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 영상이 페북을 달구고 있다.그러나방대한 자료를 처리하여 얻었다는 블랙홀을 보면 좀 싱겁다. 불꽃처럼 구체적인 형상을 기대하지는않았지만그냥 동그란 원이라니. 추상화화가라면 환영할지 모르겠다.
실망한대중을위해 변명이라도 하여보자. 우리는 이 영상을 얻기 전에도 블랙홀의 상상도를 수없이 보아왔으니 비슷한 영상에 놀라지 않는다.
해명이궁색하다고?엄청난 측정자료로부터가장 단순한 원만 나왔으니 놀랍지 않은가?자료에일관성이있다는말이다.이것도부족하다면좀더현학적으로설명해야겠군요.
선배철학자의 의식 세계를 보면 우리는 세상을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의 오감으로 본다고 생각한다. 오감이 자연 세계를 보여주지만 간혹착각도 불려 일으킨다. 참새는 유리창에 부딪쳐 죽고 물속의 막대기는 꺾어져 보인다. 그래서 철학자는 사람은 이상세계인 이데아를 볼 수 없다고 한다. 칸트 이후에도 이런 생각을지닌철학자들이 많다.
대중들도철학자의생각에동조하는편으로보인다. 그러나과학자는 오감에만의존하지 않는다.오감을 넘어 세상을 바라본다. 나는 석사를 마치고 LG화학에서 8년 동안 물질 분석을 했다. 세상의 모든 물질을 규명할 수 있다고 뻥을 치고 다녔다.구축한분석장비들은 오감너머를본다. 이 분석장비탓에우리는자연의 원리를 알 수 있다.
내가 다룬 분석장비는 분자와 같은 미시세계로 향해 있었다. 블랙홀과 같이 거시 세계로 향하는 분석장비는 없었다. 이번 블랙홀 관측에는 전파망원경이 동원되었다. 단백질 구조 분석에 사용되는 X-ray 간섭 장비와유사하다고짐작하여인터넷을검색하여 보았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명은 드물었다.학회에투고할의도가없으므로전파망원경에대한 논문을 찾지는않았다.
전파만원경의 해상도는 수신기의 반경에 비례하는데 망원경을 여러 위치에 설치하면 지구크기만한 수신기를 얻을 수 있음
별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이 λ이고 수신기의 반경이 D이면 전파 망원경의 분해능은 λ/D에비례한다. 즉수신기 반경이 클수록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만일 전파망원경을 지구 곳곳에 설치하면 지구의 반경만큼 큰 전파망원경을 얻을 수가 있다. 이번 블랙홀 관측에는 남반구의 여러전파망원경을 연결하여사용했다.
각각의 전파망원경에서 얻어진 영상을 단순히 겹친다고 블랙홀 영상이 얻어지는 않는다. 빛의 간섭을 활용하므로동시간대에측정한신호들에복잡한 수학적 처리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