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몸의 해석 Oct 13. 2023

사각근(Scalene)

사각근의 과학

사각근(Scalene)

사각근은 호흡기능과 상체 신경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주는 근육이며, 흉곽출구증후군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흉곽출구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사각근이 비대해져 있으며, 비대해진 사각근은 신경을 압박하여 각종 증상들을 유발하게 된다.


게다가 사각근은 늑골에 부착된 근육으로, 호흡기능 또한 보조하기 때문에, 호흡기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이 근육이 비대해지는 경우가 많다.  


지금부터 사각근의 어원, 기능, 해부학, 통증 메커니즘까지 전부 알아보도록 한다.


사각근의 어원

사각근(Scalene Muscle)은 "부등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Skalenos', "비대칭"을 의미하는 라틴어 'Skolios'에서 기원한 단어로, 각 변의 길이가 각각 다른 부등변삼각형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Scalene라고 불린다.
 

근육 유형

목뼈 가장 깊숙히 위치한 심부 근육이며, 대부분 지구성 근육인 type 1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 유지 근육)


기능 단위

사각근은 총 2개의 관절 움직임에 관여한다.
 
- 갈비뼈 움직임
- 목뼈 움직임

사각근은 목뼈와 갈비뼈에 부착된 근육으로, 갈비뼈를 들어올려 호흡 기능을 보조하거나 목뼈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목뼈를 앞뒤로 잡아당겨 안정성을 만들어낸다.


사각근 해부학

전문가는 각 근육들이 어떤 뼈에 어떻게 부착해서, 어떤 움직임을 만들어내는지 입체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해부학자(Anatomist)들이 이야기하는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개념으로는 근육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이 관점은 모두 열린사슬운동(open chain exercise)의 관점에서만 통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실제 인체의 움직임은 실로 자유로우며, 몸통이 고정된 채로 팔이 움직이기도 하고, 팔이 고정된 채로 몸이 움직이기도 한다.(물구나무서기, Closed chain)

해부학자가 아니라, 운동 전문가라면 기시와 정지에 대한 개념을 내려놓고, 보다 자유롭게 사고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근육은 기시와 정지가 아닌, 영역과 기능을 기준으로 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으로 나눠서 위쪽 부착부위와 아래쪽 부착부위로 분류한다.


전사각근

전사각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목뼈에, 아래쪽 부착부위는 갈비뼈에 위치한다.


 
위쪽 부착부위
- Anterior tubercles of the transverse processes of C3-C6 (경추 3번~6번 횡돌기의 전면부위)
 
아래쪽 부착부위
- Anterior scalene tubercle of the first rib (1번 갈비뼈의 사각근 결절부위 앞쪽)
 
신경지배
- C5-C6 (경추 5번 6번 신경)


중사각근

중사각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목뼈에, 아래쪽 부착부위는 갈비뼈에 위치한다.
 


위쪽 부착부위
- Posterior tubercles of the transverse processes of C2-C7 (경추 3번~6번 횡돌기의 후면부위)
 
아래쪽 부착부위
- Posterior scalene tubercle of the first rib (1번 갈비뼈의 사각근 결절부위 뒤쪽)
 
신경지배
- C3-C8 (경추 3번 8번 신경)


후사각근

후사각근의 위쪽 부착부위는 목뼈에, 아래쪽 부착부위는 갈비뼈에 위치한다.
 
위쪽 부착부위
- Posterior tubercles of the transverse processes of C5-C7 (경추 5번~7번 횡돌기의 후면부위)
 
아래쪽 부착부위
- Second rib (2번 갈비뼈)
 
신경지배
- C6-C8 (경추 6번 8번 신경)
 

사각근의 기능 및 기능장애

사각근은 목뼈와 갈비뼈에 부착된 근육으로, 갈비뼈를 들어올려 호흡 기능을 보조하거나 목뼈 가장 가까운 곳에서 목뼈를 앞뒤로 잡아당겨 안정성을 만들어낸다.
 
- 호흡 보조
- 목뼈 안정성
 

사각근의 호흡 보조

사각근은 목뼈에서 시작해서 1,2번 갈비뼈까지 이어져 있어, 수축했을 때 갈비뼈를 들어 올리며, 흡기를 보조하게 된다.
 
호흡근육은 흡기(Inspiratory)근육과 호기(Expiratory)근육으로 나뉘는데, 흡기 근육은 갈비뼈를 위로 들어올려 산소를 들이마쉬게 하며, 호기 근육은 갈비뼈를 아래로 잡아당겨 산소를 내쉬게 한다.
 
일반적으로 주요 흡기 근육인 횡격막(Diaphragm)의 기능이 약해지거나, 호기 근육들이 긴장되어 있는 경우,  나머지 흡기 근육들이 보상적으로 수축하게 되면서 점점 비대해지게 된다.
 

(2019 Welch)


<흡기 근육>
- 사각근(Scalene)
- 횡격막(Diaphragm)
-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toids)
- 외늑간근 (External intercostals)
- 소흉근 (Pec minor)
 
<호기 근육>
- 내익상근 (Internal intercostals)
- 복근 (Abdominal Muscles)
 

사각근과 목뼈 움직임

목뼈 근육은 작은 움직임을 주로 조절하는 Local 근육과, 큰 근육을 주로 조절하는 Global 근육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Local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Global 근육이 보상적으로 긴장하게 된다.  
 
사각근은 이 중, 목뼈의 작은 움직임을 조절하는 Local 근육에 해당된다.
 
목 뼈 회전, 신전, 측굴 근육군

<Global muscle>
이 근육군들은 모두 목을 회전, 신전, 측굴 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흉쇄유돌근 (SCM)
- 두판상근,경판상근 (Splenius capitis and cervicis)
- 두반극근, 경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and cervicis)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Local muscle>
이 근육군들은 모두 목을 회전, 신전, 측굴 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 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 경추부 다열근 (Cervicis Multifidus)
- 사각근 (Scalene anterior)
 

사각근 통증

사각근의 긴장은 다양한 영역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몇몇 신경들은 사각근을 관통하여 주행하기 때문에, 사각근이 긴장되면 사각근을 통과하는 신경들 또한, 강하게 압박되면서 각종 증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실제로 이런 현상을 아예 ST증후군(Scalene Triangle Syndrome)이라고 부르며, 사각근이 긴장되었을 때 압박되는 신경들이 각종 통증 및 증상을 유발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2021, Koh)

이 때 신경 압박 증상은 견갑배신경(Dorsal scapular nerve), 견갑상신경(Sup

rascapular nerve),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의 압박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해부학적 구조상 위 신경들이 압박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2009 Cankara, 2019 Kerri, 2014 Flavel)


실제로 이 신경들은 모두 C5, C6 신경근에서 분지되는 말초신경인데, C5, C6신경근은 전사각근을 관통하는 신경근으로, 전사각근이 어떤 이유에 의해 두꺼워지게 되면 C5 신경근과 C6신경근은 강하게 압박되고, 이 신경에서 분지되는 말초신경들 또한 압박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왼쪽 사진을 보면 C5, C6은 전사각근을 관통하여 나타나지만, C7,C8은 그 아래 공간을 자유롭게 주행하는 걸 볼 수 있다)

(2020 Picasso, 2023 Ccedil)


특히 이 신경들은 중사각근도 관통하게 되는데, 실제로 왼쪽 그림을 보면 장흉신경은 중사각근을 관통하며 우측 사진을 보면 견갑배신경 또한 중사각근을 관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견갑상신경도 예외가 아니다)
 
그래서 전사각근 사이를 관통하는 C5, C6신경근은 전사각근이 두꺼워지면 압박되고, 이 신경근들에서 분지되는 3가지 신경은 중사각근이 두꺼워지면 양쪽에서 압박되기 때문에,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이 같이 두꺼워지게 되면 압박 강도가 강해지면서 여러가지 신경 증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전사각근이 두꺼워지면 중사각근도 함께 두꺼워지기 때문에, 사실상 호흡장애, 목뼈의 운동장애 등으로 인해 사각근이 두꺼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만 하면, 위 신경들은 모두 영향을 받아 아주 다양한 부위의 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다만 통증의 영역이 다양해도, 가장 통증과 불편감이 심한 부위만 주로 느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날개뼈 안쪽 부위가 항상 뻐근하다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Dorsal scapular nerve(DSN)

DSN의 경로
C4, C5에서 기원한 DSN은, 중사각근을 관통하여 견갑거근과 능형근까지 이어진다.
 
DSN의 기능
DSN은 감각신경이 없는 순수한 운동신경이며,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능형근(Rhomboid major and minor)을 지배하여 날개뼈를 안쪽으로 당겨주고 위로 들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DSN의 증상

(2016 Trescot)

DSN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날개뼈 안쪽, 목과 어깨의 연결부위, 어깨 바깥쪽까지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날개뼈를 위로 들어올리고 안쪽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만큼, 문제가 생기는 경우 완전히 반대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날개뼈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아래로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Suprascapular nerve (SSN)

(2013 Bouche)

SSN의 경로
C4, C5, C6로부터 기원한 SSN은 중사각근을 관통하여 어깨뼈패임(notch of scapula)을 통과하고 극상근(supraspinatus muscle)과 극하근(infraspinatus muscle)까지 이어진다.
 
SSN의 기능
SSN은 혼합성 신경으로 근육 뿐만 아니라, AC 관절과 GH관절의 관절낭과 이 관절들을 덮고 있는 피부까지 지배하며, 교감신경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2012, Park)
 
SSN의 증상

(2023 Plancher)

SSN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어깨관절 주변부 혹은 어깨 깊숙한 곳에서 둔탁한 통증 혹은 타는듯한 나타나게 되며, 심한 경우 목과 어깨가 연결되는 부위까지 그 통증이 퍼지게 된다. 특히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게 특징이며, 극상근 극하근 부위의 위축(Atrophy) 또한 나타나게 된다.


Long thoracic nerve (LTN)

(2021, Bilfeld)

LTN의 경로
C5, C6, C7로부터 기원한 LTN은 중사각근을 관통하여 상완신경총 뒤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쇄골과 첫 번째 갈비뼈 사이로, 흉곽 옆을 따라 내려가면서 전거근까지 이어진다.
 
LTN의 기능
LTN은 감각신경이 없는 순수한 운동신경이며, 전거근(Serratus anterior)을 지배하는 유일한 신경이다.
전거근은 날개뼈를 몸쪽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바깥쪽으로 벌려주고 상방회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LTN의 증상

LTN의 증상은 전거근의 기능장애 증상과 똑같다. 날개뼈가 튀어나오게 되고, 안쪽으로 모아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LTN이 압박되면 목과 삼각근, 날개뼈 주변 부위에서도 통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3 Bouche)
 

통증유발점

사각근 통증은 견갑배신경(Dorsal scapular nerve),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이 압박되었을 때 나타나는 통증 양상과 매우 흡사하다.
 
DSN이 압박되면 날개뼈 안쪽, 목과 어깨의 연결부위, 어깨 바깥쪽까지 통증이 나타나며
SSN이 압박되면 어깨 깊숙한 곳, 어깨 관절 주변부, 목과 어깨의 연결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나고
LTN이 압박되면 목과 삼각근, 날개뼈 주변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난다.

왼쪽 사진: 경추신경근 압박에 따른 통증 분절

특히 엄지와 검지, 팔 바깥쪽 부위 통증은 C5, C6신경근 압박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C5, C6 신경근 압박에 따른 통증 분절을 살펴보면 사각근 통증에서 발현되는 통증 양상과도 매우 흡사하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사각근 통증은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의 비대로 인해 C5,C6신경근이 압박되면서 나타나는 통증과, C5,C6 신경근에서 분지되는 DSN,SSN,LTN이 압박되면서 나타나는 통증이라고 생각한다.
 
사각근 통증 해결법(링크)

참고

Tucker, D. L., & Freischlag, J. A. (2023). Anterior Scalene Anomaly in a Patient With Arterial and Neurogenic Thoracic Outlet Syndrome. Vascular and endovascular surgery, 57(3), 295-298.
 
Welch, J. F., Kipp, S., & Sheel, A. W. (2019). Respiratory muscles during exercise: mechanics, energetics, and fatigue. Current Opinion in Physiology, 10, 102-109.
 
Buford, J. A., Yoder, S. M., Heiss, D. G., & Chidley, J. V. (2002). Actions of the scalene muscles for rotation of the cervical spine in macaque and huma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32(10), 488-496.
 
Bordoni, B., & Varacallo, M. (2018). Anatomy, head and neck, scalenus muscle.
 
Puffer, R. C., Stone, J., & Spinner, R. J. (2019). Avoidance of scapular winging while approaching tumors of the middle scalene region. Acta Neurochirurgica, 161, 1937-1942.

Picasso, R., Zaottini, F., Pistoia, F., Perez, M. M., Klauser, A., Rossi, F., ... & Martinoli, C. (2020, April). High-resolution ultrasound of small clinically relevant nerves running across the posterior triangle of the neck. In Seminars in Musculoskeletal Radiology (Vol. 24, No. 02, pp. 101-112). Thieme Medical Publishers.

This dorsal scapular nerve (DSN; left side) type was formed by the anterior branch of C5 and pierced the middle scalene muscle

Çelikgün, B., Gayretli, Ö., Gürses, İ. A., Coşkun, O., Öztürk, A., & Kale, A. (2023). Topographic and morphometric anatomy of the proximal part of the dorsal scapular nerve. Clinical Anatomy.

Deslauriers, J. (2007). Anatomy of the neck and cervicothoracic junction. Thoracic surgery clinics, 17(4), 529-547.

Yoo, Y. S., Jang, S. W., Kim, Y. S., Choi, J. A., Oh, J. H., & Jeong, J. Y. (2022). Does the Suprascapular Nerve Move within the Suprascapular Notch? Biomechanical Perspectiv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Yonsei Medical Journal, 63(7), 657.

Cankara, N., Ozguner, G., & Albay, S. (2009). Bilateral piercing of anterior scalene muscle by anterior branches of C5 & C6.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ical Variations, 2, 73-74.

Kerri, K. E. E. T., & Graham, L. O. U. W. (2019). Variation of the brachial plexus roots in the interscalene groove: relevance in interscalene blocks. Anatomy, 13(1), 40-48.

Flavel, C. (2014). Brachial plexopathy: aberrant fifth cervical nerve root in conjunction with traction injury. Sonography, 1(1), 25-29.

Koh, E. (2021). Imaging of non specific complaints of the arm, neck, and/or shoulder (CANS): role of the scalene muscles and piercing variants in neurogenic thoracic outlet syndrome. Clinical Radiology, 76(12), 940-e17.
 
Leider, J. D., Derise, O. C., Bourdreaux, K. A., Dierks, G. J., Lee, C., Varrassi, G., ... & Kaye, A. D. (2021). Treatment of 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syndrome. Orthopedic reviews, 13(2).
 
Plancher, K. D., Dotterweich, K. A., Commaroto, S. A., Wang, K., Briggs, K., & Petterson, S. C. (2023). Endoscopic Suprascapular Nerve Decompression at the Spinoglenoid and Suprascapular Notches. In Arthroscopy and Endoscopy of the Shoulder: Principle and Practice (pp. 425-436). Singapore: Springer Nature Singapore.
 
Olamikan, S., & Karl, H. W. (2016). Long thoracic nerve entrapment. Peripheral nerve entrapment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291-303.
 
Bruce, J., & Dorizas, J. (2013). 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due to a stenotic foramen: a variant of the suprascapular notch. Sports Health, 5(4), 363-366.
 
Trescot, A. M. (2016). Dorsal scapular nerve entrapment. Peripheral Nerve Entrapment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315-324.
 
Basta, M., Sanganeria, T., & Varacallo, M. (2020).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suprascapular nerve.
 
Bishop, K. N., & Varacallo, M. (2017).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dorsal scapular nerve.
 
Bouche, P. (2013). Peripheral Nerve Disorders: Chapter 19. Compression and entrapment neuropathies (Vol. 115). Elsevier Inc. Chapters.
 
Bilfeld, M. F., Lapègue, F., Cintas, P., Acket, B., Basselerie, H., Bachour, R., ... & Sans, N. (2021). Ultrasonographic anatomy of the long thoracic nerve: A reappraisal using high frequency (24-MHz) probe.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Imaging, 102(4), 241-245.
 
Park, J. K., Lee, Y. B., & Kim, S. Y. (2012). Postoperative pain relief effect of a suprascapular nerve block before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7(1), 8-11.
 
Travell, J. G., & Simons, D. G. (1992).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Kang, K. C., Lee, H. S., & Lee, J. H. (2020). Cervical radiculopathy focus 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l diagnosis. Asian spine journal, 14(6), 92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