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더바이어 Jan 18. 2021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팜 정책 플랜

농업의 미래는 스마트팜…스마트팜의 주역은 청년농업인들

농업의 미래는 스마트팜에 달려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본격적으로 선도사업을 지정해 스마트팜 육성에 돌입한 것은 2017년 이후로 역사가 짧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안으로 서, 또 대규모 정책자금이 투입되는 유망사업으로서 농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혁신성장 8대 핵심사업의 하나가 되면서 더욱 주목받는 분야가 되었다. 


스마트팜 현장.



대규모 단지 조성과 사업모델 개발

정부의 스마트팜 육성 정책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2017년 11월 스마트팜 산업을 혁신성장의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고, 2018년 4월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마련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22년까지 7000ha 규모로 스마트팜 농장을 확대하고 5750호의 축사를 농가에 보급시키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구축하고, 기존의 농가 단위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했다. 주요 정책 대상은 청년 농업인이며 집적화된 확산 거점을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이후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와 스마트팜 모델 개발 사업 2곳이 선정되었고 올해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된다.


2021년 스마트팜 정책도 이 두 개의 사업 중심으로 전개될 계획이다. 임재영 농식품부 농산 업정책과 주무관은 “충북 괴산의 콩, 경북 안동의 사과 스마트팜 모델사업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두 곳은 지역의 주산물을 스마트팜 생산으로 대체하기 위한 사업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온실형 스마트팜과 노지형 스마트팜의 모델이이 사업을 통해 개발될 예정이다. 기술과 시스템 적용 모델을 제시함과 동시에 청년들의 농촌 유입을 확산시킨다는 게 기본 목적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주·김제 본격 가동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농산물의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집약시킨 첨단 융복합 지구를 말한다. 청년창업-기술혁신(R&D)-판로개척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 역할을 한다.


농업인은 생산을, 기업은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이들의 성공을 위한 지원을 한다. 2018년 1차 공모를 통해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가 선정됐고, 2019년 3월 전남고흥과 경남 밀양이 2차 조성 지역으로 선정됐다. 농식품부는 그 외 추가 선정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4곳에 투입되는 예산은 중앙과 지자체를 합쳐 1800억원 대에 이르며 배후 단지 조성까지 포함하면 1조원 대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이창형 농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사무관은 “올해는 1차 선정된 두 곳이 착공되는데 일단은 청년농업인 양성이 중요하다”며 “첨단 시스템을 기반으로 농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곳이기 때문에 최고의 시설·설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곳의 혁신밸리 조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북 상주 : 상주시 사벌면 일대 50.5㏊에 1455억원을 투입,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중이다. 상반기에 청년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을 완공하고, 하반기에 실증 지원센터와 연계시설인 청년농촌보금자리 등을 완공할 예정이다. 문화거리 조성, 주거시설 공급을 통해 청년 유입-성장-정착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또한 기존 농업인이 참여하는 수출전문단지를 연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 전북 김제 : 김제시 백구면 일대 21.3ha에 910억원을 투입, 기능성 작물의 종자 개발부터 제품화(기능성 식품)까지 연계하는 모델을 계획하고 있다. 다른 지역들과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사업 유치를 했지만 지역 환경단체들의 반대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난관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생태공원 조성 등 환경친화적 단지로 계획을 변경해 진행 중이다. 농촌진흥청-실용화재단 등과 협력한 기술혁신, 실증단지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의 정책지원과 별개로 스마트팜 면적은 2014년 405ha에서 2017년 4010ha로 3년 만에 10배 이상 확장되었다. 하지만 스마트팜의 궁극적 지향점은 여전히 멀다. 과학적 시스템 생산물의 도착지가 최종 소비자이며 소비 데이터가 다시 생산에 적용되는 순환체계가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시범단지와 선도 스마트팜밸리가 본격 가동되면 유통과 소비자 연계까지 선순환되어 지속적인 발전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글로벌 식품트렌드 Part 4 동남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