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세담 Aug 04. 2019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꿈꾸는 이유 (2)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꿈꾸는 이유 (1)' 편에서 계속...




밴쿠버에서 1년 생활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겠다는 결론이 내려졌지만, 그렇다고 아이들과 함께 해외에서 살아보기를 포기하고 싶진 않았다. 해외 생활이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내 기준으로 가족이 함께한다는 것을 전제한다면) 아이들에게 해외 생활은 플러스되는 면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한 나라에서 사는 한국사람들도 속을 들여다보면 한 명 한 명 각자 다른 생각과 가치관을 가진 다른 사람들이다. 하지만 외모부터 나와는 완전히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다 보면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서도 더 직접적으로 느끼고 배우게 된다. 뿐 아니라, 해외에서 생활하다 보면 오히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한국과 일상의 소중함도 다시금 느끼게 될 테니, 돌아와서도 감사한 마음으로 더 열심히 생활할 수 있어, 아이들에게도 여러모로 좋은 경험이 될 거라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과거 우리 조상님들은 누리지 못했지만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특권 중 하나가 태어난 곳에서 죽을 때까지 살 필요 없이 내가 살고 싶은 곳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 가능성을 몸소 체험해 보면 세상이 얼마나 넓은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1년이 안되면 한달살기는 어떨까?'


1년이라는 긴 기간이 아니라 평소에는 열심히 회사를 다니고 한 달 정도 만이라도 아이들과 해외에서 살아보는 것으로 마음을 바꾸어 보았다. 한 달이라는 시간이 그리 긴 시간은 아니지만 그래도 한 달 정도라면 우리 아이들이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기에 짧지 않은 시간이고, 여러 가지 현실을 고려했을 때 1년은 힘들겠지만 한 달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남편도 좋은 생각이라고 내 아이디어에 동의하면서 한달살기를 하는 것으로 마음을 정다!


문제는  맞벌이 부부인 우리에게는  그 한달살기 조차도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이다. 아이들 방학 기간에 시간을 낼 수 있는 남편의 일정을 먼저 확보했지만 정작 내가 휴직을 하지 않고 한 달이라는 시간을 내는 것이 너무 힘들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 한 달을 휴가 간 사람을 주변에서 본 적도 없었을뿐더러, 나 스스로도 한 달이라는 시간을 업무 공백을 가지는 것이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직장맘에게 해외에서 한달살기는 불가능한건가.'


'직장을 다니면서 한달살기는 해보고 싶다는 생각 자체가 꿈꾸지 말아야 할 지나친 사치인가?'


'왜 나는 일 년에 단 한 달 조차도 내가 계획한 대로 쓰지 못하나?'


'이렇게 내 인생의 작은 계획도 내 맘대로 세우지 못하고 얽매인 삶이라니 너무 우울하다.'


이런 의식의 흐름 속에 급기야 월급쟁직장 삶에 대한 불만으로까지 생각이 이어다. 이렇게까지 부정적인 쪽으로 의식의 흐름이 이어지자, 우울함에 우울함이 꼬리를 무는 이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좀 더 근본적인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게 되었다.


'나는 왜 이렇게까지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하고 싶은 걸까?'




직장인의 삶이 긴 휴가를 내는 것이 어려운 얽매인 삶이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나는 나름 매년 좋아하는 곳으로 휴가도 다녀오고, 무엇보다도 평소 좋아하는 회사에서 즐겁게 일하면서 잘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한달살기가 뭐라고 한달살기 하기가 힘들다는 사실에 이렇게까지 갑갑하고 우울한건지 그 이유를 찾아 내야만 했다.


그냥 남들이 다 가는 한달살기를 나는 못 가서 짜증이 난 건가?

해외에서 사는 것에 대한 나의 로망이 너무 큰 걸까?

이렇게라도 해서 아이들 영어 실력을 키워주고 싶어서 그런 걸까?


사실 나는 유행하거나 인기가 많은 것에 크게 흔들리거나 연연하지 않는 스타일이다. 솔직히 말하면 오히려 유행이나 시류에 별로 신경 쓰지 않고 그냥 마이웨이를 추구하는 형에 가깝지, 남들 하는 거 못한다고 비교하면서 슬퍼하거나 좌절하는 캐릭터가 전혀 아니다. 그러니, 단순히 남들이 하는 것을 못해서 화가 나는 것도 아니고, 한달살기를 못할 것 같아서 짜증이 나는 것도 아닌 것다.


그렇다고 해외에서 사는 것에 대해 무작정 환상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지금까지 출장과 여행으로 중남미와 아프리카를 제외한 전 대륙의 20여 개국 30여 개 도시를 다녀봤기 때문에 해외 경험은 충분히 해보았다. 결국 해외에 별로 가보지 못해 무조건 다른 나라에 살고 싶어서도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아이들 영어 때문에 해외를 못 가서? 그것도 아니다. 외국 파트너사 또는 우리 회사 해외 법인 인력들과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시대에 영어를 잘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역량이 는 지 매일 느끼며 살고 있는 나지만, 단순히 해외에서 산다는 것만으로 영어 실력이 좋아질 거라는 기대가 얼마나 무모하고 무지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해외에서의 경험이 아이들에게 좋은 자극이 되고 견문을 넓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거란 것에는 의심이 없지만 그렇다고 한달살기 만으로 영어 실력이 드라마틱하게 좋아지길 바라는 것은 부모의 지나친 욕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나는!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꼭 하고 싶은 걸까?


결국은 모든 것은 내 안에 답이 있는 것을 알기에 다시 한번 차분히 나의 마음을 들여다보았다. 그리고 스스로 내린 결론은 '한달살기' 자체가 아닌 '한달살기로 표현되는 내가 원하는 것을 내가 계획하고 노력해도 할 수 없다는 이 상황 자체에 화가 난다.'는 것이다.


꼭 한달살기가 아니어도 괜찮다. 하지만 지금의 나에게 '해외에서 한달살기'는 '단순히 한 달을 해외에서 살아본다 아니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내가 일 년에 한 달이라는 시간 정도는 내가 원하는 대로 내가 계획하는 대로 살 수 있을 만큼 내 삶에 대한 주체성을 갖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하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로 다가왔기 때문에 한달살기를 시도조차 하게 힘든 현실에 상심하고 슬펐던 것이다.


그 이유를 인지하고 나니, '현실을 고려하면 힘들겠다'라는 포기해 버리는 일 따위는 더더욱 하기 싫어졌다. '해외에서 한달살기'가 뭐 그리 대단한 일이냐고, 원래 살면서 원하는 것을 다 하고 살 수 없다고, 그게 인생이라고, 너만 그런 거 아니라고 스스로를 위안하며 그냥 포기해버리고 싶지 않다.


원하는 걸 다 하며 살 수는 없더라도 그래도 나는 하고 싶은 것은 (그것이 가족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면) 최대한 하면서 살고 싶다. 그러려면 모든 변수와 상황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나만의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해외에서 반달살기 프로젝트'이다!



'해외에서 반달살기 프로젝트' 편에서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해외에서 한달살기를 꿈꾸는 이유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