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수 Sep 28. 2022

'물방울' 화가의 내면을 탐구하다

[리뷰] 다큐멘터리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김창열(1929-2021) 화백은 '물방울 화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마흔세 살이던 1971년부터 물방울을 그리기 시작한다. 캔버스 뒷면에 뿌려 놓은 물이 반사돼 생긴 물방울의 신비로움에 매료됐다. 이듬해 그는 파리에서 열린 미술 전시회 '살롱 드 메'에서 첫 번째 물방울 작품 '밤에 일어난 일'을 공개한다. 초록 바탕에 물방울 하나와 그 그림자를 넣은 작품이다.


가까이 다가가서 봐야만 진짜 물방울이 아닌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의 정교함이 녹아든 물방울. 그에게 물방울의 시작은 우연이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는 이후 50년간 물방울만 그린다. 그렇게 거장의 위치에 오른다. 그는 2012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현재 제주도에 그의 이름을 딴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이 있다.

 

28일 개봉한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는 김 화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다큐멘터리. 하지만 그의 업적보다는 그의 삶 자체를 가까이에서 다룬다. '화가'보다는 '인간' 김창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김 화백을 찍은 사람은 그의 둘째 아들 김오안(48) 감독. 김 감독은 아버지가 늘 궁금했다. 아버지를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둘 사이에는 빈틈과 기묘함이 존재하고 있었다. 고독해 보이지만 명예나 특전은 거절한 적 없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자랐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아기돼지 삼 형제 이야기를 해줄 때 달마대사 이야기를 한 아버지가 좀 남다르다고 생각했다. "산타클로스보다는 스핑크스에 가깝다"라고 고백한 김 감독에게 아버지는 늘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었다. 그래서 카메라를 들고 아버지에게 질문을 던졌다. 가족이기에 조금 더 객관성을 두고자 포토그래퍼이자 영화감독인 브리짓 부이요에게 공동 연출을 제안했다. 그렇게 해서 5년에 걸쳐 찍고 완성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갈수록 관객은 한 사람의 깊은 삶을 유심히 들여다보게 된다. 다큐멘터리는 캔버스에 조용히 내면을 투영하고 때로는 힘차게 붓질해야 완성되는 그림을 작업하는 과정과 닮았다. 김 화백의 말수는 적지만 그의 삶 마디마디마다 강인함과 집요함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카메라 정면을 응시하는 김 화백의 모습은 풍파를 겪었지만 곧은 뿌리를 내리고 꿋꿋하게 서 있는 노송 같다. 김 화백이 노자의 도덕경 경구를 매일 적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눈꺼풀을 잘라내고 명상했다는 달마대사의 이야기를 좋아한다는 대목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런 그가 눈물을 흘리는 순간이 있다.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글을 올리고 그 후 1946년 위태롭게 휴전선을 넘어 월남한 기억을 떠올릴 때다. 그는 고백한다. "신이시여. 만약 당신이 존재한다면 나를 도와주세요"라고 기도했다고.


김 화백은 6.25 전쟁 때 자신이 살아남은 것에 늘 죄책감을 가지고 있다. 그 시절의 두려움이 작품의 시작이 됐다. 그래서 그의 초기작들은 공포가 주제였다. 그렇게 물방울 그림 이전의 삶에 주목하다 보면 한국 격동의 현대사가 김 화백에게 뿌리 깊은 영향을 줬다는 사실을 관객은 이해하게 된다.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면 그의 물방울이 단순히 영롱하게는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지난해 DMZ국제다큐영화제 신진 감독상 수상작. 79분. 전체 관람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