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승오 Nov 24. 2021

특강_대학원[거꾸로 수업_ 유승오 박사학위 논문]

- 교사의 거꾸로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2019년 박사학위 논문(PDF) 원문_ Free download >>

애래 내용은 석/박사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를 위한 <대학원 수업자료>입니다.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은 어떤 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거꾸로 수업을 통한 변화 경험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거꾸로 수업 변화들은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거꾸로 수업의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연구전에 고민 했던 점 - 주제와 범위 선정 ??

* 거꾸로 수업에 관심 - 교사 지원, 교사들과 래포 형성, 인력 풀

* 거구로 수업이 새로운 대안인가? 를 확인하기 위해

 - 교사 동아리 조직 / 다양한 활동 전개

 - 수업데 대한 트랜드 공부, 전문서적(배움의 공동체, 학생중심 수업, 디베이트, 하브루타, 프로젝트 수업 등)

 - 다양한 교수 학습 모형 연구

 - 거꾸로 수업 선행 연구 논문 분석

* 연구방법 고민 /  양적연구 vs 질적연구

* 질적연구 공부 - 질적논문, 김병찬 교수 강의, 질적연구 서적 탐독(질적연구 방법론_박휴용, 질적연구를 활용한 학위논문 작성법_Margaret Zeegers 외)

* 지도교수와 상담 - 혼자 쓰면 산으로 간다. 반드시, 지도교수와 상담을 통해 제 항로를 가길......!!


* 어떤 방향으로 연구할 것인가?   처음엔 _ 수업 vs 성적, 교실문화, 교우관계 등

* 지도교수님과 상담후 방향 설정


* 거꾸로 수업과정과 변화 경험__________________

 - 거꾸로 수업과정 경험(전, 중, 후)

 - 거꾸로 수업을 통한 변화 경험(수업분위기, 학생간, 학생교사간, 전통수업과 비교, 교사의 변화, 수업변화 경험 종합)

* 거꾸로 수업의 의미_________________________

 - 교사 경험의 의미(학생과 소통하는 수업, 흥미, 스스로 배움, 잔소리, 학생이 만들어 가는 수업, 입시에 필요한 수업, 실험탐구에 적합한 수업)

 - 수업의 의미(학생측면, 교사측면, 수업지원 측면, 수업의미 종합)







2. 연구 문제

  첫째, 거꾸로 수업과정에서 교사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거꾸로 수업을 통한 변화 경험은 무엇인가?

  셋째, 거꾸로 수업의 의미는 무엇인가?


3. 이론적 배경

  가. 거꾸로 수업의 이해(개념, 특성, 수업의 구조)

  나.  교실 수업의 변화

  다. 선행연구(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선행연구의 특성)


4. 연구 방법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 교사들의 수업 진행과정을 알아보고 수업변화에 미치는 요인들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업변화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거꾸로 수업변화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거꾸로 수업교사들이 수업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수업변화에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수업변화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거꾸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장에서는 질적 사례연구와 이 연구 주제와 관련성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는 어떤 교사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자료는 어떻게 수집하고 어떤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는지 설명하였다. 그리고 질적 사례연구에서 연구의 진실성과 질적 타당성은 어떻게 제고하였는지 알아보았다.      


  가. 질적 사례연구

 * 어떤 수업 과정으로 수업하는지?

 * 수업 경험을 통해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 최종 목적은 공교육의 수업 대안으로 거꾸로 수업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 어떤 형식으로 동영상을 만들어서 수업 전에 제시하는지?

 * 본시 수업에서 어떤 교수 모형을 사용하여 학생중심의 모둠활동 수업을 전개해 나가는지?

 * 참여자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 - 일반적인 경향성과 확률의 논리에 근거한 실증주의 인식론에 바탕

질적 사례연구 - 연구 참여자의 관점과 응답자의 주관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현상학적 인식론에 근거



* 사례연구 : 질적 연구는 단 한 가지 연구방법론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연구방법론들을 연구주제나 현장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고, 그 자료수집이나 자료분석의 방법에 있어서도 융통성을 기본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질적 연구에서 현지관찰, 집단면접, 혹은 포커스그룹 면접, 심층분석, 그리고 사례연구를 동시에 활용할 수도 있다(Baxter & jack, 2008).  

[그림 출처 : 질적연구 방법론(박휴용)]


나.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participants)를 선정하는 표집은 연구 주제에 가장 적합한 대상자를 찾는 것이다(박휴용, 2014). 표집에는 분명한 의도가 있어야 하므로 무선 표집 보다는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하고 연구현장의 사례를 잘 대표 할 수 있는 3년 이상 거꾸로 수업을 진행하는 9명의 교사를 심층면담자로 선정하였다. 이 교사들은 현재 전라북도교육청의 ‘거꾸로 수업’ 지원 사업비를 받고 참여하는 교사들이다.

  또한 온라인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반구조화 된 온라인 질문지’를 만들어 배포하였다. 온라인 연구 참여자도 전라북도교육청 ‘거꾸로 수업’ 지원 사업에 2년 이상 참여하고 있는 교사 240명에게 질문지를 보내서 성실하게 답변해온 42명을 선정하여 연구자로 활용하였다.


다. 자료 수집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약 6개월이었다. 이 기간 중 10월과 1월은 예비 면담 기간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구조화 되지 않은 질문지를 활용하여 진행했으며, 기초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었다. 1월부터 3월까지는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9명을 상대로 1:1 심층면담, 온라인 질문면담, 전화면담, 참여관찰,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는 수집과 동시에 연구문제와 관련된 범주별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충분한 면담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들을 직접 찾아가 개별 심층면담을 주로 실시하였다. 개별 면담 때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양해를 구하고, 녹음을 한 후 다시 전사하는 형태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더 풍부한 면담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 면담지를 만들어 컴퓨터와 스마트 플랫폼에서 면담자료를 수집하였고, 일부 자료가 부족한 연구 참여자에게는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많은 사례를 수집하려고 했다. 또, 자료 수집 기간에는 다양한 현지자료(수업자료, 동영상 등)를 수집하여 교사들의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변화되는지 파악했다.


 * 심층면담 실시 전에 연구문제에 맞는 자료를 얻기위해 반구조화된 사전 온라인 면담지를 개발하여 진행했다.

 * 240명 - 온라인 면담지 > 60명 응답 > 수업방법, 수업 후 반응을 이해 > 심층 면담지 구상

 * 심층면담 - 윤리적 문제(수업방해, 개인침해 등)를 고려하여 면담 진행, 2~4회 1시간~2시간 30분    

   - 키워드 노트 메모

   - 연구문제와 관련된 부분 중심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으로 면담 실시 - 답변의 확장성 확보^^

   - 연구자는 사전에 연구문제와 관련된 질문을 머릿속에 생각하고 있었으나,

   - 면담시에는 참여자의 폭넓고 창의적인 답변을 얻기 위해 비구조화된 질문으로 면담을 진행함

   - 참여자의 허락을 받아 녹음 > 그날 바로 전사 > 키워드 내용과 전사한 내용 비교 분석

   * 면담을 통해 참여자의 생각과 관점, 주관성, 감성 등을 이해

   * 참여자의 수업변화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수업동영상, 지도안, 수업 포트폴리오 등에서 풍부한 입체적 면담 자료를 확보


라. 자료 분석

  자료의 분석은 ‘현상의 구조를 파악하는 작업’이다(조용환, 1999). 질적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들에서 일련의 질서와 체계를 발견하고, 그곳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이용숙․김영천, 2005; Marshall & Rossman, 1989). 수집된 자료를 어떤 시각으로 분석하는지에 따라 현상의 의미는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IPA)연구 참여자의 경험으로부터 그들의 목소리를 끌어내어 이해하는 현상학적 접근과 심리적 본질을 토대로 경험을 맥락화(contextualize)하고 의미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Larkin & Watts & Clifton, 2006).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를 해석적․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그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해하고 주제를 발달시키고 사례간의 패턴을 찾아가면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IPA: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 ‘자료 읽고 또 읽기 → 탐색적 기록하기 → 드러난 주제 발달시키기 → 주제 간의 연결 찾아내기 → 다음 사례로 옮겨가기 → 사례 간 패턴 찾기’로 진행하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연구의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들 중에서 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소주제를 먼저 뽑아내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 대주제 영역으로 단계적으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초기에는 면담자료를 반복하여 읽고 의미 있는 소주제들에 표시를 하고 다시 읽어가면서 보다 함축된 영역의 틀을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잘 입증 할 수 있는 대주제를 도출했다. 즉, 자료들을 범주별로 자료를 배열하고 연구문제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수집된 자료들을 각 영역별로 효과적으로 드러나게 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과 직관적 판단을 반영하는 반영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박휴용, 2014). 또한 패턴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심층면담 내용과 연구문제에 대한 명제가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참고한 분석방법은 [그림 10]과 같다.



이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사례연구 분석방법과 IPA분석과정을 적용하였다.

 * 처음에는 온라인 질문지에 반응한 면담내용심층면담자료전사자료를 꼼꼼히 읽고(교사들의 수업경험 을 전체적으로 이해)

 *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에 밑줄을 긋고 연구자의 직관과 반영적 해석을 통해 기록하였다.

 * 전사자료와 분석자료를 통합하여 중요 주제를 발달시키고 생성

 * 이렇게 생성된 유사성이 있는 상위 주제어를 찾아 범주화 하였다.

 * 이렇게 계속해서 다른 참여자들도 같은 방법으로 분석

 * 모든 참여자의 상위 주제를 도출 한 후 사례간의 연결고리를 찾아 동일한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

 *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IPA(해석적 현상학적 분석) 분석과정의 흐름에 따라 순환적이고 반복적으로 진행

 *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서 자료를 해석함으로써 오류를 줄였다.

 * 참여자들의 범주화된 주요 주제어들과 연구문제와 연결시켜, "거꾸로 수업교사들의 수업변화"를 분석하였다.

* 다음 그림은 분석과정을 도식화 한 것이다.




마. 연구의 질적 타당성

  질적 연구 결과분석의 연구 윤리는 정확성, 공정성, 신뢰성, 그리고 데이터 축적문제 차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정확성은 자료를 신중하게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한 방식을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거나 암묵적으로 비교하기 보다는 분명한 비교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양적 연구에서는 통계적 원리에 따라 타당도와 신뢰도를 판가름 할 수 있지만, 질적 연구에서는 신뢰도는 크게 중요시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가 취할 수 있는 과학적 신뢰도의 기준은 체계적인 방법으로 장기간동안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얻어진 자료가 비교점검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박휴용, 2014).



 * 신뢰도 : 평가 도구가 얼마나 오차가 적은가의 정도(측정의 정확성, 무엇을 측정하느냐 보다는 어떻게 측정하느냐의 문제) _ HOW(질적연구에서는 덜 중요)

 * 타당도 : 평가도구가 측정하려는 것을 어느정도 측정하고 있는냐의 정도(배운것을 시험보았는가?)_ What


 최근 구성주의자들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의 주장을 반증하는 증거가 있는지 탐색하기, 충분한 기간 동안 연구를 수행하기, 풍부하고 심층적인 묘사하기를 통해 연구의 타당도를 검증한다. 또,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사실적으로 반영했다고 생각될 때 연구자의 주장에 대해 공감하고 신뢰를 한다(Creswell, 2010).



 * 연구자는 오랜 기간 동안 거꾸로 수업 교사들의 공개 수업에 참여함

 * 그 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연구문제를 오랫동안 깊게 고민

 * 풍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교육청에서 예산지원을 받아 수업연구를 하는 교사 240명_온라인 면담 

 * 이 중 성실하게 답변한 60명의 면담자료를 분석 > 연구문제를 결정 

 * 9명의 심층면담자 - 면대면 심층면담, 온라인 면담, 지도안, 수업동영상 등을 반영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질적 연구의 신뢰성 준거를 사용하고 있는데, 타당도 용어 대신 진실성(trust worthines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김영천․김진희, 2006).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동료 간 협의(peer debriefing)와 삼각 검증법(triangulation)을 거쳐 연구의 절차적, 방법적, 해석적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동료 간 협의는 같은 학문을 전공한 동료가 자료분석 및 해석 내용을 조언하거나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김영천, 1997a). 이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과 자료 해석의 왜곡을 경계하는 과정으로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교수 1명, 교육행정 박사학위를 졸업한 2명의 도움을 받아 연구방법, 분석과정, 자료 해석의 적절성을 협의하였다.

  삼각 검증법은 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해 연구자료,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 이론 등에 있어서 세 가지 이상의 자료를 상호 교차적으로 비교하는 검증방식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심층면담, 동영상 수업자료, 학습지도안, 현지 자료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고, 수집된 자료를 IPA 자료 분석방법과 심층면담 방법 등의 활용을 병행하였다.     


 * 연구의 타당도(진실성)를 높이기 위해 - 동료간 협의와 삼각 검증법 > 오류 최소화

 * 진실성 확보 -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과 자료 해석의 왜곡을 경계하는 과정

 * 동료 간 협의- 교수1명, 교육행정 박사 2명의 도움을 받아 연구방법, 분석과정, 자료 해석의 적절성을 협의 // 맥락적 이해와 연구문제와 자료분석의 이해 협의

 * 삼각 검증 - 면담 분석 자료, 연구방법, 연구참여자, 거꾸로 수업 이론 등의 자료를 교차적으로 비교 검증

 * 신뢰도 - 온라인 면담자료, 심층면담, 동영상 수업자료, 학습지도안, 현지 포트폴리오 자료 등을 확보하고, IPA와 심층면담 등의 활용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 타당도 - 3년이상 거꾸로 수업을 진행한 교사, 교육청 예산지원 받은 거꾸로 수업 연구 교사



5. 결론

* 수업에 즐겁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전중후 활동_완전학습 효과_사려깊은 수업설계 우선되어야)

* 수업문화의 변화로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 효과(분위기, 질문이 살아남, 무기력에서 활력, 자기주도적 학습, 학생간 우호적, 협업, 멘토링 학습효과, 토론수업 토론능력 향상, 학생 vs 교사 - 잔소리 사라짐, 래포형성

* 학습 주도권을 학생에게 이양_질문이 있는 수업, 교사 효능감

 - 수업의 의미 - 학생측면(질문, 재미, 멘토링, 자기주도적)

                  교사측면(잔소리 없어짐, 수평적 관계, 즐겁게 수업에 참여 보람, 연구를 더 함)

                  수업문화 측면(가르침에서 배움이 일어나는 문화, 질문이 있고 교우관계 좋아짐,  성적 향상)

                  수업지원 측면(교사 전문성 신장되도록 지원해야, 무선통신 등 인프라 구축과 행재정 지원, 개방적 학교문화 조성 필요, 우수수업 개발 및 일반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제언

* 각 교과별로 연구할 필요하다.

* 거꾸로 수업 특성상, 참여관찰도 필요하다.

* 학생에 대한 사례연구도 필요하다. 교사만을 상대로 연구함






작가의 이전글 제4강 매력적인 서론 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