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존 May 02. 2024

이제야 좀 영화같네. <범죄도시4>

허술한 전반부, 생동감 있는 후반부

 <범죄도시4>의 초반부는 영 좋지 못하다. 카메라워크가 평면적이고, 장면은 연결이 부드럽지 못하다. 대사와 감정처리 모두 별로다. 영화 초반, 주요 피해자 조성재의 어머니가 등장하는데 아들을 잃은 사람의 황망함이란 어디서도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 저렇게 연기를 대충하지? 감독이 디렉팅을 하긴 하나? 하면서, 넷플릭스 독점작 <황야>에서 썩 나쁜 평을 받은 허명행 감독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아니 그것 치곤 지금 입소문은 나쁘지 않은데? 하는 의문이 교차한다.


 그러한 불안함과 의구심은 조금 오래 간다. 몇가지 개그를 시도하는데 타율이 좋지 못하다. 시도는 많았지만 하나도 안웃기다. 편집도, 대사처리도, 감정처리도, 그리고 개그까지도. 결정적으로 빌런들이 벌이는 악행을 관객들에게 더욱 가공한 것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리즈 전통적으로 묘사를 생략하고 빠른 사건전개를 보이는 방식을 택했는데, 문제는 3, 4편의 경우 여러 세력이 연합한 지능범죄다. 3편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산만한 구성이 이번에도 특히 초반부에 반복된다.


 이렇게 초보 감독 티가 퍽 나는 장면들을 어렵사리 보아넘기면, 드디어, 이제 감초가 아니라 준주연 수준으로 비중이 격상한 장이수가 등장한다. 그리고, 장이수의 등장과 함께 <범죄도시4>는 이제야 좀 영화같다는 인상을 풍긴다. 모든 개그 장면들이 빵빵 터지고 인물들의 케미는 더욱 빛이 나며, 어색한 편집으로 아직도 갈무리가 되지 않은 초반부의 여러 단서들이 그를 통해 하나로 연결된다. 어쩌면, 장이수로 인하여 <범죄도시4>는 영화로서, 작품 내적 외적으로 성립하고 있다고 할만하다. 후반부엔 그냥 장이수를 위해 연출한 어거지 장면까지 존재한다.


 그런 점에서 장이수는 범죄도시라는 프랜차이즈의 변화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까지도 예측해볼 수 있는 캐릭터다. 2편은 빌런의 난폭함과 교활함을 더욱 강화했고, 전편의 인물과 구도를 일부 답습했다. 장이수의 캐릭터는 그 속에서 더욱 빛이 났다. 3편은 프랜차이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국제 마피아가 낀 마약과 지능범죄로 판을 키웠지만, 커진 판을 매끄럽게 연출하지 못했고 전편들에 비해 이질감은 컸다. 이때 장이수는 등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4편에 이르러, 판은 “적당히”만 커졌고 장이수의 캐릭터는 더욱 비중이 커졌다. 이를 요약하면, 범죄양상을 다각화하여 시리즈의 수명을 늘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산만함은, 장이수와 마동석 등의 상징적 캐릭터로 조이는 것이 기본적인 방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유머로서는 상황의 아이러니를 활용한 3편의 회전침대와 같은 씬이 더 낫다. 4편의 유머는 과하게 장이수의 캐릭터에 의존한다. 여기에는 저학력자들과 재중동포 출신자들에 대한 혐오코드까지 스며나온다. 어수룩한 사람은 속아도 되는 것인가? 게다가 공무원이 초면인 참고인에게, 왜 반말? 


 그렇다고 장이수에만 의지해 프랜차이즈의 미래를 보여주진 않는다. 4편에서는 “수사팀”이 시리즈 사상 가장 잘 연출된다. 경찰청 프로파간다 영화라 느껴질만큼 긍정적인 면, 시스템적 면모가 부각된다. 이 점은 소위 말하는 “장르가 마동석”인 영화라서 오히려 형사물로서의 장점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는데, 사실 비장의 무기처럼 아끼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 이후 속편들에서 수사기법의 변주 역시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다.


 반면에 또, 빌런들은 썩 좋지 못하다. 이것은 감독과 각본의 역량이 현저히 미달한 지점이다. 김무열의 백창기가 조금 색다른 모습을 보여준 정도지, 이동휘의 장동철은 솔직히 시리즈 메인/서브 빌런 통틀어 최악이다. 장동철 분량의 세트장과 소품들, 차량 렌트비가 아까울 지경. 최첨단지능범죄자 캐릭터를 채택하고, 게다가 이동휘처럼 뭐든 다 가능한 배우를 앉혀놓고 이건 대체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 이동휘로 만들어낼 수 있는 상황과 연출, 유머가 수십가지 되었을 텐데. 


 정리하자면, 범죄도시4는 모두가 입을 모아 말하듯 3편보다는 낫고 2편과는 우열을 좀 가리기 어려운 면이 있다. 어떤 사람은 2편보다 낫다고, 어떤 사람은 2편이 낫다고 하는데, 그것은 2편이 강해상의 말초적인 캐릭터에 강하게 의존하는 영화인 탓이 크다. 오락영화로서는 다양한 장면을 제공하는 4편이 전체적으로 질이 높다고 평가될 수 있다. 차기작에선 조금 더 세련되게 각본을 다듬고, 감독은 2,3편의 이상용이 되돌아오는듯한데 연출에 신경을 써주길. 개인적으로 3편을 나쁘지 않다고 보기에 5편도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그 쇠말뚝은 살아있다, 오늘도. <파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