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뷰리 Jul 22. 2020

간단하게 김밥 도시락

만들기에는 번거로운 김밥 도시락

"이번 주는 간단하게 먹고 싶은데"


고기가 너무 많은 도시락 탓이었을까, 소화도 잘 안 되는 것 같고 오후에 잠이 쏟아졌다. 점심을 간단하게 먹고 싶었다. 엄마도 준비하기 편한 간단한 도시락을 요청드렸다.


간단하게 먹고 싶을 땐 김밥이지


"비주얼 대박, 사진 찍어도 돼요?"


엄마는 어릴 적부터 나를 위해 김밥을 자주 만들었다. 학창 시절 내내 회장이었던 나 때문에 매 학년 담임선생님들의 도시락을 손수 만드셨는데, 주로 김밥을 많이 만드셨다. 담임선생님은 한분이신데 거의 5층 도시락을 가져갔던 기억이 있는데, 동료 선생님들과 나눠먹으라는 의미였던 것 같다. 어렴풋하게 담임선생님의 표정이 기억에 남는다. (동공 확장된.. 표정?)


소풍 가는 날이나 도시락을 싸주는 날이면 내 도시락도 거의 3인분을 싸주셨다. 어릴 때에는 부모님이 맞벌이하는 친구들 생각해서 같이 나눠먹으라는 의미였다. 하지만 회사 점심 도시락은 다르다. 다들 싸오거나 아니면 나가서 사 먹기 때문에 넉넉히 싸줄 필요가 없다. 하지만 엄마는 김밥을 싸주는 날이면 어김없이 넉넉하게 싸주었다.


"주변에 도시락 먹는 사람들이랑 같이 나눠먹어"



김밥을 싸 본 사람은 안다. 김밥은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라는 것을.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김밥을 준비해본 적이 없는 나는 '먹기 간단'하기 때문에 바로 이거라고 생각했다. 그 이후로 한동안 다양한 김밥을 점심 도시락으로 만날 수 있었다. 김밥 도시락이 엄마를 더 귀찮게 했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았다.


엄마, 그냥 있는 반찬 담아서 주세요

쓴 것만 알아
쓴 줄 모르는 어머니

단 것만 익혀
단 줄 모르는 자식
- 어머니 1(김초혜 시집, 어머니中)




매거진의 이전글 자식이기는 부모 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