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은비 Oct 23. 2023

앨빈 토플러 등, 『정치는 어떻게 이동하는가』

정치는 생물

물론 사람들은 어떤 것이든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하지만 어떻게든 현재의 변화가 자신들을 비켜 갈 것이고자신들에게 익숙한 경제 틀과 정치 구조 또한 흔들리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현재의 상황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 p.27 line 13 ~ p.28 line 2     


오늘날 사회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정치적 힘은 바로 제2의 물결에 속해 있는 사람들과 제3의 물결에 속해 있는 사람들 사이의 대립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앞으로 알게 되겠지만좀 더 근본적인 정치적 질문은 누가 산업화 사회의 마지막 나날을 지배하느냐가 아니라누가 조만간 산업화 사회를 대체하게 될 새로운 문명의 형성을 이끌어나갈 것이냐다. - p.37 line 8~13     


모든 경제 시스템은 지식 기반을 근간으로 한다그리고 모든 기업 역시 사회가 발전시킨 자원인 지식에 의존하여 기업 활동을 한다. 그동안 경제학자들과 기업 경영자들은 생산에 필요한 요소들을 논할 때 자본, 노동, 토지 등과는 달리 지식이라는 요소를 무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오늘날의 생산 활동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지식이다. - p.60 line 13~18     


지금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강력한 변화의 물결은 우리에게 그 어느 때보다 더 빠른 대응을 요구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거대하면서도 멈출 수 없는 물결에 역행하여 허우적거리고 있는 느낌이다. 많은 경우 이는 사실이기도 하다. 우리는 파도타기를 하는 사람들이 그러는 것처럼 변화의 파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그래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 p.161 line 1~7     


새로운 문명을 개척한다는 것은 과거의 낡은 제도들과의 충돌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는 매우 불확실한 삶, 그리고 높은 수준의 불안정성과 혼란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명을 개척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누구도 분명한 대답을 해줄 수 없음을 의미한다. 심지어 어디로 가야 하는지조차 누구도 분명한 대답을 해줄 수 없다. - p.173 line 1~6

매거진의 이전글 정운현, 『어느 날, 백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