면 4년 차가 되는데 그때 학교를 옮기면 애매해져서 5년을 꽉 채워야 하는 선택지를 골라야 한다. 미래를 생각하자니 나가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 


이유는 더 있다.

작년에 코로나가 나에게 온라인 학습 업무를 가져다주었다. 내가 맡는 건 어쩔 수 없다 쳐도 코로나로 업무가 아예 사라진 사람도 있고 몇 배가 된 사람도 있는데 그런 조율이 잘 안 되는 것 같아 보였다. 나의 정신건강을 위해 그리고 내가 뭔가 말을 할 수 있는 짬이 아니기에 받아들이고 뭐라고 못했지만 생각하긴 싫다. 올 겨울에 정말 추웠다. 근데 노후화된 건물로 인해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늘 몸이 얼어있었다. 손이 너무 시려서 마우스를 잡기도 힘들었다. 학교에서 핫팩을 나눠줄 정도이니.... 하루 종일 몸이 굳어있었다가 이사를 해서 멀어진 집으로 출퇴근을 하려니 몸과 마음이 다 지쳤다. 새로운 경험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마지막까지 날 뭉클하게 만들어준 학교

학교를 옮기기로 결정하고 내가 처음 담임을 맡았던 아이가 졸업식이라며 인사를 하러 우리 교실에 들렀다. 

내년에 학교에 놀러 오면 볼 수 있냐는 아이의 질문에 아쉽지만 난 없을 거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선생님 가지 마세요"라고 말하며 내 옷을 꽉 잡았다. 잊을 수가 없다.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다며 아이를 다독이고 보냈다. 

2년 전에 첫 제자들과 한 약속이 떠올랐다.
아이들이 스무 살이 되는 해에 다 같이 모여 치맥을 하기로 했다. 꼭 그랬으면 좋겠다.



제발 올 한 해도 무사하길!

새 학교에서도 좋은 기억을 많이 만들고 싶다. 3년이나 했는데 뭐 그리 자신 없냐고 물어볼 수도 있지만, 모든 학교에는 그 학교만의 방식이 있다. 학교 주변 가정의 환경과 학부모의 성향, 학생들의 태도 모두 학교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다. 물론 공통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적용하지만 학교 내부, 외부의 조건에 의해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같은 업무라도 학교마다 다른 매뉴얼을 가지고 있다. 전혀 다른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에서 의사소통 방식도 달라지기 때문에 학교를 옮기게 되면 교과서 내용 빼고는 다 달라진다고 보면 된다. 


수업 준비를 하고, 한 해를 어떻게 꾸려갈지 고민을 하다가 문득 글을 쓰게 되었다.

걱정 가득한 오늘 밤도 카네기의 자기 관리론을 읽으며 진정해보려고 한다.

어디선가 시작을 걱정하고 두려워할 당신도 파이팅!

매거진의 이전글 개학 연기로 초등학생이 집에 있을 때 뭘 하면 좋을까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