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니크 Jun 02. 2024

적응에 대하여

소통과 성찰 사이

적응, 누가 누가 잘하나?

가족 중 이 생활에 가장 빨리 적응한 사람은 모두 예상대로 ‘딸’이다. 아이는 같은 반 단짝 친구와 주말 Playdate를 원하고, 방과 후 우리 집 초인종이 울리면 옆 동 사는 쌍둥이 언니들과 놀러 나간다. 아이는 원래도 흰 피부는 아니었지만 더 새까맣게 탔고, 이두근과 삼두근을 자랑하며, 매달리기와 철봉에 여념 없다.

틈만 나면 하는 매달리기 연습

누군가 만 5세~6세 아이의 해외이주 준비에 대해 묻는다면, 난 코치의 관점을 잠시 내려놓고 ‘완벽하진 않아도 영어 혹은 그 나라 언어로 소통할 수 있도록 준비하면 좋겠어요.’라고 말하고 싶다.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경험으로 비춰봤을 때 이 시기 아이들은 소통할 수 있는 또래와 친구가 된다. 한 반 안에서도 독일어 쓰는 그룹과 영어 쓰는 그룹이 나눠지는데, 아이들과 친해지기 위해서는 둘 중 하나는 할 줄 알아야 그룹으로 놀 수 있는 상황이다.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학교 안에서 딸아이 단 한 명뿐이니, 독일어 혹은 영어를 해야 아이들과 힘겨루기를 하던 싸우던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매일 힘자랑하는 아이들

물론 아이들은 적응이 빠르기에 한국어만 해도 그 환경에 들어가면 다 배우게 되어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정한다. 하지만 그 상호작용이 될 때까지 아이는 수많은 시행착오와 부정적 감정을 혼자 온몸으로 겪을 가능성이 높다. 그 나라언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 와중에 영어라도 완벽하진 않지만 할 줄 안다면 집단 안에 높은 확률로 영어를 쓰는 친구들은 있기에 쿠션 역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막상 본인 적응은 보잘것없는 이의 의견이니 참고만 하면 좋을 듯합니다.)




그렇다면 나의 적응은 어떠한가?

민망하지만 직접 하는(in-person)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어느 정도 융화되었는지 생각해 본다면...) 아직도 갈길이 멀다. 가족 외 타인과 소통이라고는 옆 집에 세 살, 한 살 배기를 둔 엄마와의 안부인사, 학교 선생님들과의 근황 묻기, 몇몇 학부형들과의 아이들 이야기, 마트 계산원분들과의 사무적 대화가 전부다.


한 가지가 더 있다면 남편 회사 상사, 동료들과의 만남인데 회사직원들이 곧 같은 학교 학부형인 경우가 있어 학교 행사마다 만나게 된다. 스페인, 이태리, 헝가리, 튀르키예, 영국 등 온갖 악센트가 뒤섞긴 스몰토크를 듣고 있자면 얼굴은 여유롭게 웃고 있지만 이야기 흐름을 놓치거나 질문을 못 알아들을까 봐 초집중하느라 등에서 식은땀 줄기가 흐른다. 

부모 초청 전시회에서 작품 설명하는 아이

사람들과 만나 친목도모를 즐겨하는 성격도 아니어서 굳이 문화센터를 다니거나, 사람들과 친해지기 위해 애쓰고 있지 않다. 그 대신 주어진 시간에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성찰하는 것에 충만까지는 아니더라도 감사함을 느낀다.

비 온 뒤 수줍게 고개를 내민 무지개

그 와중에 우리 집 '주부 역할(Job role)'은 굉장히 경쟁이 치열한데 공석이 되는 순간 남편은 회사근무를 50%로 변경하고 바로 자리를 꿰차겠다는 야심을 품고 있다. 그래서 소소하게나마 책을 읽고, 미드 보고, 글을 쓰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매우 소중하다.(언제 뺏길지 모르므로...)    

작가의 이전글 부모님과 함께한 짧은 가족여행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