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인티나인즈 May 15. 2022

스타벅스의 진정성은 우리의 관심에 달렸다

스타벅스의 종이빨대


우리나라에서 플라스틱 빨대 퇴출에 앞장선 기업은 스타벅스다. 2018년 9월, ‘그리너(Greener) 스타벅스 코리아’ 캠페인을 발표하며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중 처음으로 종이빨대를 도입했고, 이후 11월부터는 전국 모든 매장에 종이빨대만 남겨두었다. 스타벅스가 진출한 83개 나라 중 전국 모든 매장에 종이빨대를 도입한 나라는 한국이 처음이다.





배경엔 사람들을 각성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 동쪽엔 카리브해, 서쪽엔 태평양이 보이는 작지만 풍요로운 나라 코스타리카. 면적은 한반도 4분의 1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생물종의 6%가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 수년 전 이곳 연안에서 찍힌 영상이 전 세계 사람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 플라스틱 빨대를 코에 꽂은 채 피를 흘리는 올리브바다거북의 영상. 빨대를 다 끄집어낼 때까지 거북은 눈물과 피를 멈추지 않았다. 많은 사람이 이 아픔에 공감했다. 이러다간 결국 인류도 피를 흘릴 거란 생각에 세계 곳곳에서 각성의 움직임, 플라스틱 줄이기 운동이 일기 시작했다.





종이빨대가 자리 잡은 지 4년이 다 되어간다. 종이빨대 덕분에 연간 126톤의 플라스틱 빨대가 절감됐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하지만 종이빨대 사용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는 데 미미한 해결책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들린다. 해양생물을 위협하는 건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 중 비교적 적은 양에 불과한 플라스틱 빨대가 아니라 해양 쓰레기의 46%를 차지하는 ‘폐 그물’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빨대를 줄였다고 만족할 게 아니라 더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타당한 말이다. 그렇지만 스타벅스의 종이빨대 도입도 분명 박수받을 일이다. 대부분 PE 재질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빨대는 이론적으로는 재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작고 얇은 탓에 분리가 어려워 재활용되지 않는다. 그런 빨대를, 스타벅스에서만 매해 1억 8천만 개를 사용해왔던 것. 길이로 따지면 3만 7천8백 킬로미터다. 이만큼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양산하는 대신, 약 200일 만에 자연분해가 되어 생물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종이빨대를 쓰는 것이 자연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이 더욱 빈번해진 만큼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건 뭐든 해봐야 하는 시대이니, 플라스틱 빨대는 실효성이 아닌 당위성의 관점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그럼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스타벅스가 겉보기에만 그럴듯한 그린 마케팅이 아니라, 진정성 있고 실효성 있는 친환경 정책을 계속 펼치도록 관심 갖고 지켜보고 요구하는 것일 테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려는 소비자의 의식이 중요한 때다. 기업은 그 의식에 발맞추어 행동하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그녀가 전해준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